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27초

벼 건답직파답(乾畓直播畓)에서 사마귀풀 발생양상(發生樣相)과 방제체계(方劑體系) (Occurrence and Control System of Aneilema japonica in Dry Seeded Rice)

  • 문병철;박성태;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8-113
    • /
    • 1996
  • 건답직파답(乾畓直播畓)에서 중요 우점초종(優點草種)인 피를 전년도에 방제시(防除時) 다음해 잡초발생(雜草發生) 생태변화(生態變化)와 직파답(直播畓)에 발생이 증가(增加)되고 있는 사마귀풀의 효과적(效果的)인 방제연구(防除硏究)를 위해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년도 출수전(出穗前) 피를 완전히 방제(防除)한 구는 무방제구에 비하여 총(總)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파종후(播種後) 30일에 47.7%, 파종후(播種後) 60일에 7.8%가 감소(減少)하였다. 초종별(草種別)로는 파종후(播種後) 60일에 피는 46.9% 감소(減少)하였으나 사마귀풀, 여뀌는 각각 231%, 11.8% 증가(增加)하였다. 2. 군락내(群落內) 발생초종의 다양성(多樣性) 정도를 나타내는 다양성(多樣性) 계수(係數)는 방제구에서 낮았으며 방제구에서는 피의 우점도(優點度)가 떨어진 반면 특히 사마귀풀의 우점도(優點度)가 높아졌다. 3. 사마귀풀은 대체로 파종후(播種後) 40일 전후부터 벼 생육(生育)에 영향을 주었고, 사마귀풀 $m^2$당 300본 및 700본 구는 무발생구(손제초구)대비 수수가 61-72% 적고 등숙비율(登熟比率)이 5-15% 떨어져 쌀 수량(收量)이 74-93% 감수(減收)되었다. 4. 수량성과 다른 잡초방제효과(雜草防除效果)를 고려한 사마귀풀의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방법(防除方法)은 Butachlor(파종후(播種後) 5일)와 Propanil/Molinate(파종후(播種後) 25일)를 체계처리(體系處理)와 파종후(播種後) 20일 Lgc 40863 + Pendimethalin의 일발처리(一發處理) 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라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 PDF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의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Herbicidal Spectrum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Soybean Field)

  • 강병화;김한수;김태완;용필순;안창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2-196
    • /
    • 1990
  • Two-dimensional 분석법(分析法)이 잡초(雜草)와 제초제(除草劑) 군락형(群落型)을 분류(分類), 제초제(除草劑)의 합리적(合理的)인 혼합처리(混合處理) 방법(方法) 모색(摸索) 및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발생(發生)한 잡초군락(雜草群落)에 따른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을 예찰(豫察)하기 위한 방법(方法)으로 이용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되었다. 1. 11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피(56%) - 명아주(10%)-쇠비름(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덕소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11개(個) 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고 쇠비름(58%) - 피(29%) - 참비름(5%) - 바랭이(3%)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연천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9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Clom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Quzalofopmethyl, Haloxfop 및 Kusagard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쇠비름, Bentazon 처리구에서는 피의 우점(優占)이 뚜렷하였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이 단순히 유하성계수(類似性係數)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效果的)으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증대 및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를 위한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資料) 제공(提供)이 더 용이하였다.

  • PDF

피복작물과 파종법에 따른 잡초발생과 수수의 생육 및 수량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and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 전승호;윤을수;박창영;황재복;정기열;최영대;김현주;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7-1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수 재배에서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잡곡의 작부체계 개선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수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벳지와 호밀 처리가 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출수일은 비닐피복구, 벳지구, 무처리구, 호밀구 순으로 빨랐으며 직파보다는 이식에서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벳지구 > P.E.처리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밀 직파구에서 -47.5%로 가장 저조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생육 초기와 중기에서는 P.E.처리구 > 벳지구 > 무처리구 > 호밀구 순으로 높았으나, 후기에서는 호밀구에서 증가하거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변화의 폭이 적게 나타났다. 잡초종은 무처리에서는 16종, 호밀구와 벳지구에서 각각 10종, 6종의 초종이 발생하였다. 발생 개체수는 무처리 직파구에서 262.0 본 $m^{-2}$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제가는 벳지 이식구에서 78.9%로 가장 높았다. 벳지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억제효과가 높았으나 호밀구에서는 화본과 잡초에 비해 광엽잡초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수량은 벳지 이식구 > P.E. 이식구 > 호밀구 이식구 ${\fallingdotseq}$ 무처리 이식구 > 벳지 직파구 > P.E. 직파구 > 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몇가지 잡초들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알팔파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Effect of Some Weed Species Extracts and Residues on Alfalfa)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5-294
    • /
    • 1994
  • 본 실험은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velvetleaf등을 비롯하여 7종류의 잡초를 마른 상태와 생체상태로 각각 수확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물질을 추출 이들을 alfalfa 종자 발아와 생육정도 검정에 사용하여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억제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중 억제효과가 제일 큰 velvet-leaf의 추출물은 여러 농도로 silica sand와 혼합하여 alfalfa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토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추출물 처리는 alfalfa의 발아율, 발아세,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을 억제시켰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 보다 더 큰 타감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 정도를 보였다. 또 alfalfa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이었다. 2. 농도에 따르는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다. 3. 건조된 velvetleaf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에서 잔기의 비율이 증가 될수록 alfalfa의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그 정도는 잔기 비율 1%에서 가장 억제적이었다. 4. 잡초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alfalfa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 하여 타감작용이 인정되었다.

