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ded joint performanc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72초

철근연결구를 이용한 철근이음장치(LK-DK) 개발에 관한 연구 (Connection Apparatus using Coupling Device and Linking Method for Reinforcing Bar)

  • 우종열;홍성욱;박승환;안태한;최민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5-176
    • /
    • 2012
  • In this study, coupler on the safety of meeting the requirements and construction and economy to satisfy the number of parts to minimize an LK-DK coupler has been developed, affordability existing reinforcing bar joint, welded joint, mechanical joints, compared with a favorable one to the understanding, and als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and logistics, etc. I've found that there is no additional pay because the amount of product performance through the tensile test after test, if commercialization is expected to be greater ramifications.

  • PDF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개발 및 그 성능 평가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Lattice Girder and Evaluation of Its Performance)

  • 이재원;민경남;정지욱;노병국;이상진;안태봉;강성승
    • 지질공학
    • /
    • 제30권1호
    • /
    • pp.43-57
    • /
    • 2020
  • 본 연구는 기존의 강지보재보다 우수한 고강도 격자지보재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을 이용한 지보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시작품에 대한 최대 굽힘하중시험과 용접이음부 인장강도시험을 실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조해석 결과에 따른 최적의 상하부부재와 플레이트의 규격은 50 mm × 31.8 mm × 25.4 mm로 시공성과 경제적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 하중시험으로부터 확정된 규격 55 mm × 30 mm × 20 mm와 85 mm × 30 mm × 20 mm의 고강도 격자지보재는 기준값과 H형강 100과 125의 목표값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처짐량과 실제 처짐량의 비를 검토한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고강도 격자지보재는 독일연방 철도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격자지보재 처짐량의 평가기준 5 이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용접이음부에 대한 인장시험 결과는 고강도 격자지보재의 주봉-보조봉-플레이트가 접하는 용접이음부 인장강도가 목표값 이상으로 나타나 용접이음부에 대한 안정성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압식 헤머피닝을 이용한 용접부 피로수명 연장기술 연구 (Research for Fatigue Life Extension Techniques in Weldments via Pneumatic Hammer Peening)

  • 한정우;한승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8호
    • /
    • pp.842-848
    • /
    • 2009
  • Fatigue failures are often occurred at welded joints where stress concentrations are relatively high due to the joint geometry. Although employing good detail design practices by upgrading the welded detail class enables to improve the fatigue performance, in many cases, the modification of the detail may not be practicable. As an alternative, the fatigue life extension techniques that reduce the severity of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weld toe region, remove imperfections and introduce local compressive welding residual stress, have been applied. These techniques are also used as definite measures to extend the fatigue life of critical welds that have failed prematurely and have been repaired. In this study, a hammer peening procedure for using commercial pneumatic chipping hammer was developed, and the effectiveness is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neumatic hammer peening makes it possible to give the weld not only a favorable shape reducing the local stress concentration, but also a beneficial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to material surface. In the fatigue life calculation of non-load carrying cruciform specimen treated by the pneumatic hammer peening, the life was lengthened about ten times at a stress range of 240MPa, and fatigue limit increased over 65% for the as-welded specimen.

Experimental Cyclic Behavior of Precast Hybrid Beam-Column Connections with Welded Components

  • Girgin, Sadik Can;Misir, Ibrahim Serkan;Kahraman, Serap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1권2호
    • /
    • pp.229-245
    • /
    • 2017
  • Post-earthquake observations revealed that seismic performance of beam-column connections in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ffect the overall response extensively. Seismic desig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quires improved beam-column connections to transfer reversed load effects between structural elements. In Turkey, hybrid beam-column connections with welded components have been applied extensively in precast concrete industry for decades. Beam bottom longitudinal rebars are welded to beam end plates while top longitudinal rebars are placed to designated gaps in joint panels before casting of topping concrete in this type of connections. The paper presents the major findings of an experimental test programme including one monolithic and five precast hybrid half scale specimens representing interior beam-column connections of a moment frame of high ductility level. The required welding area between beam bottom longitudinal rebars and beam-end plates were calculated based on welding coefficients considered as a test parameter. It is observed that the maximum strain developed in the beam bottom flexural reinforc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verall behavior of the connections. Two additional specimens which include unbonded lengths on the longitudinal rebars to reduce that strain demands were also tested. Strength, stiffness and energy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est specimen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est variables. Seismic performances of test specimens were evaluated by obtaining damage indices.

철근격자망을 사용한 슬래브-벽체 접합부의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RC Slab-Wall Joints Reinforced by Welded Deformed Steel Bar Mats)

  • 박성식;윤영호;이범식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1호
    • /
    • pp.61-68
    • /
    • 2011
  • 본 연구는 벽식구조 아파트의 슬래브와 벽체를 철근격자망으로 배근할 경우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벽체와 연결된 불연속단의 캔틸레버형 슬래브 시험체를 사용하여 철근격자망 상부근의 정착길이와, 철근격자망의 정착부에 일반 구부림 철근을 사용하여 정착한 경우의 정착방법 및 길이를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슬래브-벽체 외부접합부의 철근망 시공에서 슬래브 철근망은 벽체의 철근 선까지 배근하고 이음길이를 확보한 별도의 철근을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하는 경우, 정착길이와 단면적이 확보되면 강도 발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슬래브 철근망을 접합부에서 이음할 때 철근망의 철근을 벽체 속으로 매입하면 강도는 더욱 증가한다. 그러나 최고강도에 도달한 이후의 연성은 이음이 없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슬래브-벽체 외부접합부에서 단부 모멘트에 대한 슬래브 하부 압축콘크리트의 파괴시 변형률은 일반 콘크리트 보와 비교할 때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슬래브-벽체 접합부가 $90^{\circ}$를 이루고 있어 이에 따른 구속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탠덤 GMAW의 품질확보를 위한 용접이음부위의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elded Joint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Tandem GMAW)

