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mong Accessions of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의 종자발아 특성

  • Kim, Jin Ah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a, Kyu Jin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 Ji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Ma, Kyoung Ho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Yu, Chang Yeon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u Kyong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진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사규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김은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마경호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이주경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1.05.3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o clarify the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we studied the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of 162 accessions (102 cultivated var. frutescens, 41 weedy var. frutescens, and 19 weedy var. crispa) in both conditions of $4^{\circ}C$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non-cold treatment. In our study,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showed more than 50% in both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both cold and non-cold treatment conditions. Whereas, most accessions of weedy var. frutescens and weedy var. crispa showed lower than 50% in both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both cold and non-cold treatment. In addition, most accession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showed much higher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4^{\circ}C$ low temperature treatm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seeds under non-cold treatment conditi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research may help for our understanding the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accessions of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73%{\pm}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1%{\pm}3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7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22%{\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5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9%{\pm}1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1%{\pm}2$를 나타내었다. 2.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63%{\pm}2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5%{\pm}25$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3%{\pm}36$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62%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17%{\pm}21$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3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5%{\pm}10$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0%{\pm}1$를 나타내었다. 3. 재배형 들깨의 경우 102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86계통(84.3%)과 45계통(44.1%)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조건에서 각각 71계통(69.6%)과 31계통(30.4%)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28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3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의 경우 41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9계통(46.3%)과 9계통(22%)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4계통(34.1%)과 5계통(12.2%)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5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계통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잡초형 차조기의 경우 19계통들 중 저온처리 조건에서 단지 1계통(5.3%)만 50%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전혀 없었고, 대부분의 계통들은 10% 이하의 발아율과 발아세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직후 이들 작물에서 종자발아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 강원대학교

References

  1. Hancock JF. 1992. Plant evolution and the origin of crop specie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2. Harlan JR. 1992. Origins and processes of domestication. In G. P. Chapman [ed.], Grass evolution and domestication, pp. 159-175.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 Honda G, Koezuka Y, Tabata M. 1990. Genetic studies of fruit color and hardness in Perilla frutescens. Japan J. Breed. 40:469-474.
  4. Honda G, Yuba A, Kojima T, Tabata M. 1994. Chemotaxonomic and cytogenetic studies on Perilla frutescens var. citiodora ("Lemon Egoma"). Natural Med. 48:185-190.
  5. Jung JN, Yu CY, Kim JH, Lee JK. 2009.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Korean J. Crop Sci. 54(3):270-278.
  6. Lee JK, Nitta M, Kim NS, Park CH, Yoon KM, Shin YB, Ohnishi O. 2002. Genetic diversity of Perilla and related weedy types in Korea determined by AFLP analyses. Crop Sci. 42:2161-2166. https://doi.org/10.2135/cropsci2002.2161
  7. Lee JK, Ohnishi O. 2001. Geographic differenti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s among Perilla crops and their weedy types in East Asia. Breeding Sci. 51:247-255. https://doi.org/10.1270/jsbbs.51.247
  8. Lee JK, Ohnishi O. 2003. Genetic relationships among Perilla crops and their weedy types in East Asia revealed by AFLP markers. Genet. Resour. and Crop Evol. 50:65-74. https://doi.org/10.1023/A:1022951002271
  9. Lee JK, Kim NS. 2007. Perilla crops and their related weedy types collected in Korea. Korean J. Breed. Sci. 39:316-323.
  10. Li HL. 1969. The vegetables of ancient China. Econ. Bot. 23:235-260.
  11. Makino T. 1961.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Hokuryu-kan, Tokyo.
  12. Nagai I. 1935. On "Shiso" and "Egoma".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10:2265-2273 (in Japanese).
  13. Nitta M, Ohnishi O. 1999.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wo Perilla crops, shiso and egoma, and the weedy type revealed by RAPD markers. Jpn. J. Genet. 74:43-48.
  14. Nitta M. 2001. Origin Perilla crops and their weedy type. Ph.D Thesis, Kyoto University, Kyoto.
  15. Nitta M, Lee JK, Ohnishi O. 2003. Asian Perilla crops and their weedy forms: their cultivation, utilization and genetic relationships. Econ. Bot. 57:245-253. https://doi.org/10.1663/0013-0001(2003)057[0245:APCATW]2.0.CO;2
  16. Schwanitz F. 1966. The origin of cultivated plant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17. Yamane Y. 1950. Cytogenetic studies in Perilla and coleus. I. Chromosome numbers. Japan J. Genet. 25:220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