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Hardware Control Technologi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개방형 CNC를 응용한 하이브리드 머신 개발 (Hybrid Machine with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 김선호;김동훈;박정환;고태조;구태중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8-342
    • /
    • 2003
  • Hybrid machine is based on hardware technologies of machine tool and software technologies of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In machining technology, combination technology of turning, milling, and grinding and in machining energy technology. combination of mechanical, electrical, and chemical technology are developed. This paper describes hybrid machine technology for combination of machining, on-machine measurement, on-machine CAM, and on-machin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in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environment. For on-machine measurement, non-contact measurement technology based on CAD information is developed. For on-machine CAM, interactive CAM program for automatic NC program generation and tool path simulation is developed. For generation on-machin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uitable interface method between web program and CNC is proposed. The developed hybrid machine technology is implemented in 3 axes milling machine for evaluation of operablity.

  • PDF

개방형 하드웨어 플랫폼 기반의 확장 용이한 스마트 홈 IoT 시스템 (An Extensible Smart Home IoT System Based on Open Hardware Platforms)

  • 이진해;박광일;신종하;유성은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69-377
    • /
    • 2016
  • Recently, many changes have been made to people's life patterns as the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ICT industry. The fusion of smart phones and various IT technologies has brought people convenience and welfare. A typical example of such fusion is the smart home. However, the existing smart home systems are difficult to be changed or extended. So we design a new smart home system with extensibility that can easily adopt legacy appliances and be scaled up. Among a variety of smart home features, this paper deals with IoT Devices that are responsible for controlling power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nsing values, IoT Gateway that connects users and consumer electronics via Internet, and Smart Home Manager that monitors and controls these components in the proposed smart hom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nected Car Platform Architecture for New ICT Convergence Services

  • Kook, Joong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7-54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nected car platform architecture called Mobile Second for developing of verity convergence services. A Mobile Second platform architecture is designed to provide more powerful and diverse convergence services for vehicles and drivers by applying technologies of Connected Car and ICT Convergence in various ways. The Mobile Second platform is implemented by applying Tizen IVI and Android to hardware platforms for IVI, Nexcom's VTC1010 and Freescale's i.MX6q/dl respectively. The Mobile Second platform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vehicle's information via IVI devices, mobile devices and PCs, etc., and provides Vehicle Selective Gateway(VSG) and Vehicle Control Framework for the driver to control his/her vehicle, and also provides a web framework to enable the use of VSG's APIs for the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vehicle information in various mobile environments as well as IVI devices. Since the Mobile Second platform aims to create new variety of services for Connected Car, it includes service frameworks for Smart Care / Self diagonostics, Mood & Entertainment services, and Runtime, libraries and AP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applications. The libraries given by the Mobile Second Platform provides both a native library for native application support and a Java Script-based library for web application support, minimizing the dependency on the platform and contributing the convenience of developers at the same time.

모던 웹 브라우저(Modern-Web-Browser) 기반 애플리케이션 성능분석을 위한 요소 연구 (Research for the Element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Modern-Web-Browser Based Applications)

  • 박진태;김현국;문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8-281
    • /
    • 2018
  • 초기의 웹 기술은 텍스트 위주의 정보를 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웹 기술이 발전하면서 브라우저를 통해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해졌다. 웹 기술이 센서 네트워크, 하드웨어 제어,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물인터넷의 인터페이스에 웹 브라우저를 탑재해 HTTP 통신으로 센서를 제어하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 웹 플랫폼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웹 어셈블리의 개발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수 없었던 3D 객체, 가상/증강 현실 콘텐츠를 C계열의 네이티브 언어를 통해 실행 가능해졌다.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는 요소는 퍼포먼스, 네트워크 리소스, 보안 등의 요소들이 있었다. 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되는 분야가 다양해진 만큼 이 요소들에 대한 재해석과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주요점, 보완되어야 하는 사항 등을 검토하여,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한 지표를 정립하고자 한다.

