•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Awarenes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1초

상황인식 기술을 적용한 종합 복지센터 공간 계획 연구 - 종합 복지센터 로비 공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text-Awareness for the General Welfare Center - Focus on the General Welfare Center Lobby -)

  • 최정원;이형우;안길재;김용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51-25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welfare center space by applying Context-Awareness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user-friendly services for efficient use of integrated welfare centers as more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in using welfare integrated welfare centers which have increasingly been supplied. For this study, we propose the spaces which provide users of integrated welfare centers with proper services by applying Context-Awareness after reviewing the theory of Context-Awareness through literature study as well as case analysis and choosing the reasonable Context-Awareness technology for integrated welfare centers. A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users with safety service, information service and convenient service by the analysis of space, users' movement in lobby where Context-Awareness is applied and the lobbies of integrated welfare centers in Munsan area, Paju-si out of domestic cases about integrated welfare centers, the different type of spaces from the existing one is expected.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awareness of welfare has on their sense of duty value and duty efficiency)

  • 조은숙;김종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33-14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내의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수준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 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 제고의 필요성, 복지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운용을 위한 접근방향과 대안개발에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지정책이 평등화 효과를 높이고 무임승차나 근로의욕 저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수립되고 운영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복지관련 업무경력이 낮을수록 낮은 복지가치관과 직무가치관, 직무효과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통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체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 사회복지공무원 대상 복지정책, 제도, 가치 등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 사회적 형평성과 평등화를 제고하는 방향에서의 복지정책의 결정을 통한 사회복지공무원의 긍정적인 복지의식과 직무성과 제고 필요성,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체계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wareness Regarding Risk Factors, Symptoms and Treatment Facilities for Cancer in Selected States of India

  • Raj, Sherin;Piang, Lam Khan;Nair, K.S.;Tiwari, V.K.;Kaur, Harneet;Singh, Bacc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057-4062
    • /
    • 2012
  • Objective: To study the level of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cancers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households in selected states of India. Methods: In the study 3070 households were interviewed from six states viz, West Bengal, Kerala, Madhya Pradesh, Rajasthan and Mizoram. Results: Knowledge of cancer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tobacco was very low (prostate 8%, colon 11% ) among the communities, with a poor awareness of warning signs and symptoms. The knowledge varied from state to state. It is found that the major source of information related to cancers was television (38%) followed by friends and relatives (36%). Only about 15 % of respondents had knowledge about cancer awareness camps organized in their districts but they did not have knowledge about the organizers of the camp. Findings suggested a strong need for strengthening of DCCP.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reate awareness among community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n cancer prevention, preventable cancer risk factors, benefits of early diagnosis, and availability of screening facilities. Integration of District Cancer Control activities with NRHM could be the most cost-effective strategy to prevent cancers and rural population.

빈곤원인 인식, 정부신뢰, 복지의식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Poverty Cause, Trust in Government, and Welfare Perception :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 이진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71-280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빈곤원인 인식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빈곤원인 인식과 복지의식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부가조사를 최종 완료한 만 20세 이상 가구원 2,0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설명력(R2)의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요인 중 개인책임론은 복지의식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인 반면, 사회구조책임론과 운명론은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정부신뢰는 복지의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는 일부 검증되었다. 즉,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 요인 중 개인책임론과 복지의식 간, 그리고 사회구조책임론과 복지인식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향상을 위해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정부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점 및 의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복지인식이 사회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fare Recognition on the Utilization of Social Services and th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 서복현;황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83-597
    • /
    • 2020
  • 본 연구는 고령층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주목하여 고령자의 사회복지 인식이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조사하여 축적하고 있는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근거로, 가구용, 가구원용, 복지인식 부가조사용을 결합한 머지데이터(merge data)를 활용하여 부가조사에 응답을 완료한 60세 이상 465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 인식(복지지출 인식, 복지대상 인식, 복지증세 인식)"은 "사회서비스 이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 인식(복지지출 인식, 복지대상 인식, 복지증세 인식)"은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교육수준, 소득수준, 학력, 성별)"에 따라 노인복지인식이 사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교육수준, 소득수준, 학력, 성별)"에 따라 노인복지인식이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차원적인 복지인식과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을 사회복지정책 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즉,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의 가치와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복지인식에 주목하였으며, 고령자의 복지인식과 사회복지정책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서비스 이용경험이 사회복지정책만족도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복지정책과 복지현장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일부 노인시설 종사자의 구강복지용구 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연구 (The need for oral welfare products services among elderly facility workers)

