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ssella spp.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한 김치 유래 Weissella spp.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 억제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Weissella spp. from Kimchi Through Real-time PCR)

  • 이영덕;김대용;박종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0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를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동정하였으며, W. cibaria 0D17와 W. confusa 0D23 배양 상등액이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정량 PCR을 통해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L. monocytogenes를 공동 배양했을 때의 생육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37^{\circ}C$에서는 생육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김치 유래 Weissella spp.가 갖는 L.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W. cibaria 0D17 및 W. confusa 0D23가 생산하는 bacteriocin 등의 항균 물질 특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Weissella 속 유산균의 빠른 동정을 위한 16S rDNA PCR-RFLP 분석법의 적용 (Application of 16S rDNA PCR-RFLP Analysis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Weissella Species)

  • 이명재;조경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5-460
    • /
    • 2010
  • 16S rDNA 특이적 PCR과 증폭산물의 제한효소 처리 후, 나타나는 단편의 크기를 분석하는 PCR-RFLP 분석법을 김치에서 빈번하게 검출되는 Weissella 속 균주 10종의 신속하고 정확한 동정에 적용하였다. Weissella 속 균주 16S rDNA의 특이적 증폭에는 기존에 보고된 PCR primer를 사용하였지만, annealing 온도는 기존의 조건보다 $4^{\circ}C$ 높게 설정한 $65^{\circ}C$에서 PCR을 수행하였다. 증폭산물은 예상크기인 727bp와 일치하였으며, 제한효소 AluI, MseI, BceAI의 처리를 통하여 나타난 단편의 크기는 제한효소 절단위치 분석으로부터 추정한 단편의 크기와 일치하였다. W. kandleri, W. koreensis, W. confusa, W. minor, W. viridescens, W. cibaria, W. soli는 제한효소 AluI과 MseI의 사용으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W. hellenica, W. paramesenteroides의 경우, BceAI을 사용하면 독립적인 구분이 가능하였다. W. thailandensis의 경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제한효소 AluI, MseI, BceAI에 의해 독립적인 band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나머지 9종과의 절단 양상 비교를 통해 구분이 되었으며, 제한효소 MspI을 사용하면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다.

발효 초기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Bacteria 다양성 평가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itial Fermentation Stage of Korean and Chinese Kimchi)

  • 이명재;조경희;한응수;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7-215
    • /
    • 2010
  •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이용한 한국산 및 중국산 김치의 판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H 5 이상의 발효초기 김치에 존재하는 bacteria의 다양성을 검토하였다. marine medium, nutrient medium, succinate minimal medium(SMM), leuconostocs selective medium(LUSM)의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한국산 26종, 중국산 22종의 김치시료로부터 각각 45 속의 1017 균주, 54 속의 842 균주가 분리동정되었다. 한국산 김치에서는 Bacillus, Weissella, Leuconostoc, Pseudomonas, Lactobacillus 속 순으로, 중국산 김치에서는 Bacillus, Weissella, Lactobacillus, Pseudomonas, Serratia, Enterobacter 속의 순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의 경우, LUSM의 이용으로 한국산, 중국산 모두에서 Weissella 속이 편중되어 검출되었지만, 한국산은 Leuconostoc속이, 중국산은 Lactobacillus 속이 Weissella 속 다음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issella confusa는 한국산 김치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었고, W. soli, Serratia proteamculans는 중국산 김치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어 향후 김치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지표미생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Isolation of Weissella strains as potent probiotics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y of salted squid by fermentation

  • Le, Bao;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3-100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alted squid by inoculation of two Weissella spp. strains (W. cibaria FB-069 and W. viridescens FB-077)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 salted squid. The safety and probiotic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strains were evaluated. The safety of these strains was analyzed based on hemolytic activity, mucin degradation, biogenic amino production, and resistance to antibiotics. These lactic acid bacteria showed probiotic potential, including resistance to gastrointestinal tract conditions, adhesion to Caco-2 cells, and aggregation. The low-salted squid fermented with Weissella strains had consiste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changing their amino acid profiles. Therefore, W. cibaria FB-069 and W. viridescens FB-077 might be good candidates for fermentation of salted squid to develop functional food with enhanced health benefits.

