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Site Platform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IoT-enabled Solutions for Tour Photography Services

  • Jeong, Isu;Baek, Seungwoo;An, Eunsol;Kim, Yujin;Choi, Jiwoo;Yun, Jae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27-1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관광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 소규모 투자와 최소한의 인력만으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관광 사진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반 솔루션을 제안한다.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과 국제 IoT 표준인 oneM2M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IoT 카메라를 구현하고 이 과정에서 센서 및 액추에이터들을 oneM2M 표준 디바이스로 변환이 가능한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포토존에 설치된 IoT 카메라는 oneM2M 기반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웹앱 인터페이스를 통해 앵글 조절이 가능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관광지 밖에서도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촬영했던 사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솔루션을 발판으로 복합 서비스 산업 중 하나인 관광 분야에서도 IoT 관련 기술들이 보다 활발히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제공 플랫폼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Reserch On The Fundamental Technology To Utilization Of Platform To Providing Mobile Underground Geospatial Infomation Map)

  • 이태형;김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83
    • /
    • 2020
  • 도심지 지하시설물 노후화가 진행되고, 도로 굴착 안전사고에 불안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반침하 예방대책」과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기 시작하여 그 범위를 매년 확산하고 있다. 현행 지하공간통합지도 정보는 웹기반으로 데스크탑 환경에서 운용되고 있는 바, 굴착 공사장과 같은 현장 환경에서의 활용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웹기반 환경에서 구축 운영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현장으로 지체 없이 전송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를 가볍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지하공간통합지도는 3DS, COLLADA등 데이터포맷이 일원화 되어있지 않으며, 좌표체계 방식도 상대좌표, 절대좌표 등으로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기술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포맷 및 경량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포맷의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3차원 데이터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경량화율을 테스트해 보았으며, 현장에서 압축된 3D 데이터를 해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하였다. 아울러 향후 본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보완하고 추가 연구실시하여 굴착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작하여 활용에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웹 2.0 시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context of Web 2.0 period)

  • 이석용;정이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43-16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시대적인 흐름에 따른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도구로 인식되고 있는 SNS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파급효과를 통찰하기 위해 첫째, 웹 2.0 패러다임이 표방하는 기술 및 경제적 가치변화를 살펴보고 둘째, 블로그로부터 사회 네트워크인 SNS로의 진화과정을 고찰하며 셋째, 주요 SNS의 서비스 및 특징을 비교한 후 넷째, 모바일 웹 2.0으로의 진화에 따른 SN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기술, 사회, 경영 3가지 측면의 속성 변화를 통해 SNS의 진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으로는 첫째, 기술적 측면에서 웹 기반의 컴퓨팅 환경이 미디어 속성에서 플랫폼 속성으로 전환되고 있다. 초창기 인터넷 출현 이후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보고 듣고 읽어 체득하던 일방향의 미디어 속성이 정보를 생성 및 가공하고 전파하기까지 모든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기능으로 변화된 것이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지식의 생산주체가 소수 전문가에서 집단지성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사람들을 연결하는 SNS의 지향점과 일치하면서 정보권력의 분산 및 전파범위의 무제한이라는 장점을 살려 기업들의 홍보 및 마케팅 채널로서의 잠재성이 부각되고 있다. 셋째, 기업경영 측면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마케팅 채널이 생성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시장 확대와 더불어 일상에서 접근이 편리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무선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와 호의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지향하는 대개의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소비자의 역할이 변화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단방향 정보를 받아들이던 소비자들이 1인 중심형 블로그와 개인간 관계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SNS를 이용하게 되면서 정보를 생성, 가공 및 확산하는 주체가 되면서 정보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정보의 이용자인 동시에 생산자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슈머로서 그 역할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 PDF

인터넷 패션산업의 환경분석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Internet Fashion Business: Environmental Analysis & Future Research Direction)

