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y typ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y Rice in Kyonggi Region

  • Cho, Young-Cheol;Park, Jung-Soo;Park, Kyeong-Yeol;Kim, Hee-Dong;Rho, Young-D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4-258
    • /
    • 1998
  •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weedy rice in Kyonggi region were surveyed in 1996. Weedy rice was observed in 1368 fields (54.9%) of total 2490 fields. Almost two thirds of paddy fields in northern mountainous region were contaminated by weedy rice and more severe contamination, three forths of paddy fields, was observed in suburban regions. In those regions,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greater than those in north-eastern inland and south-western plain regions. The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higher in water seeding cultivation (66.7%) than other cultivation methods. The number of weedy rice per 10a was 756.7 plants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and 379.4 plants in water seeding. The occurrence of weedy rice was higher in fields planted by farmer's seeds than that of paddy fields cultivated by certified seeds, and the longer the farmer's seeds being used, the more weedy rice occurred in paddy field.

  • PDF

Variation for Morphological Characters in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 Germplasm

  • Luitel, Binod Prasad;Ko, Ho-Cheol;Hur, On-Sook;Rhee, Ju-Hee;Baek, Hyung-Jin;Ryu, Kyoung-Yul;Sung, Jung-S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8-310
    • /
    • 2017
  • Morphological variation between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and P. frutescens var. crispa were studied in 327 germplasm by examining 17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germplasm between the two varieties were varied for thei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The seed coat color of cultivated P. frutescens var. frutescens is commonly light brown and brown while deep brown color was observed in the weedy type P. frutescens var. frutescens and P. frutescens var. crispa. The leaf size, cluster length, plant height, flower number per cluster and seed weight in cultivated P. frutescens var. frutescens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from weedy type P. frutescens var. frutescens and P. frutescens var. crispa. The cultivated P. frutescens var. frutescen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lant height (158.6 cm) compared to the weedy P. frutescens var. crispa (133.8 cm). Likewise, seed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ultivated (1.9 g) than in the weedy type of P. frutescens var. frutescens (1.6 g) and P. frutescens var. crispa (1.4 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sult showed that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 cumulatively explained 86.6% of the total variation. The cultivated type P. frutescens var. frutescens and its weedy accessions were not clearly separated with P. frutescens var. crispa by PCA. Hence it requires the use of molecular marker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genetic diversity.

제초제 내성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의 표현형질 비교 (Phenotype Comparison between Herbicide Tolerant Transgenic Rice and Weedy Rice)

  • 고은미;안주희;남기정;남경희;박기웅;백경환;김창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5-22
    • /
    • 2013
  • 제초제 내성 형질전환 벼와 모본(동진벼) 및 잡초성 벼 두 계통(화성앵미 1과 광양앵미 12)의 표현형질을 비교하였다. 형질전환 벼와 모본의 질적형질은 모두 유사하였지만, 까락의 유무, 지엽 자세 및 종실 색은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 사이에 큰 차이가 있었다. 양적형질 중에서 초장, 분얼 수 및 지상부 건물중은 형질전환 벼나 모본에 비해 잡초성 벼에서 유의하게 우세했다. 형질전환 벼 및 모본의 주당 종실중과 천립중은 잡초성 벼에 비해 유의하게 무거웠다. 형질전환 벼는 모본 및 잡초성 벼에 비해 탈립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형질전환 벼의 배유 아밀로스 및 단백질 함량은 잡초성 벼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같은 형질전환 벼와 잡초성 벼 표현형질의 비교 연구는 형질전환 벼의 잡초화 가능성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들깨, 차조기 작물의 수확 후 저장 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 변이 (Variation in Seed Germin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fter Harvest in the Accessions of Perilla Species)

