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Map Servic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6초

Web-GIS 서비스 기반의 객체위치정보 탐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Object Location Information Search System Based on Web-GIS Services)

  • 김택천;정회경;김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61-66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웹 지리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구현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지리 정보를 이기종 시스템 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는 지도 서비스의 형태로 설계하였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지리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할 때 쉽고 빠르게 전달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웹 지리정보 서비스를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 확장 가능하고 표준화된 형태의 XML을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고가의 GIS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거나 각 업체에서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도 지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무선인터넷 지도서비스를 위한 매핑 미들웨어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apping Middleware for Wireless Internet Map Service)

  • 이양원;박기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65-179
    • /
    • 2004
  • 무선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GIS 분야에서도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으며, 한국 무선인터넷 표준화 포럼에서는 무선인터넷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의 표준과 함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지도서비스의 기술규격을 제정해오고 있다. 이 연구는 무선인터넷 환경에서 지도서비스를 중개하는 매핑 미들웨어의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일반 지도서버와의 상호운용에 초점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선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던 일반 지도서버들을 무선인터넷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며, 이를 위해 각기 상이한 운용환경을 가진 지도서버들의 요청/응답 구조와 전송 매개변수를 분석함으로써 매핑 미들웨어가 지도서버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도록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매핑미들웨어는 .NET 기반의 XML 웹서비스로 구성되며, 이미지 압축을 통한 데이터 경량화 처리모듈과, 단계구분도, 심볼지도, 차트지도, 조건검색지도 등을 위한 지도표현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매핑 미들웨어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일반 지도서버 사이의 중개역할을 담당하며, .NET클라이언트와 Java 클라이언트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방식의 상호운용에 의해 기존의 일반 지도서버뿐만 아니라 향후의 무선인터넷 전용 지도서버와도 연동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진다.

  • PDF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 (Smart Social Grid System using Interactive Sketch Map)

  • 김정숙;이희영;이야리;김보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8-397
    • /
    • 2012
  • 최근 웹 기반 서비스에서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는 SNS로 불려지는 "인적 관계 서비스"이다. 이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지도 서비스는 오프라인 현실과 연동된 직관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시각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과거의 지도 서비스가 주로 물리적 현실 정보를 담고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오늘날 지도는 실제 세계를 담는 단순한 검색 플랫폼을 넘어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SNS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확대된 소셜 그리드를 통한 인맥 네트워크 구성 시 거버넌스 허브 툴로의 활용, 여타 SNS와 연계한 매쉬업 소프트웨어와의 브리지 역할, 소셜 그리드 데이터를 재생산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 구축, 향상된 탐색 기술을 통한 보다 빠른 서비스 구축 등의 특징을 갖는다.

GIS 기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IS bas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 이성욱;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3-21
    • /
    • 2010
  • 대부분의 교통 관리 시스템은 웹을 통한 교통정보 제공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도를 기반으로 교통정보를 표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도 기반의 시스템을 구현할 때에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많은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어도비 플래시 등의 그래픽/애니메이션 전문 소프트웨어를 위한 별도의 전자지도를 이용하고 있어서, 전자 지도의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GIS 기반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교통정보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지도 출력 엔진과 지도 데이터를 분리하고, 지도 데이터는 출력에 적합한 형태로 실시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GIS 상에서 구축된 전자지도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Media GIS Web Service Architecture using Three-Dimensional GIS Database

  • Kim, Sung-Soo;Kim, Kyong-Ho;Kim, Kyung-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17-122
    • /
    • 2002
  • In this paper, we propose Media GIS web service architecture using 3D geographical database and GPS-related data resulted from 4S-Van. We introduce a novel interoperable geographical data service concept; so-called, Virtual World Mapping (VWM) that can map 3D graphic world with real-world video. Our proposed method can easily retrieve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attributes to reconstruct 3D virtual space according to certain frame in video sequences. Our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also ha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with video stream without any image process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describing the details of our components, we present a Media GIS web service system by using GeoVideo Server, which performs VWM technique.

