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Service Orchestr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49초

A Hybrid Service Orchestration Framework based on BPEL4WS

  • Kim, Su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3호
    • /
    • pp.253-257
    • /
    • 2009
  • As the value of B2B integration gets more importance and the business process becomes more complex, BPEL4WS standard has been focused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which is based on web service technology. Many vendors implement the standard in their systems to integrate B2B and web service based inner-Enterprise Application(EA)s. But there is no way to use the standard to integrate non-web service based EAs, because the standard is designed only for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over web services. This paper proposes Hybrid Service Orchestration Framework to participate web services and also non-web service based EAs in the business process as a partner using BPEL4WS standard. The framework introduces Hybrid Service Architecture to represent non-web service based EAs as a service, so BPEL4WS could be used to integrate web services and non-web service based EAs. And the framework also introduces Hybrid Service Toolkit to support software level facilities. The paper also introduces Hybrid Orchestr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Hybrid Service Orchestration Framework.

복잡한 워크플로우 패턴들을 지원하는 P2P 기반 웹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WORKGLOW: A P2P-based Web Service Orchestration Supporting Complex Workflow Patterns)

  • 쩐도안타인;호앙남하이;최은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7-86
    • /
    • 2007
  • 웹 서비스는 비즈니스 분야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매우 동적이고 다면적인 분산 어플리케이션 생성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차세대 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 계획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웹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은 새로운 부가가치의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웹 서비스와의 합성을 연구한다. 복합적인 웹 서비스는 중앙 집중형이나 P2P 오케스트레이션 모델에서 실행될 수 있다. 중앙 집중형 오케스트레이션 모델에 비하여, P2P기반 오케스트레이션 모델은 전체 서비스를 위해 더 나은 확장성, 신뢰성,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P2P 오케스트레이션 솔루션은 복잡한 워크플로우 패턴을 지원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복잡한 워크플로우 패턴을 가지는 정교한 비즈니스 워크플로우에서는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P2P 오케스트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복잡한 서비스 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 패턴을 다루는 WORKGLOW 시스템을 제안한다. 중앙 집중형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과 비교하여, WORKGLOW 시스템은 비즈니스 로직에 이점을 가져다 주고, 약간의 오버헤드만을 감안하며, 향상된 성능과 더 높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 PDF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및 리플렉션 기반의 동적 웹 서비스 조합 및 실행 기법 (A Dynamic Web Service Orchestration and Invocation Scheme based on Aspect-Oriented Programming and Reflection)

  • 임은천;심춘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10
    • /
    • 2009
  • 웹 서비스 조합 분야는 단일 서비스를 재사용하여 가치 있는 서비스를 생성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최근에는 차세대 웹 서비스인 시멘틱 웹을 구현하기 위해 IOPE를 기반으로 단순 검색 및 조합 대신에 규칙이나 AI를 통한 검색 및 조합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모듈화를 위해 기존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방식보다는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틱 웹을 위해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 및 리플렉션(Reflection)을 적용한 동적 웹 서비스 조합 및 실행 기법을 설계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웹 서비스의 메타 데이터를 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리플렉션 기법을 사용하고 아울러 동적으로 웹 서비스를 조합하기 위해 AOP 기반 접근방식을 통해 바이트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리플렉션을 이용한 동적 프록시 객체를 통해 조합된 웹 서비스를 실행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비즈니스 로직 계층과 사용자 뷰 계층 측면에서 조합된 웹 서비스를 검색하는 것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프로세스 중심의 동적 엔지니어링 웹서비스 지원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pporting Process-Centric Dynamic Engineering Web Services)

  • 이재열;윤장혁;이순재;김현;김광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61-372
    • /
    • 2004
  • Collaborative and distributed engineering web services are emerging as a viabl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process automation. Existing approaches have limitations in supporting long-running engineering transactions, automatic engineering process orchestration and choreography,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nversation, and geometric abstraction for transmission and shar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cess-centric engineering web service methodolog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by utilizing BPEL-based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process templates and coordination broker-based conversation support. This paper discusses the synchronization of engineering web services which can be either peer-centric or process-centric to support long-running engineering transactions and conversation. The process orchestration and choreography broker works as a service dispatching and aggregation mediator for executing process templates, which enables the individual activity or the engineering process to dynamically select and invoke one of the alternative web services through the run-time process brokering. Further, the paper presents how to support collaboration over the running process using conversation policy.

