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26초

충남지역 밭작물 재배지 잡초발생 및 분포현황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엄민용;박수혁;서수정;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62-268
    • /
    • 2014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하는 충청남도 17개 시 군에 속하는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콩)재배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 현황을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충남지역 주요 식량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총 36과 130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59%를 차지하는 77종, 월년생잡초가 21%로 2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0%로 26종이었다. 바랭이가 중요치 10.19%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망초(7.82%), 쇠비름(5.22%), 명아주(5.21%) 순으로 우점하였다. 환경부지정 악성 위해잡초로 분류된 서양금혼초와 가시상추를 포함한 외래잡초 44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식량작물재배지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예측 및 잡초군락 변화 파악으로 체계적인 잡초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확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GM 벼의 유전자이동 가능성 및 잡초 특성비교 (Comparison of Weed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y of Gene Flow in GM Rice)

  • 이현숙;이기환;김경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6
    • /
    • 2012
  • 이 연구는 비타민 A 강화벼(GM 벼)와 모품종인 낙동 및 일반품종을 대조로 농업적인 생육특성과 잡초를 대상으로 유전자 전이 정도를 조사하였다. GM 벼의 농업적인 특성에서 모품종인 낙동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우점 잡초군과 건물중에서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GM 벼와 모품종인 낙동 재배구의 우점 잡초는 물달개비, 올방개, 좀개구리밥, 물피 등의 10여 종이었다. 잡초의 유전자 전이 정도를 PCR 분석 결과, GM 벼와 낙동 그리고 우점잡초 8종에서 유전자 전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타민 A 강화벼의 화분이 비래하여 비표적 다른 품종의 벼 또는 주변 잡초에 유전자 이동이 일어나 외래유전자가 함유된 잡초가 출현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 재배 시 피복비닐 제거시기에 따른 잡초발생과 조의 생육 및 수량 변화 (Change of Weeds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Cultivation by Polyvinyl Chloride Removing Time)

  • 황재복;박태선;최영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36-240
    • /
    • 2016
  • 조의 피복비닐의 적정 제거시기를 구명하고자 조 생육특성과 잡초방제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표토관리별조의 초장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한 관행구가 75.2 cm이었으며, 무처리구가 57.5 cm로 초기생육에서는 피복비닐 처리구가 초기 지온과 수분의 영향으로 양호하였다. 조의 출수기는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무처리구보다 2-3일 정도 빨랐다. 표토관리별 토양수분 함량은 파종 후 20일과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 그리고 무처리구가 피복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파종 후 40일구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표토관리별 잡초발생량은 피복비닐을 파종 후 20일, 30일에 제거한 구에서 각각 86.5%, 84.0% 정도로 방제효과가 있었다. 수량은 파종 후 30일에 피복비닐을 제거한 구가 $355kg\;10a^{-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파종 후 20일 순이었으며, 대조구는 도복에 의한 수량 감소로 $275kg\;10a^{-1}$이었다. 조재배 시 피복비닐의 제거시기는 파종 후 30일이 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옥수수밭 예방적 잡초방제를 위한 가묘상 처리 시기 (False Seedbed Weed Control under Different Preparation Date and Method in Organic Corn Field)

  • 이병모;조정래;안난희;옥정훈;김석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9-304
    • /
    • 2014
  • 본 연구는 예방적 잡초방제 중 하나인 가묘상의 이용방법을 체계화 하고자 처리방법과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옥수수 밭에서 수행하였다. 가묘상 처리 적기를 찾기 위하여 5월 초부터 6월 초까지 1주 단위로 실시하고 3주와 7주 후 발생 잡초를 조사하였다. 잡초 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가묘상 처리시기는 5월 하순 이후 처리, 처리 방법으로는 화염 제초가 얕은 경운 처리보다 다소 좋았다. 또한 5월 중순 이후 가묘상 1회 처리시 무처리구 대비 27-52%였던 잡초억제율이 2회 처리시 70-90%로 높아져 가묘상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옥수수 생육 및 수량 또한 5월 하순 이후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이 결과를 종합했을 때 가묘상 처리 적기는 5월 하순 이후였으며 얕은경운 또는 화염으로 2회 처리를 하면 효과적인 초기잡초관리를 수행할 수 있었다.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and its mixture with pine leaves on efficacy of weed control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addy fields)

  • 이상일;박기웅;원옥재;박수혁;엄민용;황기선;김영태;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11-116
    • /
    • 2015
  •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kg/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