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3.0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35초

Web 2.0기반 유비쿼터스 소프트웨어 로봇 플랫폼의 구현 (Implementation of Ubiquitous Software Robot Platform based on Web 2.0)

  • 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3-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Web 2.0 기반의 자유로운 저작과 전이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소프트웨어 로봇의 플랫폼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언제, 어디서든지, 임의의 장치로 전이되며 사용자에게 맞춤형 감성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선, 소프트웨어 로봇이 표준화된 데이터와 구조를 지니는 플랫폼 형태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 제안된 소프트웨어 로봇 플랫폼 (Sobot 플랫폼)은 크게 단말 플랫폼, 서버 플랫폼, 저작 도구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PC, 휴대폰, PDA, 웹포탈, 실제 로봇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감성형 소봇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감성형 소봇의 자유로운 전이가 가능하다. Web 2.0 기반의 Sobot 플랫폼의 의의 고찰 및 다양한 실험 결과는 제안된 Sobot 플랫폼의 effectiveness와 feasibility를 입증한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 노동조;민숙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195-223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179개 4년제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실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1) 이용자 서평, (2) RSS, (3) 태그, 태그 크라우드, (4) 모바일 앱, (5) Facet 기능, (6) Open API의 순이다. 둘째,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를 가장 많이 제공하는 도서관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의 순이며, 5개 이상 9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31개 기관, 4개 이하로 제공하는 기관이 145개 기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는 9개 항목(이용자 서평, RSS, 모바일 앱, Facet 기능, 블로그, 트위터, 개인화서비스, 소장위치 문자전송, 페이스 북)에서 국공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운영비율이 높았고,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사립대학교가 국공립대학교보다 운영 비율이 높았다.

Effect of countermeasures on the galloping instability of a long-span suspension footbridge

  • Ma, Ruwei;Zhou, Qiang;Li, Mingshui
    • Wind and Structures
    • /
    • 제30권5호
    • /
    • pp.499-509
    • /
    • 2020
  • The aeroelastic stability of a long-span suspension footbridge with a bluff deck (prototype section) was examined through static and dynamic wind tunnel tests using a 1:10 scale sectional model of the main girder, and the corresponding aerodynamic countermeasures were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First, dynamic tests of the prototype sectional model in vertical and torsional motions were carried out at three attack angles (α = 3°, 0°, -3°). The results show that the galloping instability of the sectional model occurs at α = 3° and 0°, an observation that has never been made before. Then, the various aerodynamic countermeasures were examined through the dynamic model tests. It was found that the openings set on the vertical web of the prototype section (web-opening section) mitigate the galloping completely for all three attack angles. Finally, static tests of both the prototype and web-opening sectional model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aerodynamic coefficients, which were further used to investigate the galloping mechanism by applying the Den Hartog criterion. The total damping of the prototype and web-opening models were obtained with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and aerodynamic damping. The total damping of the prototype model was negative for α = 0° to 7°, with the minimum value being -1.07%, suggesting the occurrence of galloping, while that of the web-opening model was positive for all investigated attack angles of α = -12° to 12°.

한국과 미국 정부기관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한 자동화 평가 도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gorithms for Web Accessibility Evaluations)

  • 홍순구;박지용;이대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8-48
    • /
    • 2006
  • 웹 접근성 평가를 위해 표준 평가항목인 W3C의 웹 접근성 지침(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1.0)을 기반으로 개발된 자동화 평가도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화평가도구를 이용한 웹 접근성 평가는 평가의 용이성과 객관성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평가 결과의 신뢰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해 자동화 평가도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image'와 'table' 콘텐츠 평가를 위한 수정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한국 정부기관의 4개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웹 접근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 수정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자동화 평가도구 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웹상에서 농업수리시설물에 대한 자료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ata Management System for Irrigation Facilities on World Wide Web)

  • 고홍석;오동석;최진규;고남영;백영기;박순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81-87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data management system which manages the database on World Wide Web(WWW). It is the pa.0 of WISIF(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Irrigation Facilities) which is a prototype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irrigation facilities. This system includes a web serve. and a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Netscape Enterprise Server 3.0 is used for a web server and for the latter, Oracle DBMS 7.3 for NT is used for a RDBMS. Users can cornet the database through a web browser, such as Netscape Communicator, to insert, update, delete and search data they want

  • PDF

인터넷 영양정보의 모니터링-메타데이터의 분석 (Monitoring of On-Line Nutrition Information-Analysis of Meta Data)