상황정보 적응을 위하여 다형성을 이용한 SOA 웹서비스 구현 방안 (A SOA Web Service Implementation for Adapting to Context Changes using Polymorphism)

  • 윤회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3-83
    • /
    • 2008
  • 본 논문은 웹서비스로 구현되는 상황인식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황정보에 적응하는 방안으로서 다형성을 적용하여, 웹서비스 통합을 구현하고, 그를 통한 비용 감소의 효과를 보인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대두로, 상황인식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상황정보 적응성 보장이 주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상황정보가 꾸준히 변화되어지고, 어플리케이션은 그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데, 이때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적응성을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을 요구된다. 이는 최근 주목을 받는 서비스 기반 아키텍쳐를 통하여 웹서비스 기술을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웹서비스로 구현되는 상황인식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서비스들의 통합 구현에 상황인식 적응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나아가 보다 적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게 된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의 다형성 기술을 통하여, 통합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웹서비스 구현을 분석하여, 제시한 통합 서비스 구현 방안이 적응성을 구현에 어느정도 수행 코드 감소를 가져오는지를 보인다.

  • PDF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사용자 맞춤형 IoT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IoT Service base on Service Orchestration)

  • 차시호;류민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1-29
    • /
    • 2015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an Infrastructure which allows to connect with each device in physical world through the Internet. Thus IoT enables to provide meahup services or intelligent services to human user using collected data from those devices. Due to these advantages, IoT is used in divers service domains such as traffic, distribution, healthcare, and smart city. However, current IoT provides restricted services because it only supports monitor and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collected data from the devices.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IoT service base on service orchestration. The proposed service allows to discover specific services and then to combine the services according to a user location. To this end, we develop a service ontology to interpret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meanings and smartphone web app to use the IoT service by human user. We also develop a service platform to work with external IoT platform. Finally, to show feasibility, we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via study.

가상공학 서비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및 상황인식 컴퓨팅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Supporting Virtual Engineering Services Using Ubiquitous and Context-Aware Computing)

  • 서동우;김현;김광수;이재열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402-411
    • /
    • 2005
  • Context-aware engineering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s are emerging as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engineering services. Most of the previous approaches are computer-centered rather than human-cente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Ubiquitous and Context-Aware computing Framework for collaborative virtual Engineering $(U-CAF\acute{E})$ services. The proposed approach utilizes BPEL-based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process templates for engineering service orchestration and choreography and adopts semantic web-based context-awareness for providing human-centered engineering services. The paper discusses how to utilize engineering contexts and share this knowledge in support of collaborative virtual engineering services and service interfaces. The paper also discusses how Web services and JINI (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services are utilized to support engineering service federations and seamless Interactions among persons, devices, and various kinds of engineering services.

IoT 서비스 지능화를 위한 디바이스 오브젝트화 및 오케스트레이션 메커니즘 (Device Objectification and Orchestration Mechanism for IoT Intelligent Service)

  • 김영준;전용근;정일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호
    • /
    • pp.19-32
    • /
    • 2013
  • 본 논문은 IoT 서비스 지능화 환경에서 디바이스 웹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디바이스를 오브젝트화 하고, 오브젝트화 된 디바이스들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웹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구조와 기능을 제안한다. 또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의 개념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 웹 서비스들을 오케스트레이션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웹 서비스 플랫폼 사이의 디바이스 웹 서비스 및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오브젝트화된 디바이스는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 오브젝트와 다른 디바이스의 콘텍스트 등과 결합하여 IoT 환경에서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포넌트 기반 웹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An Application Framework for Component Based WebService)

  • 이용환;민덕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6-542
    • /
    • 2005
  • 기업의 Business Process가 복잡해지고 B2B가 증가로 인하여 기업 내 혹은 기업간 Business Process를 통합하고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때 SOA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통합 툴의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 사용성과 변경 용이성을 위해 개발한 다양한 업무 EJB 컴포넌트 형태들을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시한 서비스 기반 프레임워크는 기존 CBD 기반 업무 컴포넌트를 웹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화 툴뿐만 아니라 웹서비스와 EJB까지 포함한 형태로 복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Orchestration Server까지 포함하고 있다.

  • PDF

웹 서비스 환경에서 확장 객체 기반 시소러스를 이용한 개념 기반 오케스트레이션 (Concept-based Orchestration Using eXtended-Object Thesaurus(XOT) in Web Service Environment)

  • 조호상;양재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5-278
    • /
    • 2012
  • 웹 서비스는 SOA를 웹 상에서 구현한 기술로, 서비스들간의 느슨한 결합을 실현함으로써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의 활용을 극대화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 객체 기반 시소러스(eXtended Object-based Thesaurus, XOT)를 사용하여 적응 가능한 오케스트레이션 명세가 가능한 개념 기반 오케스트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XOT는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들이 속하는 범주들을 개념으로 표현하고 상호 합성 패턴 관계를 포함한 개념간 상관 관계를 명시한 일종의 지식베이스이다. 이 기법은 오케스트레이션에 참여하는 복합 서비스를 포함한 여러 다양한 서비스들을 구체적으로 명세하는 대신 XOT 내의 개념들로 변수화 하고, 이들을 오케스트레이션 시 적절한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 또는 구성 서비스들의 조합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서비스들의 재사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