  • 고은주;조오순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203-21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패션산업의 시장, 소비자,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패션기업의 현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 하였다. 인터넷 패션산업의 환경변화는 인터넷 사용자수와 전자상거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고, 여성인터넷 사용자와 의류 매출이 증가 되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의 사용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현안으로 패션 산업은 인터넷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CRM 과 e-브랜딩 전략을, 또한 무선인터넷 사용자수의 증가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 대한 비즈니스의 계획과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 하였다. 환경 변화 분석을 통해 도출된 패션기업의 현안은 m-비즈니스 CRM 및 e-브랜딩 전략으로서 이에 대한 향후 필요한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인터넷 산업의 환경변화를 이해하고 제안된 향후 연구 과제를 통해 인터넷 패션마케팅 연구에 대한 활성화를 바라며, 이를 통해 패션 기업들이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GIS 환경에서 UML 2.0을 활용한 지하수 관리 데이터 모델링 (Water-well Management Data Modeling using UML 2.0 based in u-GIS Environment)

  • 정세훈;김경종;심춘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23-531
    • /
    • 2011
  • 지하수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 많은 관정들이 사용 후 폐공처리 소홀로 인하여 지하수 오염원이 된다. 또한 폐공된 관정에서는 중금속 및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이 지하수로 유입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지하수 수질 악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노드와 GIS 기술을 접목한 u-GIS 환경 하에서 관정의 위치정보와 지하수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하수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아울러 UML 2.0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 시스템 내부 모듈들 간의 상호작용 및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여 시스템을 모델링한다. GIS 맵과 웹 환경,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각 관정의 지하수 상태 및 관정 관련 속성 정보를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픈액세스 확산을 위한 APC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C Subsidy Policies to Encourage OA Publishing)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9-270
    • /
    • 2014
  • 전체 학술지 논문 가운데 오픈액세스(Open Access, OA)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20%-30%에 이르고 있고, 최근에는 출판 즉시 오픈액세스가 가능한 골드 OA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 연구는 골드 OA를 출판하기 위한 선결 조건인 '논문 처리 수수료(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 지원에 관한 것으로 연구후원기관과 저자의 재직대학에서 어떠한 정책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수년 동안 연구후원기관의 APC 부담에 관한 타당성 검토와 시범사업을 진행하여 왔고, 현재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단계이다. 미국을 비롯한 북미에서는 주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OA 펀드를 조성하여 APC를 지원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연구후원기관과 대학에서 논문의 그린 OA를 추진할 뿐, APC를 지원하여 골드 OA를 출판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주제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국내 연구자도 적지 않아 이들의 논문이 골드 OA로 출판된다면 국제적인 파급력은 크게 증진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연구후원기관과 대학도 골드 OA에 관심을 갖고 OA 전문 학술지와 하이브리드 학술지에서 요구하는 APC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기본 틀을 세우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라즈베리파이 기반 미소 불꽃 감지를 이용한 스마트 경보 서비스 시스템 구현 (Fabrication of smart alarm service system using a tiny flame detection sensor based on a Raspberry Pi)

  • 이영민;손경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953-958
    • /
    • 2015
  • 라즈베리파이는 복수개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지원할 수 있는 신용카드 크기 정도의 단일보드 컴퓨터로 이기종간 상호연동을 위한 완전한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에 와이파이 기능을 결합하면 원격통신이 가능하여 무선센서 노드를 구성하는데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데이터처리와 의사결정을 인공지능에 기반을 둘 수 있으므로 화재 감시나 화재발생 신뢰도 판단 등과 같은 예제를 이미 개발된 테스트베드에서 수행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건물 내의 능동적 화재안전감시를 위한 센서 웹노드로서 라즈베리파이 이용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UV 불꽃감지센서가 촛불 크기 정도의 불꽃을 감지하면 라즈베리파이는 GCM 서버를 통해 지정된 스마트폰으로 현장상황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를 보낸다. 모바일 앱은 오작동 알람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실시간 비디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만약 긴급 상황이라면 긴급통화로 즉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oT를 사용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토양 습도 모니터링 (Real-Time Soil Humidity Monitoring Based on Sensor Network Using IoT)