PCR-DGGE를 이용한 누룩에서의 미생물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Nuruk Using PCR-DGGE)

  • 권승직;손재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116
    • /
    • 2012
  • 누룩은 탁주와 약주의 제조를 위한 당화효소와 알코올발효를 위한 미생물의 공급원으로서 제품의 맛과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누룩의 세균과 진균의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해 순수분리 종과 16S 및 28S rRNA gene를 대상으로 한 PCR-DGGE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누룩 내 세균의 수는 $2.7{\times}10^9$ CFU/g이었으며 순수분리와 PCR-DGGE 분석에서 우점종은 Kocuria spp., Pantoea spp., Lactobacillus spp., Pediococcous spp., Weissella spp., Staphylococcus spp. 그 외 endophytic bacterium, uncultured gamma-proteobacteria, uncultured Cyanobacteria와 Actinobacteria였다. PCR-DGGE profile에서 주된 우점종은 Pediococcous pentosaceus와 uncultured Cyanobacteria 이었다. 누룩 내 진균의 수는 $3.5{\times}10^8$ CFU/g이었으며 순수분리와 PCR-DGGE 분석에서 우점종은 Trichomonascus spp., Pichia spp., Torulaspora spp., Wickerhamomyces spp., Sacharomycopsis spp., Lichtheimia spp., Mucor spp., Rhizopus spp., Aspergillus spp., Cladosporium spp.였다. PCR-DGGE profile에서 주된 우점종은 Pichia kudriavzevii와 Aspergillus oryzae이었다. PCR-DGGE 기술은 본 연구에서 누룩의 미생물군집을 평가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미생물 다양성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Traditional Jeotgal Product in Korea

  • Cho, Gyu-Sung;Do, Hyung-Ki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06
  • Seventeen lactic acid bacterial strains (LAB) were isolated using MRS agar medium from Jeotgal, a Korean fermented food, purchased at the Jukdo market of Pohang. To identify the strains isolated, they were tested by examining their cell morphologies, gram-staining, catalase activity, arginine hydrolase activity, D-L lactate form and carbohydrate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three strain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p., ten were Enterococcus spp. (or Streptococcus spp., or Pediococcus spp.) and the rest were Leuconostoc spp. (or Weissella spp.). Five strains among 17 were chosen by preliminary bacteriocin activity test. Four bacterial strains which inhibited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4), Leuconostoc mesenteroides (HK 5), Leuconostoc mesenteroides(HK 11), Streptococcus salivarius(HK 8). In order to check LAB which are showing a high survival rate in gut, we investigated three strains inhibiting both indicator microorganisms in artificial gastric acid and bile juice -all except HK8. The three strains mentioned above grew in extreme low acid conditions.

한국전통발효식품 - 유익미생물의 잠재적인 자원과 응용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A Potential Resour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Their Applications)

  • 숩라마니얀 다라니다란;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6-502
    • /
    • 2016
  • 본 논문은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잠재적 기원으로서의 중요성으로 한국 발효식품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소비되고 있는 발표식품들은 여러 물질들을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김치, 메주, 된장, 간장, 젓갈, 막걸리와 같은 발표식품은 중요한 약리적인 성질들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 식품들은 지역 주민들에게 규칙적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품들은 Weissella spp.,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 Mucor, Penicillium, Scopulariopsis, Aspergillus, Rhodotorula, Candida, Saccharomyces, Bacillus와 유산균을 포함한 다양한 유익 미생물을 기반으로 만들어 진다. 발효식품들은 음식으로서의 이용가치의 경계를 넘어서 약리적인 식품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까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잠재적 항산화, 항암, 항콜레스테롤, 항당뇨, 항노화의 물질이 풍부한 기원으로 여기고 있다. 전반적으로 전통발효 식품은 식품공급원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을 높여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러 다양한 발효식품이 식이에 대한 효과가 과학적 보고들이 많이 출판되었고 전통발효식품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현재 많은 보고서가 있다. 식품미생물학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의 탐험과 신종균주의 분리, 미생물연구에 잠재적 응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Gajami Sikhae)

