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ve composi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한산이씨 문직물저고리에 나타난 문양과 직물구성 - 단(緞)과 사(紗)를 중심으로 - (Weave Composition of the Patterned Silks Excavated from Lady Lee(from Hansan)'s Tomb - Focusing on the Satin Damask(緞) and Simple Gauze(紗)-)

  • 장인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43-15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motif, weave structure, fabric density, and thread thickness of the patterned silks excavated from the Lady Lee's Tomb to trace the weave composition of the 18th Century in Korea. Different weave compositions were adopted depending on the weave structure. Two weave structures appeared in these patterned silks : simple gauze and satin damask. In the case of simple gauze Jergori, all the components, Gil(bodice), Somae(Sleeve) had similar fabric density and thread thickness. On the other hand, the satin damask Jergoris was composed of the components of different fabric density and thread thickness. According to the fabric density and thread thickness, the motif sharpness of damask Jergori was represented in three different ways : smooth and clear, rough and clear, and rough and vague. This revealed that Lady Lee selected not only pattern but also fabric density and thread thickness in the design of damask Jergori.

  • PDF

이징(1580년~1642년) 묘 출토 목질류 및 직물류 분석 (Analysis of Wooden Materials and Fabrics from the Tomb of Yi Jing)

  • 이효선;박운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19-34
    • /
    • 2017
  • 이징 묘 출토 목질류에 대한 수종 분석 및 복식 중에서 대표 직물류에 대한 재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목질류로 분류된 외관, 내관, 칠성판, 삽은 모두 소나무류(Pinus densiflora)로 식별되었다. 직물류 분석 결과, 삽 부착 직물과 명정, 오낭은 견직물이었다. 적삼은 평직 면직물이었으며 버선의 경우 겉감은 면직물, 안감은 마직물이었다. 견직물 중에서 오낭의 우족·좌족은 수자직(繻子織) 문단이고 나머지는 평직 견직물인 주(紬)로 확인되었다. 적외선 분석 결과, 삽에는 구름무늬가 전체적으로 그려져 있었으며, 명정과 오낭에는 묵서가 있었다.

조선전기 직금흉배직물 연구 (A Study of Jik-geum Hyoong-bae Texti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심연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3-128
    • /
    • 2013
  • Those records indicate that Jik-geum Hyoong-bae fabric was imported from China and its period was during the fourteen and fifteen century. Gold threads used in three Jik-geum Hyoong-bae artifacts were all wrapped gold thread and gold thread of Danryeong from Young-dukdong, Yong-in, did not have a base, but instead the gold foil itself was attached to the silk cord. Such form of artifact had never been discovered before in Korea. Wrapped gold thread of Seoknamdong's basis was presumably bamboo paper. Three Jik-geum Hyoong-bae have the same weave structure. The ground is woven in a warp-faced 5-end satin weave. The pattern is brocaded with supplementary gold wefts. Supplementary gold wefts are composed of 1/4 twill binding by the odd number pairs of warps within every group of 10 pairs of warps. All of the Jik-geum Hyoong-bae textile were designed and weaved according to the overlapped collared costume's structure. This is also known as 'Jik-seong-pil-ryo'. One symmetric collared jacket excavated in Seok-namdong, Incheon, only has the right half of Hyoong-bae in the front. This is because symmetric collared jacket was made from overlapped collared costume. Tiger and peacock are the main patterns of Jik-geum Hyoong-bae which have realistic and free screen composition and this shows a huge difference to the later generation's standardized Hyoong-bae pattern.