  • 김경헌;김희동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5권5호
    • /
    • pp.459-465
    • /
    • 2022
  • This paper reports a method to use a wireless sensor network deployed in the field to real-time monitor soil moisture, warning when the moisture level reaches a specific value, and wirelessly controlling an additional device (LED or water supply system, etc.). In addition, we report all processes related to wireless irrigation system, including field deployment of sensors, real-time monitoring using a smartphone, data calibration, and control of additional devices deployed in the field by smartphone. A commercially available open-source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 NodeMCU, was used, which was combined with a 9V battery, LED and soil humidity sensor to be integrated into a portable prototype. The IoT-based soil humidity sensor prototype deployed in the field was installed next to a tree for on-site demonstration for the measurement of soil humidity in real-time for about 30 hours, and the measured data was successfully transmitted to a smartphone via Wifi. The measurement data were automatically transmitted via e-mail in the form of a text file, stored on the web, followed by analyses and calibrations. The user can check the humidity of the soil real-time through a personal smartphone. When the humidity of a soil reached a specific value, an additional device, an LED device, placed in the field was successfully controlled through the smartphone. This LED can be easily replaced by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water supplies, which can also be controlled by smartphones. These results show that farmers can not only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field real-time through a sensor monitoring system manufactured simply at a low cost but also control additional devices such as irrigation facilities from a distance,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and helping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vity.

Design of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Constructional Structures Based on Mobile Cloud in Traditional Towns with Local Heritage

  • Min, Byung-Won;Oh, Sang-Hoon;Oh, Yong-Sun;Okazaki, Yasuhisa;Yoo, Jae-Soo;Park, Sun-Gyu;Noh, Hwa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2호
    • /
    • pp.37-49
    • /
    • 2015
  • Sensors, equipment, ICT facilities and their corresponding software have a relatively short lifetime relative to that of constructional structure, so these devices have to be continuously fixed or exchanged dur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Furthermore, software or analysis tools should be periodically upgraded according to advances in ICT and analysis technology.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s have seriou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for site engineers to modify or upgrade hardware and analysis algorithms. Moreover, we depend on the original system developer when we want to modify or upgrade inner program struc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sign for integrate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 monitoring system by applying the mobile cloud concept. The system is intended for use in disaster prevention of constructional structures, including bridges, tunnels, and in traditional buildings in a local heritage village, we analyze the status of these structures over a long term or a short-term period as well as in disaster situations. Data are collected over a mobile cloud and future expectations are analyzed according to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techniques. We implement our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monitoring system for more than 10,000 structures spread within Korea. Furthermore, we can specifically apply the monitoring system presented here to a bridge made from timber in Asan Oeam Village and a traditional house in Andong Hahoe Village to monitor for possible disasters. The entir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can be developed on the LinkSaaS platform and the monitoring services can also be implemented on the platform. We prove that the proposed system has good performance by performing a TTA authentication test, web accommodation test, and operation test using emulated data.

감성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체험 내 비정형데이터의 주관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Sentiment Analyses of the Impacts of Online Experience Subjectivity on Customer Satisfaction)

  • 서예은;이상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233-255
    • /
    • 2023
  •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도 여전히 여행에 대한 욕구와 수요가 시장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에 대한 접근성과 유용성 및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 함께 증가하였고, 비대면으로도 새로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온라인 체험(Online Experience)'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AirBnB 온라인 체험 서비스에서 서비스제공자(Provider-oriented)와 서비스이용자(User-oriented)에 의해 생성된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파이썬 웹크롤러로 수집되었으며, 주요 변수인 비정형 데이터는 전처리와 감성분석을 거쳐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주요변수인 호스트가 생성한 체험 소개글, 호스트 소개글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는 텍스트의 생성 목적에 따라 주관도(Subjectivity)가 다르게 나타나며, 체험 소개글은 주관적일수록, 호스트 소개글은 객관적일수록 고객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어비앤비 온라인 체험에 참여한 게스트가 생성한 정형 데이터는 다른 게스트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공유경제 플랫폼 이해관계자 및 온라인 체험 지식경영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