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ed Science

검색결과 1,467건 처리시간 0.03초

경북지역 논 잡초 발생분포 조사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6-12
    • /
    • 2014
  • 본 조사는 2013년에 경북지역 13개 시 군의 320지점에서 논 잡초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북지역의 논잡초 조사결과, 27개과(family) 51초종(species)이었고 과별로는 벼과(family) 9초종, 사초과(family) 5초종, 마디풀과(family) 4초종, 국화과(family) 4초종 순으로 나타났다. 발생 잡초종의 생활형태는 일년생잡초 34종, 다년생잡초 17종으로 대부분 일년생잡초였다. 경북지역의 우점잡초는 물달개비(10.80%) > 좀개구리밥(10.74%) > 가막사리(8.77%) > 강피(7.17%) > 올챙이고랭이(6.20%) > 올방개(6.13%) > 벗풀(5.85%) 순이었다. 물달개비, 좀개구리밥, 가막사리, 강피,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의 우점도는 전체 잡초종의 50%이상 차지하였고 TWINSPAN 분석을 통한 지역별 잡초종의 유사성은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외풀, 마디풀, 뚝새풀에 의해 구분되어 추후 경북지역 논 잡초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답전윤환(畓田輪換) 콩 재배지(栽培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방제(防除) (Weed Occurrence and Control at Soybean Culture in Rice-Soybean Rotated Paddy Field)

  • 김길웅;신동현;박상조;정종우;황상섭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3-320
    • /
    • 1995
  • 논을 밭으로 전환(轉換)하여 콩을 파종 재배하였을 때 잡초발생동태 및 효과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한 일련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밭으로 전환시(轉換時) 주요 발생 잡초는 (좀)바랭이, 피, 좀명아주, 속속이풀, 벼룩나물 등이었으며 첫해보다는 2년째에 광엽잡초 특히, 좀명아주, 속속이풀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4월 26일 파종구에 비하여 5월 20일에 파종했을 때 잡초의 발생량이 84.8%(건물중 기준) 감소되었다. 2. 무방제(無除草) 방임(放任) 상태(狀態)에서는 콩의 분지수, 주경의 지름, 꼬투리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콩의 수량이 70% 감소되었다. 3. 답전윤환 콩재배지에서는 pendimethalin, metolachlor, metolachlor+prometryn, alachlor 처리로 효과적인 잡초방제가 가능하였고 그 중에 metolachlor+prometryn가 가장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