  • PDF

양액재배를 위한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 (Study Growth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ling Platform for Hydroponic)

  • 연인원;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9호
    • /
    • pp.1132-1140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농업분야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IT농업과 미래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ICT 기반 미래 농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액재배를 위해 온습도, pH(hydrogen ion), EC(Electric Conductivity) 등 생육환경을 모니터링 하는 동시에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도록 LED, 쿨링팬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해 아두이노(Arduino) 하드웨어와 자바(Jav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으며, Wi-Fi 공유기를 활용해 소켓통신을 하고 데이터베이스 및 웹서버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환경에서 식물을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LED를 활용한 재배로 병해충이 생기지 않는 환경에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단순 양액재배보다 빠르게 재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ICT 미래 농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감염병 대응 비콘 스캐너 기반의 병실 모니터링 서비스 개발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Ward Monitoring Service Using Bluetooth Low Energy Scanners fo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 이규만;박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87-29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메르스와 같은 대규모 감염질환의 확산 경로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의료서비스가 요구되면서 ICT 기술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의료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비콘 스캐너 기반의 병실 모니터링 서비스 개발을 시도하였다. Beacon 하드웨어 개발과 Beacon 저전력 블루투스 4.0(Bluetooth Low Energy, BLE)용 펌웨어 개발 및 서버 및 웹기반 대시 보드 UI 개발을 통하여 위치기반서비스로 환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웹 UI 기반으로 모니터링 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비콘이라는 온라인 기술이 제대로 접목되지 못했던 곳에 온라인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오프라인 병원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적극적인 감염대응 및 환자안전에 그 가치를 둘 수 있다.

학습효율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Hybrid Engineering Experiment System for Enhancing Learning Efficiency)

  • 김동식;최관순;이순흠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79-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에 우수성, 유효성, 그리고 경제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웹기반 가상실험실과 웹기반 원격실험실을 적절하게 통합한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서버 분산환경을 설계하여 디지털 시스템과 전기전자회로 실험에 대한 웹기반 가상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가상실험시스템은 개념학습세션, 가상실험세션, 평가세션등의 3개의 주요한 세션과 이들 주요세션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학습효율의 극대화를 달성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실험세션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현실감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전자회로를 실험할 수 있는 웹기반 원격 실험실을 구현하였다. 더욱이 간결하고 사용자가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쉽게 원격실험실에 접속할 수 있으며, 고가의 실험장비가 실제 실험실에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자기주도의 심화학습이 가능하다. 제안된 가상/원격실험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웹상에서 두 개의 시스템을 통합하여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공학실험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상호작용적인 학습환경을 제공하여 공학실험교육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다.

IoT-enabled Solutions for Tour Photography Services

  • Jeong, Isu;Baek, Seungwoo;An, Eunsol;Kim, Yujin;Choi, Jiwoo;Yun, Jae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7-1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관광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소규모 투자와 최소한의 인력만으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관광 사진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솔루션을 제안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국제 IoT 표준인 oneM2M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IoT 카메라를 구현하고 이 과정에서 센서 및 액추에이터들을 oneM2M 표준 디바이스로 변환이 가능한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포토존에 설치된 IoT 카메라는 oneM2M 기반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웹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앵글 조절이 가능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관광지 밖에서도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촬영했던 사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솔루션을 발판으로 복합 서비스 산업 중 하나인 관광 분야에서도 IoT 관련 기술들이 보다 활발히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 지능형 공간 구현 (Implementation of User-friendly Intelligent Space for Ubiquitous Computing)

  • 최종무;백창우;구자경;최용석;조성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443-45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지능형 공간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전등, TV, 오디오, 전자 열쇠 등을 제어하는 일종의 홈/사무실 자동 제어 시스템으로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다음의 4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안된 시스템은 웹 서버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넷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어떠한 컴퓨터의 브라우저로도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둘째, 이 시스템은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존의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보다 인간 중심적인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셋째,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행동의 규칙성을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적극적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넷째, 이 시스템은 최근 내장형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의 하드웨어는 206MHz로 동작하는 StrongARM CPU, 32MB SDRAM, 16MB 플래시 메모리, 그리고 가전제품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박스(Relay box)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 내장형 리눅스가 동작하고 있으며, 음성 인식 도구,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웹 서버, 릴레이 박스를 구동하는 GPIO driver 등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지능형 공간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