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Hacking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1초

다중 검색엔진을 활용한 보안관제 모델 개선방안 (Improvement Mechanism of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Model Using Multiple Search Engines)

  • 이제국;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84-291
    • /
    • 2021
  • 현재 보안관제 시스템은 공격자의 공격 후 대응만을 위한 수동적인 시스템으로 운용됨에 따라 공격 발생 이후 침해사고 대응이 일반적이다. 특히, 신규 자산 추가 및 실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실제 해커의 관점에서 취약점 테스트 및 사전 방어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킹 관련 다중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보호 자산의 사전 취약점 대응 기능을 추가한 보안관제 모델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즉, 범용 또는 특수한 목적을 지닌 다중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보호 대상 자산의 특수한 취약점을 사전에 점검하고, 점검결과로 나타난 자산의 취약점을 사전에 제거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제 해커의 입장에서 인지되는 보호 자산의 객관적인 공격 취약점을 미리 점검하는 기능, IP 대역에 위치한 광범위한 시스템 관련 취약점을 사전에 발굴하여 제거하는 기능 등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VPN 접속자의 원점 IP 탐지 방법 (A Method for Original IP Detection of VPN Accessor)

  • 김인환;김덕윤;조성국;전병국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91-98
    • /
    • 2021
  • 대부분 해킹 과정에서 공격자는 자신의 원점 IP(Internet Protocol) 노출을 방지하고자 다양한 우회접속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방어자 입장에서 공격자의 원점 IP를 식별하는 것은 공격자를 인식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슈이다. 공격자가 프록시(proxy)를 이용할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가 아닌 다른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원점 IP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이용할 경우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VPN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술적으로는 네트워크 장비를 이용하여 IP를 역추적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표준화, 개인정보보호 등의 문제로 인해 실현되기에는 아직 요원한 상태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VPN을 사용하는 접속자의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원점 IP를 탐지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접속자의 네트워크 사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개인정보 또한 수집하지 않는다. 더구나 다양한 VPN 툴을 사용하여 실제 인터넷에서 제안된 방법을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API call의 단계별 복합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 (Malware Detection Via Hybrid Analysis for API Calls)

  • 강태우;조재익;정만현;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9-98
    • /
    • 2007
  •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화 저변 확대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이를 이용한 악의적인 행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악의적인 용도를 위해 제작되는 악성코드의 폐해가 날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고, 또한 개인정보 유출, 해킹, 피싱 등의 응용범죄의 기본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이고 단계적으로 분석,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는 악성코드의 은닉도와 악의적 기능 시그너처를 추출함으로서 기존의 악성코드들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변종들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인터넷 ID관리를 위한 서비스 모델 제안 (Proposal for Service Model for Internet Identity Management)

  • 송정환;강연정;장환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43-152
    • /
    • 2008
  • 인터넷 상에서 개인 식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인의 안녕과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로서 각종 ID와 개인정보를 포함하도록 인터넷 ID를 정의한다면, 이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관리하는 인터넷 ID 관리(Internet Identity Management)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현재의 인터넷 ID 관리 기술은 서비스의 수가 많아질수록 기억하고 관리해야 하는 ID와 인증정보의 수가 늘어나고, 심지어는 자신이 어떤 서비스에 어떤 ID와 인증정보를 등록하였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ID와 인증정보의 사용, 개인정보의 수정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고, ID 관리와 관련된 개인정보 침해 사고도 빈번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인터넷 환경에서 ID 관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인터넷 ID 관리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안드로이드 저장소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 행위 분석 및 신뢰실행환경 기반의 방어 기법 (Analysis of Malicious Behavior Towards Android Storage Vulnerability and Defense Technique Based on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 김민규;박정수;심현석;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73-81
    • /
    • 2021
  • 휴대폰 이용 시 앱 또는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파일 다운로드 시, 다운로드 되는 파일들은 어플리케이션 마다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하도록 기본 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파일 관리자를 비롯하여 저장소로 접근이 필요한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은 여러 기능들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소의 읽기 및 쓰기 권한을 요구한다. 이는 다운로드 경로에 직접 접근하여 사용자가 저장해놓은 수많은 중요 파일들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운로드 된 파일들의 저장 공간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암호화를 위장한 파일 탈취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개발하였다. 암호화를 진행한 파일은 암호화됨과 동시에 백그라운드에서는 해커에게 E-mail을 통해 전송된다.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악성 분석 엔진인 VirusTotal을 이용하여 검사한 결과, 74개의 엔진 모두에서 악성 앱으로 탐지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저장소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신뢰실행 환경 기반의 방어 기법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연구 (Security Frameworks for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Prevention)

