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Hacking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5초

웹서비스-해킹패턴 인지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b Service-Hacking Pattern Recognition System)

  • 임채균;안다선;김규호;이기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09-114
    • /
    • 2009
  • 최근 Web 2.0이 이슈가 되면서 웹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웹상의 다양한 플랫폼과 SDK(Software Development Kit)도 여러 분야에서 제공되고 있어서 웹 서비스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보안 시스템의 발전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점을 노려서 웹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수많은 정보를 불법적인 방법으로 취득하려는 시도가 다량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불법적인 접근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근정보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한 결과와 기존의 해킹방법으로부터 분류한 해킹패턴과의 매칭을 통해 해킹을 인지함으로써 위험 사실을 경고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프로파일기반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탐지 및 필터링 기법 (Profile based Web Application Attack Detection and Filtering Method)

  • 윤영태;류재철;박상서;박종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1호
    • /
    • pp.19-26
    • /
    • 2006
  • 최근 웹서버 해킹은 전통적인 해킹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오픈소스 기반 점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해킹으로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통해 사용자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어, 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해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공격은 웹서버 자체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목적으로 작성된 정 어플리케이션의 구조, 논리, 코딩상의 취약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패턴매칭을 이용한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코드를 수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는 탐지 및 방어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원 어플리케이션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방어하기 위해 컴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와 특징 값을 추출하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상 요청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웹 프락시 형태로 비정상적인 점 어플리케이션 공격을 탐지 및 필터링 하도록 구현하였다.

IP 카메라 보안의 문제점 분석 및 보완 방안 연구 (A Study on IP Camera Security Issues and Mitigation Strategies)

  • 신승진;박정흠;이상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3호
    • /
    • pp.111-118
    • /
    • 2023
  • 세계적으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CCTV, IP 카메라 해킹과 같은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 유튜브나 SNS, 다크웹과 같은 공간에서 IP 카메라 해킹 방법에 대해 검색해보면 손쉽게 자료를 구할 수 있고, 해킹 프로그램 또한 판매되고 있다. 해킹 프로그램이 이용하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IP 카메라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특수문자와 영어 대소문자, 숫자를 포함한 복잡한 암호를 사용하더라도 쉽게 해킹 피해를 본다. 뉴스나 언론 매체를 통해 IP 카메라 보안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으나 해킹 사건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해킹 피해를 막기 위하여 해킹 사건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먼저 IP 카메라 해킹 사건의 원인으로 취약한 계정 설정과 IP 카메라의 웹 서버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킹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으로 IP 카메라에 접속하면 알림이 오도록 하는 기능과 접속 기록을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이 있다면 피해 사실을 즉각 알아차릴 수 있고, 범인을 검거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 카메라에 접속 알림 기능과 로깅 기능을 사용하여 해킹으로부터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위조 ARP 응답 유니캐스트 스푸핑을 이용한 서버 유형별 네트워크 해킹 및 구현기술 연구 (Network Hacking and Implementation Techniques using Faked ARP Reply Unicast Spoofing according to various Server Types)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1-71
    • /
    • 2017
  • ARP 스푸핑은 2계층 MAC 주소를 속여 통신의 흐름을 왜곡시키는 스니핑의 근간이 되는 핵심 해킹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 네트워크 환경의 원격지 서버들의 스니핑을 위한 효율적인 공격방법 '위조 ARP 응답 유니캐스트 스푸핑'을 제안하였다. 위조 ARP 응답 유니캐스트 스푸핑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송수신 패킷을 모두 스니핑할 수 있고, 스니핑 절차가 간결하여 해킹 프로그램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ARP 스푸핑 공격을 구현하여 다양한 서버 유형별 네트워크 해킹방법에 관해 연구하였고, 이의 구현기술에 관해 연구하였다. Telnet/FTP 서버의 Root ID와 PW, MySQL DB 서버의 Root ID와 PW, 웹 서버 포탈의 ID와 PW, 웹 뱅킹서버의 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및 거래정보 해킹 등 다양한 서버 유형별 해킹 기술에 관해 연구하였고, 핵심 해킹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이의 구현기술에 관해 연구하였다.