  • PDF

보온절충(保溫折衷) 못자리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한 연구(硏究) (Weed Control with Herbicides in Protected Semi - irrigated Rice Seedbed)

  • 양환승;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9-178
    • /
    • 1984
  •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유망시(有望視)되는 제초제(除草劑) 8종(種)에 대(對)하여 수축(收縮)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1. Benzophenap(240g) 및 pyrazoxyfene(200g)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인정(認定)되지 아니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도 만족(滿足)스러웠다. 2. Dimepiperate(210g) 단제(單劑), dimepiperate + probenazol(210+120g) 합제(合劑) 및 dimepiperate + molinate + probenazol(120+120+120g) 합제(合劑) 등(等)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에 있어서 피에 대(對)하여는 우수하였으나, 그 이외(以外)의 공시초종(供試草種)은 저조(低調)한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냈다. 3.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120g) 등(等)의 합제(合劑)는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초기유묘(初期幼苗)와 근신장(根伸長)을 약간 저해(沮害)하는 현상(現象)을 보였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는 회복(回復)되었으며,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우수하였으나 butachlor + chlormethoxynil 합제(合劑)는 공시다년생잡초(供試多年生雜草)에 대(對)하여는 만족(滿足)스럽지 못하였다. 4. Chlormethoxynil(180g)은 초기약해(初期藥害)가 없었으며 공시(供試)한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에 대(對)하여 우수한 제초효과(除草效果)를 나타냈다. 5.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이 있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기(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6. 근활력(根活力)은 butachlor + pyrazolate(70+120g) 및 butachlor + chlormethoxynil(60 + 120g)등(等)의 합제구(合劑區)에서 약종후(藥種後) 12일(日)에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나 경시적(經時的)으로 회복(回復)되었으며 그 이외(以外)의 처리구(處理區)는 조사시간(調査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 PDF

Bensulfuron-methyl 혼합(混合)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사용법(使用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 for Paddy Rice by Bensulfuron-methyl Combination Suspension Concentrate)

  • 류갑희;박재읍;이인용;이한규;이정운;박영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3
    • /
    • 1994
  • 본(本) 실헌(實驗)은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고 사용(使用) 기술(技術) 개발(開發)을 자연(目的)으로 수행(遂行)하였다. 1.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입제(粒劑)와 유사(類似)하였다. 2.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확산(擴散) 거잡(距雜)는 6m 이상(以上)이었다. 3.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를 관수시(灌水時) 물꼬처리(處理)와 담수(湛水) 후(後) 논뚝처리(處理)한 후(後) 제초효과(除草效果)는 90% 이상(以上)이었다. 4.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침강속도(沈降速度)는 1시간(時間)에 1-2cm 정도(程度)였다. 5.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담수심별(湛水深別)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담수심(湛水深) 0-1cm에서 보다 6-7cm에서 더 높았다.

  • PDF

경북지역 고추, 콩, 옥수수, 배추밭의 잡초종 발생 분포와 우점 양상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95-103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지역 17개 시 군의 고추, 콩, 옥수수 및 배추 재배포장에 발생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고추밭 32과(family) 132종(국화과 23종, 벼과 10종, 메꽃과 8종), 콩밭 31과 116종(국화과 21종, 벼과 10종, 메꽃과 9종), 옥수수밭 37과 134종(국화과 16종, 벼과 12종, 메꽃과 11종), 배추밭 35과 170종(국화과 28종, 메꽃과 14종, 벼과 13종)이 출현하였다. 작물별 우점도는 고추밭 쇠비름 10.07, 콩밭 바랭이 9.63, 옥수수밭 바랭이 8.28, 배추밭 속 속이풀 8.35로 나타났다. PCA-covariance 분석을 통한 주요 잡초군락은 냉이로 대표되는 배추밭과 돌피로 대표되는 옥수수밭 그리고 공통적으로 왕바랭이, 쇠비름 및 깨풀로 대표되는 고추밭과 콩밭으로 구별되었다.