  • 강혜경;강명희;유경혜;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8호
    • /
    • pp.688-70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appropriate the on-line nutrition information was externally as a web information. Four-hundred-ninety-seven web sites from 5 internet search engines (Yahoo, Empas, Nate, Hanmir, Naver)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April 25th, 2004. The skillful personnels monitored them about 8 evaluating categories: clarity, purpose, authority, durability, advertisement, privacy and/or security, responsibility, and contents. Forty percent of the selected web sites were operated by the companies which had commercial purpose like internet shopping malls and 5.6% by academies, societies, research institutions, schools/colleges and public institutions. Most of web sites (76.1 %) were managed for advertisements and sales of companies' commodities, and 32.6% had the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as first purpose. Ninety-three percent of web sites were targeted to healthy individuals through whole life cycle. Specifically, there were lots of web sites for the obesity which were offered by diet related companies. Of the 497 web sites, 193 mentioned the name providing the nutrition information, but only 1/3 had reliability on their specialty. As a source of nutrition information, 52.7% of web sites were using 'books of the major field' and 42.0% 'newspapers' and 23.7% 'broadcasting', respectively. Most web sites mentioned 'setting-up date' but not 'renewal date'. Thirty-six percent of web sites took '2 - 3 days' for the operators to answer the questions through the bulletin. Forty-seven percent of web sites answered' 1 - 10 questions' per 1 week, but 40.1 % of them didn't answer for a week at all. There were 118 web sites (23.7%) to record the connected frequencies and 36.0% of them put the advertisements. Around 96% of web sites mentioned feedback addresses. Among the menus of web sites, 68.0% were about self-advertisement and 64.0% about nutrition information. Each web site was scored to judge its external quality according to the operators by selecting 13 items. Web sites managed by public institution had highest scores (9.5), and lowest in private vendors', food companies' and individual web pages. Among search engines, Naver got the highest score of 7.0 and Nate the lowest one of 6.1. As it was only the pilot study, there were several limits in evaluating tools, time and monitored quantity. To make monitoring of on-line nutrition informatiions actively, standardized monitoring forms might be developed under the integrated studies.

SVM과 로짓회귀분석을 이용한 흥미있는 웹페이지 예측 (Predicting Interesting Web Pages by SVM and Logit-regression)

  • 전도홍;김형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7-56
    • /
    • 2015
  • 흥미 있는 웹페이지의 자동화된 탐색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웹페이지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는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 자동화가 가능하다. 흥미 있는 웹페이지를 구분하는 작업은 판별 문제에 속하며, 우리는 실증을 위해 화이트 박스의 학습 방법(로짓회귀분석, 지지기반학습)을 선택한다. 실험 결과는 다음을 나타내었다. (1) 고정효과 로짓회귀분석, polynomial 과 radial 커널을 이용한 고정효과 지지기반학습은 선형 커널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2) 개인화가 모델 성능을 향상시킴에 있어 주요한 이슈이다. (3) 사용자에게 웹페이지에 대항 흥미를 물을 때, 구간은 단순히 예/아니 도 충분할 수 있다. (4) 웹페이지에 머문 기간이 매초 증가할 때마다 성공확률은 1.004배 증가하며, 하지만 스크롤바 클릭 수 (p=0.56) 와 마우스 클릭 수 (p=0.36) 지표는 흥미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3-태그 기반의 웹 이미지 검색 기법 (3-tag-based Web Image Retrieval Technique)

  • 이시화;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65-1173
    • /
    • 2012
  • 웹2.0 환경에서의 대중적인 기술 중 하나는 태깅이며, 현재 블로그와 같은 웹 문서에서부터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태깅에 사용된 태그가 정보 검색에 재사용되어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실제로는 부정확한 태그로 인해 낮은 검색 결과를 제공 하고 있다. 이에 선행 연구에서는 웹상에 산재되어있는 다양한 리소스 및 그에 따른 태그 정보들을 수집하여 태그들 간의 연관성에 따라 맵핑하고, 이를 클러스터링 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된 태그들을 검색에 활용하는 3-태그 기반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태그 기반 대표 사이트인 Flicker 사이트의 이미지 검색 결과와 정확성 및 재현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2E Services

  • Sang Hoon Lee;Min-Ju Kim;Su-Yeon K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3호
    • /
    • pp.792-811
    • /
    • 2023
  • Recently, Web 3.0 services such as virtual currency, block chain, and NFT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Users who depended on platforms are moving away from being dependent on service providers and moving to Web 3.0 services. Representative services of Web 3.0 include P2E (Play to Earn) and M2E (Move to Earn). In the case of P2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s it is widely covered in the press and media, but research on M2E is relatively lacking.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M2E by using the expa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ternal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M2E's own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the propose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goodness of model fi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fitability, innovativeness, and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haracteristics, and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social influ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icient service oper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users are presented to M2E platform providers.

WSDL 2.0을 이용한 ETSI 표준 M2M 플랫폼과 이종의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차원의 통합 방안 연구 (Research on Service-Level Integration of ETSI M2M Platform with Heterogeneous Web Applications based on WSDL 2.0)

  • 박윤정;민덕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42-1850
    • /
    • 2013
  • ETSI 표준 M2M 플랫폼은 M2M을 위한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본 논문에서는 WSDL 2.0 표준 문서를 이용하여 ETSI 표준 M2M 플랫폼 서비스를 SOAP, HTTP 및 CoAP 형태의 웹 서비스로 제공 가능하게 함으로 서비스 차원에서 이종의 웹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차원의 통합 방안은 (1) M2M 플랫폼의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WSDL 2.0 문서로 기술하는 단계, (2) 제시된 웹 클라이언트 생성기에 따라 WSDL 2.0 문서를 토대로 SOAP, HTTP 및 CoAP 웹 클라이언트를 생성하는 단계, (3) 제시된 웹 프로토콜 변환기로 웹 서비스 실행 시 이종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