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Map Servic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7초

A GIS Search Technique through Reduction of Digital Map and Ontologies

  • Kim, Bong-Je;Shin, Seong-Hyun;Hwang, Hyun-Suk;Kim, Chang-S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681-1688
    • /
    • 2006
  • GIS systems have gradually been utilized in life information as well as special businesses such as traffic, sight-seeing, tracking, and disaster services. Most GIS services focus on showing stored information on maps, not providing a service to register and modify their preferred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 which reduces DXF map data into Simple Geographic Information File format using format conversion algorithms. We also present the prototype implementation of a GIS search system based on ontologies to support associated information. Our contribution is to propose a new digital map format to provide a fast map loading service and individual customized information on the map service.

  • PDF

The Implementation of OPENLS Presentation Service in Location Based System

  • Heo, Tae-Wook;Lee, Jun-Wook;Kim, Sung-Soo;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55-557
    • /
    • 2003
  • Location-based services allow consumers to receive services based on their geographic location data. For example, businesses can provide information to find traffic facility, public restaurant, a hospital, and a station based on the consumer’s location at a particular moment. Also, they wish to grasp a accurate location based service in mobile device or PDA. So, this paper shows that presentation service offers a base-map to be overlaid OpenLS (Open Location Services)’s directory service, route determination service, geocode and reverse-geocode service. The presentation service is the portrayal of a map and portrayal of feature as map overlays.

  • PDF

TextRank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using TextRank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이상영;유창민;홍기범;오준혁;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9-517
    • /
    • 2023
  • TextRank 알고리즘을 활용한 연관 단어 추천 시스템과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 기반 아이디어 생성 서비스를 반응형 웹으로 제공한다. 연관 단어 추천 시스템에서는 TextRank 알고리즘을 이용한 단어별 가중치 부여 방법 및 SoftMax를 적용한 확률 출력 방법을 논한다. 아이디어 생성 서비스에서는 mini-GPT를 이용한 아이디어 생성 방법과 인공지능 강화학습 방법에 대해 논한다. 반응형 웹에 대해서는 React와 Spring Boot, Flask 간의 연동 과정에 대해 논하며 전체적인 구동 방식에 대해 서술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를 입력하면 연관된 단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연관된 단어를 선택하거나 원하는 단어를 추가하여 마인드맵을 구성한다. 사용자가 구성된 마인드맵에서 조합할 단어를 선택하면 새로 생성된 아이디어와 그와 연관된 특허를 제공한다. 본 웹서비스는 생성된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 별점으로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인공지능을 개선한다.

동적 파티클과 HTML5를 이용한 웹기반 해양정보 가시화시스템 (Web-based Geovisualization System of Oceanographic Information using Dynamic Particles and HTML5)

  • 김진아;김석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660-669
    • /
    • 2017
  • 고정된 정적 이미지 형태의 정보제공자 중심 웹기반 또는 지도 상호작용을 통한 시 공간 연속적 정보제공이 가능하나 시스템의 확장성, 서비스 속도, 비표준 인터넷 웹환경, 사용자 접근성, 시 공간 변동성 표현 등에 제한이 있는 웹 GIS 기반 해양정보제공시스템을 개선하고자 HTML5와 동적 파티클을 이용한 웹기반 해양정보 가시화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특히 위성을 통한 시 공간 연속 관측자료와 3차원 수치모델을 통해 생산되는 재분석 및 예측자료는 지리정보 기반의 이질적 대용량의 다차원 연속적 시 공간 변동성을 갖는 해양자료이다. 이에 대한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이해와 활용을 위하여 동적 파티클을 이용하여 벡터성분의 해양변수 시공간 변동성 지리정보와 연동하여 가시화 하였고, 차세대 웹 플랫폼 표준인 HTML5와 WebGL, Canvas, D3, Leaflet map등의 오픈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축된 해양정보 가시화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웹 기반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구축 및 성능평가 (Publishing a Web Based Crop Monitoring System and Performance Test)

  • 이정빈;김정현;박용남;홍석영;허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1-499
    • /
    • 2015
  •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작물 생산량 예측, 기상 변화 및 이상치 관측, 작물 재배지 분류 및 면적 산정 등 작물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정보 취득과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오픈소스 및 상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웹 기반 시스템이며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는 GeoServer, ArcGIS Server를 이용하여 Map Server 및 Web Application Server가 구성되었으며 응답시간 및 데이터 전송량 평가를 통하여 향후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구성과 이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구축된 시스템은 응답시간 및 초당 데이터전송량에서 GeoServer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모바일 벡터 지도 서비스를 위한 객체 재사용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ject Reusing Methods for Mobile Vector Map Services)