  • 박철균;이종표;박민호;김일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30-237
    • /
    • 2015
  • 산업의 생산성 향상 및 용접공정의 개선을 위해 용접공정에 탠덤 용접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통한 용접이음부위의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1전극 용접과 탠덤 용접의 실험을 통해, 비드의 형상을 비교 분석하고, 용접실험의 결과시험편에 대하여 3가지 시험(인장시험, 경도시험, 굽힘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결과시험편에 대한 기계적 성질을 분석하여 탠덤 용접이음부위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 하였다. 본 연구는 탐뎀 용접이음부위에 대한 기계적 성질 및 안전강도 보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인장시험, 굽힘시험 및 경도시험을 통해 탠덤 GMAW 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보로 구성된 복합구조의 접합분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Hybrid Beam-Column Joints Consiste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 최근도;유영찬;이리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297-30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보로 구성된 혼합 골조구조의 접합부에 대한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주요변수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주식(子株式) 횡보강근 상세와 기존의 RCS 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ㄱ-4조각 조합형 및 용접형 등의 횡보강근 상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체는 총 5개의 내부접합부를 대상으로 2/3 축소로 제작하여 접합부의 전단 및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든 실험체에서 최대내력 이후 강도 및 강성의 큰 저하없이 실험이 종료되었다. 따라서, 자주식(子株式) 횡보강근을 사용한 RCS 접합부의 구조성능은 4조각 조합형 및 용접형 등의 기존 공법과 동등 이상의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부 판넬의 전단기여도는 압축스트러트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의 곡선반경 및 캔트에 따른 노반의 침하 및 지지력 산정 (Estimation of the Roadbed Settlement and Bearing Capacity According to Radius of Curve and Cant in Railroad)

  • 전상수;엄기영;김재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통권24호
    • /
    • pp.29-38
    • /
    • 2007
  • 틸팅차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궤도부담력과 주행안정성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틸팅차량이 궤도부담력과 주행안정성 검토에 의해 산정된 허용속도로 운행될 경우 레일이음매 하부 노반침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열차 주행시 레일이음매와 장대레일에 작용하는 충격량이 다르기 때문에 장대레일 하부 노반에 대한 안정성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대레일에 대하여 노반의 침하량 및 지지력을 수치해석을 통해 검토하고 허용침하량 및 허용지지력과 비교하여 노반의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레일이음매와 장대레일 하부 노반의 침하량 및 지지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대레일 및 레일이음부 하부 노반의 침하량은 허용침하량의 71.2% 및 88.8%, 응력은 허용지지력의 10.4% 및 12.1%로 나타났다.

Studies on weldment performance of Ti/Al dissimilar sheet metal joints using laser beam welding

  • Kalaiselvan, K.;Elango, A.;Nagarajan, N.M.;Mathiazhagan, N.;Vignesh, Kannan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7권5호
    • /
    • pp.627-634
    • /
    • 2018
  • Laser beam welding is more advantageou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Titanium/Aluminium dissimilar alloy thin sheet metals are difficult to weld due to large difference in melting point. The performance of the weldment depends upon interlayer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intermetallics. During welding, aluminium gets lost at the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itanium.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a new metal joining techniques between these two alloys. The present work is carried for welding TI6AL4V and AA2024 alloy by using Nd:YAG Pulsed laser welding unit. The performance of the butt welded interlayer structures are discussed in detail using hardness test and SEM. Test results reveal that interlayer fracture is caused near aluminium side due to low strength at the weld joint.

반복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서 작은 헤드를 사용한 Headed Bar적용 (Application of Headed Bars with Small Head in Exterior Beam-Column Joints Subjected to Reversed Cyclic Loads)

  • 하상수;최동욱;이창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1-420
    • /
    • 2007
  • 본 연구는 반복 수평 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서 작은 헤드를 사용한 headed bar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한 실험체와 headed bar로 정착한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각각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headed bar 정착 성능에 영향을 주는 헤드 단면적, 단조 및 반복 가력 여부, 헤드와 보강근의 용접 여부등의 headed bar 인발 성능에 관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인발실험을 병행하였다. 인발실험의 결과, headed bar의 인발강도는 헤드 면적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헤드와 보강근의 용접 유무, 가력 조건 (단조하중 및 반복하중)은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의 결과,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한 실험체와 headed bar로 정착한 실험체가 초기 균열, 균열의 발생 등 모두 거의 비슷한 양상이었으나, 최종 파괴 시에는 headed bar로 정착된 실험체가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된 실험체에 비해 최대 강도 도달 이후 연성 거동, 연성비 및 변형 성능, 에너지소산 면적 등에서 우수한 거동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CI 352 위원회의 설계지침을 따라서 제작된 접합부 상세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준갈고리 대신 상대적으로 작은 headed bar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