  • 최용금;김선미;김은정;전현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to propose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oral welfare products in the welfare servic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cusing on facility workers working in elderly facilities. Metho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144 workers working at some local elderly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classifying the use of oral welfare tools into 6 questions and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devices into 13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05.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among workers in elderly facilities,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cluding oral welfare equipment in the items of welfare equipment in the curren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high at 4.15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care products and the need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1). Conclusion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oral welfare products need to be considered for welfare equipment services. The provision of oral welfare products with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can provide opportunities and services to select various self-care tool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o improve the system in a variety of positive ways.

축산농장 동물복지의 윤리적 갈등과 딜레마 극복: 국내 산란계 농장에서의 윤리의식 수준에 따른 동물복지 관련법규 준수여부 상관관계 조사 (Overcoming Ethical Conflicts and Dilemmas in Farm Animal Welfar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Ethical Awareness Level and Compliance with Animal Welfare-Related Regulations in Korean Layer Farms)

  • 이본;김태식;최수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1-90
    • /
    • 2023
  • 국내의 동물복지 개념의 도입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늦었으나 정부 주도에 의해 비교적 적극적인 동물복지정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업 현장에서 동물복지 인식이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개선이 아닌 정부의 정책수단에 의하여 동물복지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란계 농가를 중심으로 최근 5년간 도입된 동물복지 관련 정책이 현장에서 유발하는 갈등을 유형화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산란 농장 운영자들의 동물복지 관련 의식수준 및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여부를 조사하였다. 산란 농가 현장방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산란양계농장 운영자(소유자 혹은 관리 책임자)를 대상으로 53가구의 산란양계 농가를 조사하였다(2020년 산란양계농가 수 797가구 수 기준 90% 신뢰수준(Z-score: 1.65) 10.18% 허용 오차). 현장에서의 갈등을 윤리적 고려 수준에 따라 소극적, 중도적, 적극적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윤리적 고려 수준에 따라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 여부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축산 현장에서의 동물복지 관련 규정 준수 여부는 축산 농장 운영자의 윤리적 고려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농장 운영자의 동물복지 의식수준이 높음에도 동물복지 관련 규정은 준수하지 못하는 갈등상황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현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규정과 정책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갈등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정책 수단에 의해 추진되는 동물복지가 효과적일 수는 있지만, 아직은 현장에서 갈등을 유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성인식이 성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Aged Care Facility Workers' Acceptance Attitude Toward Sex in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Sexual Awareness)

  • 정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184-19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인식 수준에 따른 성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와 성 인식 태도가 성 수용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시설에서 노인들을 위한 성 관련 서비스를 실천하고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성 인식 수준에 따라 성 수용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과 보통집단에 비해 성 수용 태도가 유의미하게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 인식은 성 수용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 인식 수준이 민주적 일수록 성 수용 태도가 개방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chool Parents ′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 Abuse Aware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병록;황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35-542
    • /
    • 2018
  • 본 연구는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인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A시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자아존중감은 정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향상시켜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아동학대예방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교육학적, 심리학적, 사회복지학적인 융복학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세계시민교육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uidelines for Child Welfare Workers)

  • 유수정;최희진;송인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75-289
    • /
    • 2021
  • 최근 세계시민교육(이하 GCE)의 필요성이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나, 아동기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GCE가 국내에서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1) 국내외 GCE 정책·현황 조사 (2) GCE 전문가 심층 인터뷰 (3) 종사자 설문 조사로 교육 욕구 실제를 분석했다. 정책분석 결과 주로 학교체계에서만 행해진 국내 GCE와 달리 세계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심층 인터뷰에서는 국내 GCE 확대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설문 분석 결과 GCE에 대한 인지-관심-참여 의사에 경로 관계가 유의해 인지·관심 증대가 실천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GCE가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임을 확인하고 AIDA 모델에 입각해 GCE 인지도를 높여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GCE 구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