  • 배은영;조기운;김지혜;정성근;조영제;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4-342
    • /
    • 2023
  • 가자미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 40종은 Lactobacillus plantarum spp., Leuconostoc mesenteroides spp., Lactobacillus brevis spp., and Weisella paramenteroides spp.로 확인됐으며, 40종 중 10종을 선별해 검사에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미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하기 위해 산 및 인공위액 저항성, 담즙산 저항성, 자가 응집성, 공동 응집성, 세포 표면 소수성 등의 프로바이오틱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리한 유산균주는 산성 및 인공 위액에 대해 저항성을 보여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L. plantarum GS11이 가장 뛰어난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담즙산 저항성 측정 결과 모든 유산균주가 108~109 log CFU/ml의 생균수로, 100% 이상의 생존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세포 표면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응집력 평가를 한 결과, autoaggregation 능력을 46% 이상 나타내었다. 세포 표면 소수성 평가를 위해 Xylene 부착능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주에서 32.2%의 소수성을 가지는 B. subtilis 보다 더 뛰어난 세포 부착률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이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될 만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L. plantarum GS12와 L. plantarum GS13을 제외한 유산균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가자미 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진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Effects of Rubus coreanus byproducts on intestinal microbiota and the immune modulation

  • Yu, Da Yoon;Kim, Sung Hak;Kim, Jeong A;Kim, In Sung;Moon, Yang Soo;Lee, Sang Suk;Park, Hwa Chun;Jung, Jong Hyun;Chung, Yi Hyung;Shin, Dae Keun;Nam, Ki Chang;Choi, In Soon;Cho, Kwang 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429-438
    • /
    • 2018
  • Objective: Although the efficacy of Rubus coreanus (RC) byproducts as a feed additive has been recognized, its effects on intestinal microorganisms and the immune system are still unknown. Methods: Six-week-old male rats were treated with 0.5% RC (T1), 1.0% RC (T2), and 1.5% RC (T3) for 4 weeks. Results: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RC byproduc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aily gain of body weight and feed intake. Treg-cell differentiation was enhanced in the mesenteric lymph nodes and spleen from the rats fed with RC byproducts. Illumina sequencing showed that bacteria in the phylum Firmicutes decreased and while those in the phylum Bacteroidetes increased in RC-treated groups. Particularly,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the family Peptococcaceae decreased, and the non-pathogenic families Lachnospiraceae and S24-7 increase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C byproducts increased the lactic acid bacteria Bifidobacterium spp., Oscillospira spp., Leuconostoc citreum, and Weissella cibari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RC byproducts may be effective in immunomodulation by affecting intestinal microorganisms.

Identifications of Pre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the Fermenting Kimchi Using ITS-PCR and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 CHIN HWA SUP;BREIDT FRED;FLEMING H. P.;SHIN WON-CHEOL;YOON S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Despites many attempts to explore the microbial diversity in kimchi fermentation, the predominant flora remains controversial to date. In the present study, major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Chinese cabbage kimchi in the early phase of fermention. For the samples over pH 4.0, viable cell counts of Leuconostoc and Pediococcus were $10^6\;cfu/ml$ and below $10^2\;cfu/ml$, respectively, and 20 isolates out of 172 were subjected to a biochemical identification (API 50 CH kit) as well as molecular-typing methods including ITSPCR with a RsaI diges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or species confirmation. Seven isolates were nicely assigned to Lb. brevis, 6 to Leuconostoc spp. (2 mesenteroides, 2 citreum, I carnosum, I gasicomitatum), 4 to Weissella (3 kimchii/cibaria, 1 hanii) and 2 to other Lactobacillus spp. (1 farciminis, 1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data revealed 9 strains of Lb. brevis, 6 strains of Leuconostocs,2 strains of Lb. plantarum and 1 strain each of Lb. coprophilus and Lactococcus lactis. However, a single isolates, YSM 16, was not matched to the ITS-PCR database constructed in the present study. Two Lb. brevis strains by API 50 CH kit were reassigned to W kimchii/cibaria, Lb. coprophilus or W hanii,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results by the above molecular typing approaches. As a whole, the identification data obtained by the biochemical tes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ITS-PCR molecular method by about $63\%$ at genus-level and $42\%$ at species-level. The data by the ITS-PCR method conclusively suggest that predominant LAB species is probably heterolactic Lb. brevis, followed by W kimchii/cibaria, Leuc. mesenteroides, and Leuc. citreum, in contrast to the previous reports [3] that Leuc. mesenteroides is the only a predominant species in the early phase kimchi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