  • PDF

한산모시주거건축의 기초자료 구축과 체험을 위한 건축제안 (A Suggestion on the Architectural Experience and Building Base Data for Hansan Mosi(fine ramie) Housing)

  • 김상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40-150
    • /
    • 2013
  • The weaving of Mosi(fine ramie) in the Hansan region was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1. Unlike other fabric, as the Mosi is very sensitive towards humidity it needs different conditions for its workspace. The Hansan region is near the sea with many mountains around where it is easy for the Mosi to grow and is an appropriate place to weave Mosi. Recently the manpower for weaving of Mosi in the Hansan area is decreasing with the decrease of workspace drastically. After the investigation of workspace for the weaving of Mosi in the Hansan area, most of the places were done in individual houses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 1. Mosi storeroom, 2. Shed(Gwang che), 3. Dugout hut, 4. Under the toenmaru The depth of the dugout hut and under the toenmaru is around 80~60cm which is similar with the depth of the prehistoric dugout hut houses. The towns for weaving of Hansan Mosi are formed mostly in the Seochungun district, but the Hoamri Hansan-myeon and Gayangri Masan-myeon has the most traditional workspaces and they are still forming and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own composition. However the numbers are too small and maintaining the traditional town is getting more difficult, so a plan for the maintenance should be made to continue to keep it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주력산업현장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된 작업복 소재의 특성 및 감성 연구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Work Environment of the Major Industrial Settings)

  • 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78-788
    • /
    • 2015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developed that took into account the work environment of major industrial settings, for which a selection was made according to spring/autumn use and winter 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isting and test weaving of the work clothes materials were compared after the test weaving of work clothes materials through material design, which altered the yarn count, composition, weave and density of material. To evaluate sensibility of work clothes materials subjectively, seven ranks' semantic differential scale questions were developed with polar adjective pairs. The test weaving of work clothes material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such as tensile strength, dimensional change,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color fastness) compared to the existing materials. The common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umulative variance for the spring/autumn use and winter use was 71.19% and 69.53%, respectively.

조합된 서비스의 성능 평가를 위한 Aspect 기반 테스팅 프레임워크 (An Aspect-based Testing Framework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Service)

  • 김종필;홍장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권3호
    • /
    • pp.149-158
    • /
    • 2012
  • 최근 서비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부각되면서, 안정적인 서비스의 조합을 통하여 보다 큰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된 서비스의 개발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중의 하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서비스의 정확성과 함께 신속성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서비스의 요청 과정에서 늦은 응답으로 인하여 실행 버튼을 중복적으로 클릭하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합된 서비스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팅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즉, 조합된 서비스의 실행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개발자에게 서비스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행시간 측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Aspect 컴포넌트를 이용하는 타이머 서비스를 개발하여 기존 웹 서비스들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몇 실험을 통하여 조합된 서비스의 성능 테스트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시한 프레임워크는 조합된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위 서비스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서비스를 식별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비스로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의복문양(衣服紋樣)의 기호도에 관한 실태(實態) 연구(硏究) - 한복(韓服)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Present Status of Preferences in the Choice of Patterns in Clothing)

  • 김은주
    • 복식
    • /
    • 제6권
    • /
    • pp.65-87
    • /
    • 1982
  • 1. Purpose: The purpose is to apply and adapt ancient textile pattern to practical life, an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odernization and Koreanization of textile pattern by the survey of the extent of taste for the textile pattern existent in Korean costume among costumes. 2. Hypothesis: Textile pattern is in most classical one expressed in fact, but nowadays abstract or geometric one is more exist. Consumers are in most part in forties, and so the taste cannot be ignored. Therefore aesthetic consciousness found Korean costume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excessively bold or mordern one. 3. Method and Process: (1) This research is analysed 386 one through college student and parents of a primary or high school. (2) Taste of the pattern is comparisoned and analyzed as age. education, pocket money of the student or an income of a month in home through computer. And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s research is operation through the Chi-Square Goodness of-Fit-Test. 4. Conclusion: (1) The Korean costume put on mostly party or formal dress, therefore it should be researched as an outdoor dress with traditional costume. (2) The most one is concerned in textile pattern, it's taste is different from color, constitution. Textile industry is developed not only weave pattern, gold-coverning pattern but embroidry pattern, dye pattern, therefore the various side of pattern design should be researched. (3) In Side of form, plant pattern is not only most various but highest in popularity. According to approach nowadays, all of the pattern becomes composition or geometric one with abstract tendency and so from these day pattern is necessary combinationed, researched with our people emotion. (4) The color of textile pattern is choiced individual taste. Through investige, research in various side of the modern taste and our costume, we take growing interest in the color, composition of textile, and should dressed with beauty and grace. (5) In side of size, textile pattern is choiced to individual face and body shape through research on form, color, size of these pattern, we should endeavor to dress well. (6) In side of application, most people is concerned in not only interior ornament but the costume is high. Costume research by some people of the outside and symbol with interior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is not only very important but also is due to people culture.