  • PDF

개인화 지도 서비스를 위한 HTML5 벡터지도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TML5 Vector Map for Individual Purpose Service)

  • 권진영;최세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57-66
    • /
    • 2015
  • 현재 웹 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미지 지도의 기능적 한계와 비용 이슈로 인해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충족시켜줄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HTML5 기술을 이용하여 벡터 지도 제작 및 이를 활용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여 사용자들의 목적에 적합한 개인화 지도를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기존의 웹 환경에서 활용되는 이미지 기반의 지도에서 기울임 및 회전기능에서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HTML5 벡터지도에서 해결하였다. 그리고 지도정보를 접근하여 배경과 명칭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표출하는 기능을 구현하여 지도 표출의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성능 비교 결과로서 상용화 지도 서비스에서 최소 0.78sec에서 최대 7.56sec 의 최초로딩 소요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0.88sec의 소요시간이 측정되어 상용화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전국 도엽을 제작하기 위한 이미지 지도의 총 용량 180GB에 비해 벡터 지도 제작 용량은 90% 이상 감소한 2.5GB로 제작되어 저장 공간에 대한 비용 이슈를 해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HTML5 벡터지도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정보의 활용 및 기능 확장을 통해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안 마이크로 웹페이지 기반 전장 스마트 지도 (Security Micro-web Page Based Battlefiled Smart Map)

  • 허준;하선주;차신;은성배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6
    • /
    • 2017
  • GPS was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As a result, it is used as a military important means such as guided weapons and strategy / tactics. However, GPS depends on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s affected by interference sig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micro - web page - based smart map that can enhance security without relying 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on the battlefield.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general smartphone, security QR, central server and smart map. Only use the network when downloading the security key and SmartMap before the task starts. During operation, the smartphon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 secure QR. The security QR inserts the security code to prevent forgery and falsifica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data is authentic by checking whether the smart phone is forged or not. As a result of implementation, we solved communication security problem of existing technology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without relying 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GML 기반 통합 맵서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MapServer Based on GML)

  • 이혜진;이현아;김동호;김진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71-8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통합된 하나의 맵을 작성하기 위하여 통합 맵서버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통합 맵서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웹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메타데이터를 개별화한다. 맵서버는 클라이언트에 필요한 정보를 메타데이터에 설정하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를 개별화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통합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융합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 데이터 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와의 통합도 지원한다. 융합 서비스는 링킹의 개념을 사용하여 실체화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맵서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높은 수준의 맵 통합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웹 매핑 환경에서 융합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응답 시간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집합장소의 시민서비스 고도화 방안 : 지리공간 웹 기반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Strategic Plan for Improvement of Citizen Service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n Public Area: Geospatial Web based Service)

  • 강영옥;김희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79-99
    • /
    • 2008
  • 유비쿼터스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기업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집합장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 지면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은 보편적 지도위에 참여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모델이 구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지도의 구축, 디지털 지도기반의 컨텐츠 제작, 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시설 설치, 그리고 컨텐츠 확보를 위한 기존 홈페이지의 웹 표준화 및 자료정비, 기존자료를 인터넷지도와 연계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고도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향후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기술적 관점 뿐 아니라 그 장소를 활용하는 시민, 기업, 공공부분의 특성과 이들이 요구하는 수요에 기반 하는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반에는 지리공간 웹이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웹 지도서비스를 위한 다축척 지도 데이터셋 자동생성 기법 연구 (Automated Generation of Multi-Scale Map Database for Web Map Services)

  • 박우진;방윤식;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35-444
    • /
    • 2012
  • 웹 환경에서의 지도서비스 및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축척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하나, 제작과정이 아직까지 수동편집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지도 자료로부터 다축척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지도 일반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지도 데이터에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의 다축척 지도 데이터셋을 생성하고자 한다. 지도 일반화 기법으로는 선택 및 삭제, 단순화, 병합 등의 연산자를 조합하여 적용하였으며, 각각 연산자의 알고리듬과 파라미터들은 T$\ddot{o}$pfer's radical law, 지도의 최소도화 기준, 시각적 표현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목표 축척수준은 1:1,000, 1:5,000, 1:25,000, 1:100,000, 1:500,000 의 5단계로 설정하였으며, 대상이 되는 기본 지도 자료는 도로명주소 전자지도와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