  • 임양규;박원형;이환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3-41
    • /
    • 2023
  • 최근 지능형 지속위협(APT) 공격조직은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나 기관을 대상으로 다양한 취약점 및 공격기법을 악용해서 랜섬웨어를 유포한 후 금전을 요구하거나 국가적으로 중요한 산업기밀 자료를 절취해서 암시장(다크웹)에 유통시키거나 제3국에 판매 또는 기술격차를 줄이는데 활용하는 등 국가차원의 보안대비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Kimsuky, Lazarus 등 한국을 대상으로 APT 공격으로 산업기밀유출 피해를 입혔던 공격조직의 공격수법을 MITRE ATT&CK 프레임워크로 분석하고, 기업의 보안시스템이 추가적으로 갖추어야 할 사이버 보안관련 관리적, 물리적 및 기술적 보안요구사항 26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보안 요구사항을 실제 보안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프레임워크 및 시스템 구성방안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보안요구 사항은 보안시스템 개발 및 운영자들이 기업의 산업기밀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방법 및 프레임워크를 제시했으며 향후 이 논문을 기반으로 다양한 APT 공격그룹의 고도화·지능화된 공격을 분석하고 관련 보안대책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X-tree Diff: 트리 기반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변화 탐지 알고리즘 (X-tree Diff: An Efficient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Tree-structured Data)

  • 이석균;김동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6호
    • /
    • pp.683-694
    • /
    • 2003
  • 인터넷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XML/HTML 문서와 같이 트리 구조로 표현되는 데이터의 변화 탐지가 중요한 연구 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변화 탐지를 위한 데이터 구조로 X-tree와 이에 기초한 휴리스틱 변화 탐지 알고리즘 X-tree Diff 를 제안한다. X-tree Diff 는 X-tree 의 변화 내용에 대한 최소 비용 편집 스크립트를 찾는 알고리즘과는 달리 휴리스틱 트리 대응 알고리즘을 통해 병화 내용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으로, X-tree 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해 각각의 노드를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의 구조와 서브트리속에 속한 노드들의 데이터들을 128비트 해시값으로 표현한 값인 트리 MD를 각 노드에 저장하고, 이를 변화 탐지 과정에서 활용하여 신-구 버전의 X-tree들에 속한 서브트리들의 비교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X-tree Diff 는 4단계로 구성되며 1)신-구버넌의 X-tree노드들에 대해, 우선 1:1 대응이 가능한 모든 동등한 서브트리 쌍을 찾고, 2) 이들 서브트리 쌍의 루트로부터 신-구 버전의 X-tree의 루트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노드들에 대한 대응관계를 결정한다. 3) 그 후 신-구 버전의 X-tree의 루트들로부터 깊이 우선 탐색으로 노드를 방문하며 대응이 결정되지 않은 노드들에 대한 대응여부를 결정해 나간다. 4) 마지막까지 대응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도드들은 삭제나 삽입된 것으로 간주한다. X-tree Diff XML 문서들에 대한 버저닝(Versioning) 을 목적으로 설계된 BUILD Diff 알고리즘과 달리 XML/HTML 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알고리즘이 명확하고 간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확장이 가능하다. 알고리즘의 성능도 개선되어 신-구 X-tree의 노드의 수를 n이라 할 때, O(n)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현재 보안 관련 상용 시스템인 WIDS(Web-Document Instrusion Detection System) 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WIDS를 이용하여 20여개 신문-방송 사이트에서 변화가 탐지된 11,000 개 페이지에 대한 성능평가를 보이고 있다.

가상통화를 활용한 테러자금조달 위협 분석과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otential FT(Financing of Terrorism) Threat Using Virtual Currencies and Its Response)

  • 강태호;차장현;김건인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9-33
    • /
    • 2020
  • 본 논문은 가상통화의 특성을 활용한 테러자금조달에 대한 잠재적 위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테러자금조달 위협과 가상통화 관련법 및 제도를 분석하고 가상통화를 활용한 테러자금조달에 대한 사례를 통해 잠재적 위협을 도출하였다. 가상통화가 등장하기 이전 국내에서 가상통화를 활용한 테러자금조달 위협은 높지 않으나, 가상통화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15년 이후 많은 해외 테러조직과 북한 등 테러지원국에서는 가상통화를 간접적으로 모금하거나 해킹 등을 통해 직접 테러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내는 가상통화의 근거법이 부재한 상황으로, 이로 인해 현재 법령과 제도 그리고 실질적 대응 체계에 분명한 문제가 식별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례들을 토대로 제도적 대응방안과 기술적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상통화는 새롭게 등장한 개념으로 기존 제도권 안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때문에 우리는 현재의 한계점을 인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기술적 노력을 다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