  • PDF

『좌계부담(左溪裒談)』의 구성과 서술방식 (A study on composition and narrative style of 『Jwagyebudam』)

  • 조정윤
    • 동양고전연구
    • /
    • 제63호
    • /
    • pp.83-113
    • /
    • 2016
  • 본 논문은 "좌계부담"의 체재와 구성, 서술방식과 내용의 검토를 통해 그 편찬 목적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좌계부담"은 우선 구성면에서 약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인물을 시대 순으로 기록하였고, 그 안에서 인물 유형에 따라 근거리 배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술방식 면에서는 "사기열전"에 보이는 '호견법(互見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개인 및 동일 사건의 내용을 관련된 다른 사람들과 나누어 기록하여 주제를 입체화 집중화하는 한편, 인물의 평가를 객관화하는 효과를 획득하고 있다. 인물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는 해당 인물의 일생의 특징적 면모에 초점을 맞춰서 그와 관련된 시 또는 일화 등을 기록하여 인물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목차의 각 인물 이름 옆에 수록 내용의 핵심사항을 요약한 '부제'형식의 짧은 글을 부기하여 내용 파악 및 이해를 돕는다. "좌계부담"은 견문을 자유롭게 엮어가는 방식의 필기 가운데, 인물중심으로 특화된 필기, 즉 '인물지(人物志)' 혹은 '전기집(傳記集)'이며, 더 넓게는 '사서(史書)' 및 '시화(詩話)'의 기능을 아우르는 필기이다. 이에 저자는 사가(史家)의 사명감으로 본서를 집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인물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인물지(人物誌) 형태의 특화된 필기류가 등장하게 되는데, "좌계부담"은 그보다 앞선 시기, 즉 18세기 중 후반에 편찬된 인물소전형(人物小傳型)의 필기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필기류의 역사적 전통 속에서 그 수록 방식 및 서술방식의 변화 시작점에 있는 것으로, 조선 후기 필기류가 점차 전문화된 형태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견사 Lousiness에 대한 연구 (I) (Study of silk lousiness (I))

  • 최병희;김낙정;박광의;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11
    • /
    • 1963
  • 본 실험은 견직물 Lousiness의 가시조건을 세우고 잠견 Lousiness 검사를 초제련에 의하여 새로운 검사기준을 규정하는 동시에 견사선해부관찰로서 Lousiness 근절가능성과 잠견 Lousiness의 개선여부를 검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직물섬유방향이 광선방향과 평면도입장에서 일치할 때 가장 잘 보인다. 그러나 광선방향과 섬유방향의 평면 각도가 커질수록 Lousiness 출현이 감소하고 어느 한계각(30도)을 초과하면 Lousiness가 보이지 않는다. 이 각도를 Lousiness 수평임계각(Lousiness Horizontal Critical Angle)이라고 명명하였다. 2. 광선의 대직물입사각도가 6도일 때 가장 잘 보이고 입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Lousiness 출현정도가 감소하고 역시 어느 한계각도(45도)를 초과하면 Lousiness가 보이지 않는다. 이 때의 한계각도를 Lousiness 수직임계각(Lousiness Vertical Critical Angle)이라고 명명하였다. 3. 직물조직으로서는 평직이 Lousiness 출현도가 가장 적고, 능직, 및 교직은그의 출현도가 크다. 4. Lousiness를 3가지로 대별하고 일반세섬유형을 Lousiness A, 집단형을 Lousiness B, glucose 형을 Lousiness C로 명명하였으며, 평점에 필요한 표준사진을 작성하였다. 5. 초정련방법으로서 8시간이 적당하였다. 6. 주섬유와 세섬유의 직경차가 클수록 Lousiness 발생이 심하며 일반 Lousiness는 주견단계의 1/4∼1/5의 직경이었다. 7. 견부위별로는 견양단부견층부위별로는 중층에 Lousiness가 많았는데 이것은 토계영견중의 견사긴완차에 기인한다. 8. 자웅간에는 자견이 웅견보다 Lousiness가 많았다. 9. 견사선해부로서 정상견사선에도 세섬유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구명하였고, 여러 가지 이상견사선으로 Lousiness가 발생하게 되는 소인이 있음을 알았다. 또 Lousiness의 품종도태로 인한 개선은 이상견사선제거로 어느 정도 가능할 뿐이다. 10. 도태후 차대견계는 초정련법으로 도태한 바 많은 효과를 얻었다.