시비조건과 제초제의 연용이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and Yearly Application of Identical Herbicides on Weed Succession and Yields of Rice)

  • 이종영;박석홍;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7-292
    • /
    • 1981
  • 무비, 퇴비, 금비, 생고의 시비조건과 동일 제초제를 동일 포장에 4년간 연용하였을때 일어나는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은 모든 시비조건에서 매년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퇴비구에서 현저하게 급증되었다. 2. 올갱고랭 이는 전만적으로 모든 시비조건에서 최우점잡초이 었으며 무비구에서는 올방개, 을챙고랭이, 쇠털골, 전비구에서는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물달개 비, 퇴비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생고구에서는 올챙고랭이, 너도방동산이가 우점화원경 향이었다. 3. 잡초의 발생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매년 급증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Butachlor와 Nitrofen 구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4. Butachlor 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Nitrofen 구에.서는 가래와 너도방동산이, Benthiocarb -S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 Bentazon 구에서는 가래, Oxadiazon과 CG 102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와 가래가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5.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일년생잡초는 Oxadiazon과 CG 102 Benthiocarb-S 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 었으며 다년생잡초는 Butachlor, Nitrofen과 Bentazon을 연용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6. 수도의 수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Butachlor와 Nitrofen 연용시에 감수정도는 더 큰 경향이었다. 7. 따라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은 내성인 잡초의 만연을 초래하여 수도의 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제한된 특정 간제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와 번갈아 사용하거나 혼합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남부(南部)논에서의 수도작기변동(水稻作期變動)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에 연구(硏究) (Weed Emergence and It's Competition in the Differently Cropped Paddy Fields in Southern Districts)

  • 허상만;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4
    • /
    • 1985
  • 남부지역(南部地域)의 논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농산(農産)벼와 동진(東津)벼를 공시(供試)하여 보통기(普通期)와 맥후작기재배(麥後作期栽培)에서 비교(比較)하였다. 이앙후(移秧後) 15일간격(日間隔)으로 조사일정(調査日程)을 정(定)하고 각기간(各其間)까지 잡초방임(雜草放任) 또는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를 유지(維持)하면서 시험구별(試驗區別)로 잡초발생(雜草發生)을 조사(調査)하고 수확기(收穫期)에 수도생육량(水稻生育量) 수량요소(水量要素) 및 수량조사(收量調査)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우점종(優占種)은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었으며, 사초과(莎草科) 잡초(雜草)의 종우점도(種優占度는 맥후작(麥後作)보다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 동진(東津)벼 보다는 농산(農産)벼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은 보통기(普通期)의 경우, 동진(東津)벼 보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는 적었으나 생육량(生育量)은 컸으며, 맥후작기(麥後作期)에서는 오히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가 많고 생육량(生育量)은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3. 공시(供試)했던 두 품종(品種)의 벼 모두가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엽중(葉重)과 정조중(正租重)의 감소(減少)가 인정(認定)되었으며,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는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농산(農産)벼),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等熟率)(동진(東津)벼)의 감소(減少)에 의하여,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과(等熟率)과 립중감소(粒重減少)로 감수(減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가 우점(優占)했던 본 연구(硏究)의 경우, 수도(水稻)의 잡초경합특성(雜草競合特性)은 치명적(致命的)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고 잡초발생허용기간(雜草發生許容期間)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짧은 경향(傾向)이었다. 5.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인한 벼의 최대감수(最大減收)는 품종(品種)과 작기변동(作期變動)에 따라 무잡초구(無雜草區)의 25~55%에 달하였다.

  • PDF

고추밭 잡초 피와 명아주 발생밀도에 따른 경합 및 고추 수량 감소 (Competitiveness and Yield Loss of Red Pepper by Densities of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and Chenopodium album L.)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전수경;박상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7
    • /
    • 2011
  • 본 시험은 2010년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고추 재배포장에서 밭 잡초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잡초 중 피와 명아주를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고추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건고추수량 감소를 예측하여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잡초를 완전 방제 했을 경우를 가상한 건고추 수량은 명아주에서 10a당 323.2kg으로 피의 317.0kg 보다 다소 높았으며, 고추와 잡초의 경합력은 명아주에서 0.29으로 피의 0.1707 보다 높았고, 수량 예측식은 명아주가 y=323.2kg/(1+0.29x), $R^2$=0.896, 피가 y=317.0kg/(1+0.1707x), $R^2$=0.895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을 10a당 6,500원, 제초제 살포 인건비를 20,000원, 건고추의 가격을 kg당 8,000원, 제초제 방제가 95%로 적용하여 구한 경제적 피해 한계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10a당 323.2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29인 명아주는 $100m^2$당 3.7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317.0kg이고 잡초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1707인 피는 $100m^2$당 6.5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