SOM(Self-Organizing Map)을 이용한 대용량 웹 서비스 DoS 공격 탐지 기법 (Detection Mechanism of Attacking Web Service DoS using Self-Organizing Map)

  • 이형우;서종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18
    • /
    • 2008
  • 웹 서비스는 개방형 서비스로 정보 공유가 주요 목적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웹 서비스에 대한 공격 및 해킹 사고 또한 급증하고 있다. 현재 웹 해킹 등의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웹 로그의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수행 가능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실제 웹 로그 분석을 통해 웹 서비스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보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의 웹 로그 정보에 대해 SO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웹 DoS 공격 등과 같은 웹 서비스에서의 이상 탐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용량 웹 로그 정보에 대해 SOM 기반으로 BMU(Best Matching Unit)의 발생 빈도를 조사해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유닛을 이상(Abnormal) 유닛으로 판단하여 입력된 웹 로그 데이터에 대한 DoS 공격 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Cross-Site Scripting(XSS) 프로세스 진단을 기반으로 한 웹 해킹 대응절차 모델 연구 (A Study of Web Hacking Response Procedures Model based on Diagnosis Studies for Cross-Site Scripting (XSS)Process)

  • 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3-89
    • /
    • 2013
  • 웹 해킹 대책을 적용할 경우 어느 한가지 기술이나 방법보다 통합된 대책을 구성하고 정보보안을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웹 해킹 대응을 어느 한가지 방법에만 의존 시 많은 보안 공백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oss-site scripting 공격 프로세스를 진단하여 웹 해킹 대응절차를 설계한다. 대응체계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정보보안을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이다. 단계적 대응모델은 대책의 구조를 시스템 설계단계, 운용단계, 사용단계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시스템 설계단계는 방법은 개발 라이프 사이클에 기초하여 시큐어코딩 설계로 보안 효율성을 높인다. 사용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보안 이행사항을 체계화한다. 본 방법론을 실무현장에 적용할 경우 현장에서 필요한 종합적인 접근방법론 모델로 활용할 수 있다.

웹 취약점 분석을 위한 프락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roxy System for Web vulnerability Analysis)

  • 김광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11-1018
    • /
    • 2014
  •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제공이 활성화 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한 웹 해킹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하려면 먼저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찾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존의 취약점 해결 방법을 분석하고 보다 발전된 취약점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을 통해 현존하는 웹 취약점을 제거한 웹 보안 상태의 안정성을 점검하고 기존 방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 취약점 해결방안의 미비점을 보완한 방법으로 웹 프락시(Proxy) 시스템을 통한 취약점 분석 툴을 구현하고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의 해킹 사고에 대한 대응방법 (A Countermeasures on the Hacking for the Internet Shopping Mall)

  • 이영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33-43
    • /
    • 2008
  • As internet is spreaded widely, the number of cyber terror using hacking and virus is increased. Also the hacking to the internet shopping mall go on increasing. If the large shopping mall is attacked by the hacker, a number of user's information are exposed to the hacker. The private information as like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ser's real name, the date of user's birth, the mobile phone number, the office phone number / address, the home phone number / address and so on include the information. These information are used in the phishing e-mails / call and spam. And them are selling and buying maliciously. The large internet shopping mall 'auction' was hacked in April, 2008. After the incident, this paper suggested a countermeasures on the hacking for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technical item and political item are included among the countermeasures. The countermeasures can protect the hacking not only the internet shopping mall but also the web sites basically.

웹기반 보안 관리 수준 분석 도구 (Tools for Web-Based Security Management Level Analysis)

  • 김점구;최경호;노시춘;이도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85-92
    • /
    • 2012
  • 기존의 보안 관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지만 IT 자산을 중심으로 한 평가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관계로 조직 전반에 걸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관리 수준 점검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웹 기반 보안 관리 수준 분석 도구에 대해 제시한다. 본 도구의 경우는 전사적 정보 보호 관리 방법론인 ISO 27001의 보안통제 항목들을 기반으로 설문 내용을 구성하였다.

보안이 강화된 특수목적용 웹서버 설계 및 구축 제안 (Proposal for Designing and Building a Special Purpose Web Server with Enhanced Security)

  • 홍성락;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1-79
    • /
    • 2022
  • 현재 웹 서버의 보안을 위해 관제와 모의 해킹을 한다고 해도 계속해서 취약점이 발생하고 해킹을 당하는 것이 현실이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4와 L5 사이에서 소켓을 사용해 모든 웹 통신을 제어할 수 있는 보안 웹 서버를 개발했다. 그리고 HTTP 응답을 줄 때 매번 파일과 헤더를 합치는 행위를 미리 합쳐놓는 방식을 제안했다. 그 결과 보안과 속도를 둘 다 향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관제와 모의 해킹을 해도 취약점이 발생하는 이유와 그것에 대한 해결방안과 더 나아가 DB까지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 웹 서버개발 방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