  • PDF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초충도수병>의 직물과 자수 연구 (Study on Fabric and Embroidery of Possessed by Dong-A University Museum)

  • 심연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230-250
    • /
    • 2013
  • 동아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초충도수병(草蟲圖繡屛)>(이하 <수병>)은 보물 제59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초충도 회화작품보다 더 정교하고 섬세한 사실적 표현과 다채한 입체적 구성으로 미술사 분야에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수병>이 자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섬유공예적 측면에서의 분석과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수병>의 바탕직물, 자수색사, 자수기법 등을 과학적 기기를 사용하여 조사 분석함으로써 <수병>의 문양소재와 섬유공예적 특징 및 <수병>이 섬유공예사에서 갖는 가치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수병>은 8폭 병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재와 구도는 일반적인 초충도 회화작품과 유사하다. 각 폭의 주제문양은 제1폭에서부터 순서대로 오이, 맨드라미, 원추리, 여주, 패랭이, 수박, 가지, 들국화로 이루어져 있다. <수병>의 문양 중 여주는 현전하는 초충도 회화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소재이다. 제8폭은 곤충, 파충류 등의 문양이 없이 들국화만 단독으로 시문하여 초충도의 전형적인 형식과 차별이 있다. <수병>의 직물은 지금까지 장식용 자수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검은색을 사용하여 다채한 색사를 강조하여 극대로 표현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바탕직물은 5매 공단[무문단(無紋緞)]을 사용하였다. 자수사는 극히 미약하게 꼬임을 준 반푼사를 사용하였으며 꼬임의 방향은 우연이다. 한 가지 색의 단사를 사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두 가지 색을 병사로 사용하거나 합연사한 혼합색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색상은 열화되고 퇴색이 심하여 원래의 색은 알 수 없지만 가장 많이 사용된 색은 황색계열에서 녹색계열의 색이며 청색, 갈색, 자색 등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원추리, 패랭이, 딸기 등의 색은 현재 적황색으로 남아 있는데 초충도와 비교해 볼 때 원래는 주황색 또는 홍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수의 기법은 대부분 표면평수를 사용하여 면을 채우고 있다. 이를 통해 색사의 낭비를 줄이고자 했던 옛 여인들의 알뜰한 지혜가 엿보인다. 평수는 면을 장식하는 비교적 간단한 자수법이지만 색사를 다양화하고 면을 분할하여, 수직, 수평, 사선평수를 배합하고 때로는 자릿수와 같이 서로 맞물리게 자수하여 다양한 질감과 양감을 표현하였다. 곤충의 몸통은 가장자리수와 이음수, 평수를 혼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가장자리수의 활용이 주목된다. 그 외 이음수로 잎맥 등을 입체감 있게 나타내고, 제7폭의 쇠뜨기는 표면솔잎수를 층층이 자수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패랭이, 딸기, 오이 등에는 평수 위에 장식수를 더하여 세세한 묘사를 더했다. <수병>은 회화사, 문화사적으로도 가치가 크지만 한국 자수공예사에 있어서도 우수한 한국적 자수기법과 색채를 사용하여 신사임당 초충도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