  • 김진덕;최진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3호
    • /
    • pp.359-366
    • /
    • 2003
  • 클라이언트에서 검색한 지도를 스크롤할 경우 이미 전송받은 객체를 캐슁하여 무선 데이터 전송량을 줄일 수 있지만, 클라이언트 내에서 데이터 좌표 변환, 선택적인 객체 삭제, 압축 단계, 구조화 단계가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좌표 변환 연산은 모바일 휴대폰의 낮은 계산 능력, 적은 메모리 용량 등과 같을 제한적 자원으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휴대폰 기반 모바일 지도 서비스에서 효과적인 지도 제어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제한적인 자원을 극복함과 동시에 무선 네트웍 대역폭을 줄이는 방안으로서 객체 재사용 기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모바일 벡터 지도 서비스 시스템에서 지도 제어를 위한 객체의 효율적인 객체 재사용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Web GIS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 평가는 제안한 기법이 모바일 폰을 위한 지도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토대로 객체 재사용 방법과 재전송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제주 문화·관광·체육·교통 정보를 융합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 (Ubiquitous Service Model for Information Convergence of Jeju Island Culture, Tourism, Sport and Traffic)

  • 이창영;양진석;김도현;안병구;김남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97-104
    • /
    • 2008
  • 최근 내비게이션과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단말에서 지도 기반으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지도 공개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지도 기반의 서비스와 인터넷 상의 여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여러 응용 서비스나 인터넷 웹이나 지리 정보를 검색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문화 관광 교육 체육 교통 등의 정보를 지도 상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지도 기반의 정보 융합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공개 API를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문화 관광 교통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통합된 융합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정보 융합 서비스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관광지와 문화 활동 시설에서 개최되는 행사, 공연, 스포츠 경기에 관한 정보와 교통 정보를 융합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리녹스 환경에서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지리 공개 API를 이용하여 제주의 관광지와 문화 장소의 행사, 공연, 스포츠 정보와 버스노선 정보를 융합한 제주 문화 관광 대중교통 정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지도 상에서 문화 관광 콘텐츠와 더불어 교통 및 체육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문화 및 관광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국가바람지도 웹서비스 전략수립 (Case Study to Setup Web-Service Strategy of National Wind Atlas)

  • 김현구;황효정
    • 신재생에너지
    • /
    • 제5권4호
    • /
    • pp.3-8
    • /
    • 2009
  • This global case study pursues diversification and intensification for an appl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wind atlas which has been developed to support national strategy building and promotion of wind energy dissemination. We chose nine counties' national wind atlas and compared their map area, extraction height,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s, download services, etc. to derive a best practice for the Korea wind atlas application system. Therefore, the web service content is designed to offer high-resolution height information of which covers wind turbine rotor sweeping area and time-series dataset which can be downloaded for further analysis by user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ystem and web service would contribute greatly to wind energy policy making, business and research sectors.

  • PDF

RIA 기반 해양 환경 동적 매쉬업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a RIA-based Dynamic Mashup Service for Ocean Environment)

  • 정희택;김해진;김해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292-2298
    • /
    • 2010
  • 웹에서 제공되는 정보나 콘텐츠, 또는 Open API 서비스를 섞어 하나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매쉬업 서비스이다. 단순한 정보의 조합이 아닌 필요에 의해 개발된 매쉬업 서비스는 실용성과 편리함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날씨와 같은 일기 예보와 해양 환경 정보가 중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지도와 연계된 RIA 기반 동적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지도와 연계한 사업장 정보의 동적 등록 과정과 선택된 사업장에 대해 지도상에 위치를 마킹하고 사업장의 내부 환경정보, 외부 연안정보, 날씨 정보를 함께 한 화면에 보여 주도록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서비스는 한 화면 내에서 동시에 여러 정보를 확인 가능하기에 매번 관련 정보 확인을 위해 해당 웹 사이트를 방문해야 했던 지루한 과정이 필요 없다.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cord Retrieval System based on Topic Map)

  • 권창호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57-102
    • /
    • 2009
  • 최근,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의 유통과 이용이 증가하고, 정보적 활용 가치가 제고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가 기록관의 중요업무로 부각되고 있다.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서 비스의 핵심은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검색시스템의 기본 메커니즘인 이용자질의와 기록정보표현의 매칭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 관리자들은 다양한 정보표현 도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여전히 정보검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는 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정보자원을 구조화하여 이용자 질의의 접근점을 확장하고, 의미있는 매칭을 통해 지식자원화된 검색결과값을 제공하기 위해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구축대상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불특정 이용자이며, 구축범위는 국가기록포탈의 기록자원 중 대통령 기록물로 선정하였다. 구축단계는 다음과 같다. 1)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설계한다. 2)설계한 온톨로지 모델을 바탕으로 국가기록포탈에서 추출한 정보자원목록을 에디터를 이용해 토픽맵으로 반입하여 검색시스템으로 구현한다. 3)구축된 검색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테스트질의를 통해 토픽맵기반 검색시스템의 특징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의미적 추론에 의한 연관 네비게이션검색을 확인하고, 분산된 기록정보자원 간의 연계된 결과값을 통해 지식자원화의 가능성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