  • 사규진;홍탁기;박대현;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48-56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이후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율 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6년 가을에 수확한 59개의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재배형 들깨 Type I 15계통, 재배형 들깨 Type II 4계통, 잡초형 들깨 20계통, 잡초형 차조기 20계통)들에 대하여 발아율 및 발아세 조사를 하였다. 수확 후 6개월 동안의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한 발아율 조사에서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80.8%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9%와 8.7%의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8.2%의 발아율을 보였다. 그리고 발아세의 경우도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75.8%를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6%와 6.9%를 보였으며,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4.3%를 보였다. 그 결과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수확 후 1개월째보다 2개월째에서 발아율 및 발아세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 6개월째까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재배형 들깨의 경우는 2가지 Type, 즉 발아율이 높은 Type I과 낮은 Type II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모두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후 6개월까지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 변이를 이해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들의 종자발아 변이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 정지나;유창연;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0-27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circ}C$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orphological Variations Between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 Jung, Ji Na;Heo, Kweon;Kim, Myong Jo;Lee, Ju Kyo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1-370
    • /
    • 2008
  •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the two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we studied the variation of 62 accessions by examining 15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 determined that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showed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erms of plant height and seed weight. Furthermore,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could also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using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pecifical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seed weight, degree of pubescence, shape of leaf, color of leaf, fragrance of plant, color of flower, color of stem and seed size greatly contributed to differences seen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In our study,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those of its weedy type could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one another, however,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var. crispa were not clearly discriminated by the ANOVA and PCA analys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ltivated var. frutescens can be considered to be a domesticated form, while the cultivated var. crispa can not be considered to be a domesticated form in Korea and Japan. It is our belief that our results concern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among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and Japan will help ensure the long-term success of breeding programs and maximize the use of the germplasm resources in Korea.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수집한 들깨, 차조기 작물과 잡초형 계통들의 형태적 변이 (Morphological Variation of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 김진아;사규진;최승훈;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08-415
    • /
    • 2013
  • 본 연구는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수집한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10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이용된 형질들 중에서 종자크기와 종자경도는 재배형 들깨와 재배형 차조기 그리고 들깨의 재배형과 잡초형 계통들을 식별하는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재배형 및 잡초형 차조기의 계통들은 조사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성분분석 결과에서 분석에 이용된 10개의 형질들 중에서 꽃색(QL6), 엽표면색(QL3), 종자크기(QN2), 종자경도(QL1), 종자색(QL2), 줄기색(QL7), 엽이면색(QL4) 등은 1축 위에서 음의 방향에 기여하였고, 개화일수(QN1)와 잎모양(QL5), 모용빈도(QL8) 등은 1축 위에서 양의 방향에 기여하였다. 특히, 이들 형질들 중에서 꽃색(QL6), 엽표면색(QL3), 종자크기(QN2), 종자경도(QL1) 그리고 모용빈도(QL8) 등은 들깨 재배형와 차조기의 재배형 그리고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들이었다. 그러나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지가 않았다. 아직까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들깨와 차조기의 야생종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잡초형 계통들은 재배형 들깨와 재배형 차조기 작물의 기원을 이해하는데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의 종자발아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mong Accessions of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 김진아;사규진;김은지;마경호;유창연;이주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8-296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73%{\pm}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1%{\pm}3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7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22%{\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5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9%{\pm}1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1%{\pm}2$를 나타내었다. 2.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63%{\pm}2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5%{\pm}25$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3%{\pm}36$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62%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17%{\pm}21$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3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5%{\pm}10$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0%{\pm}1$를 나타내었다. 3. 재배형 들깨의 경우 102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86계통(84.3%)과 45계통(44.1%)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조건에서 각각 71계통(69.6%)과 31계통(30.4%)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28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3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의 경우 41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9계통(46.3%)과 9계통(22%)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4계통(34.1%)과 5계통(12.2%)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5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계통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잡초형 차조기의 경우 19계통들 중 저온처리 조건에서 단지 1계통(5.3%)만 50%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전혀 없었고, 대부분의 계통들은 10% 이하의 발아율과 발아세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직후 이들 작물에서 종자발아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New Biotypes of Weedy Rice (Oryza sativa L.) in Selangor North-West Project, Malaysia

  • Baki, B.B.;M.M., Shakiri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8-83
    • /
    • 2010
  • Weedy rice (Oryza sativa L.) occurred sympatrically with other weeds and the rice crop in Malaysian rice granaries. We conducted field surveys in 2006-2008 seasons in 7 farm blocks of Selangor's North West Project, Malaysia to enlist the new biotypes of weedy rice (NBWR) and assess their spatio-temporal pattern of distribution based on quantitative and dispersion indices. No less than 16 accessions of NBWR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special traits, viz. panicle type, pericarp colour, presence or absence of awn, seed type and degree of grain shattering. The NBWR accessions exhibited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traits from open panicle, grain with awns, red pericarp, short grain type, and degrees of grain shattering. Others mimic commercial rices with close panicle, awnless grains, white pericarp, long or short grain-type. Invariably, the NBWRs mimic and stand as tall as cultivated rice namely MR219, MR220, or MR235 and these NBWR accessions stand among equals morphologically vis-a-vis the commercial rice varieties. Most accessions displayed varying degrees of grain shattering in excess of 50%, except Acc9 and Acc12. The seasonal dynamics of on the prevalence of dominant NBWR accessions were also display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rm blocks. While Bagan Terap farm block, for example, did not record any measurable changes in the dominant NBWR accessions over seasons, the Sungai Leman farm block recorded measurable season-mediated changes in the dominant NBWR accessions. Sungai Leman started with NBWR Acc3, Acc4, Acc5, Acc7, Acc8, and Acc12 in season 1 of 2006/2007, but no measurable records of Acc3 and Acc5 were shown in season 2 of 2007. In season 3 of 2007/2008, only Acc8 and Acc12 prevailed in the farm block. In Sawah Sempadan farm block, season 3 of 2007/2008 showed much reduced prevalence of NBWRs leaving only Acc8 and Acc12. Most accessions registered clump or under-disperse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quantitative indices: variance-to-mean ratio (VMR) and Lloyd's patchiness values. The dynamics on the extent of infestation and prevalence of dominant NBWR accessions registered both season- and farm-block mediated differences. Most accessions showed VMR >1 thus indicative of having a clump or clustered spatial distribution, as exemplified by Acc3, Acc4, Acc7, Acc8 and Acc12 in all farm blocks throughout three seasons. Some accessions have either random or uniform distribution in a few farm blocks. The Acc8 has the highest population counts based on important value index, followed by Acc12, and both were the most dominant accession while Sawah Sempadan was the worst farm block infested by NBWR compared to other farm block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current agronomic and weed management practices, water availability and extension services in the gra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