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rable Healthcare System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 문세연;윤영미;한태화;이상은;장혁재;송시영;김현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21-629
    • /
    • 2017
  •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HRS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유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Infant Monitoring System using AHRS Algorithm)

  • 김은;김석훈;김대영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41-48
    • /
    • 2018
  • 영유아 관련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초동 조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신속한 초동 조치를 위해서는 적절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구되며, 아동의 생체 상태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긴급한 상황 발생에 대해서 즉각적인 통보가 가능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최근 Io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센서들이 초소형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스마트 폰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 폰과의 연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영유아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영유아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시스템을 제안하고 영유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시한다.

근골격계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및 시스템 구현 (A Study on the Monitoring Technique for Musculoskeletal Safety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 신영주;주하영;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67-276
    • /
    • 2020
  • 제조업 근로자는 근무 환경에서 반복 작업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는 신체를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직업 특성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하지만 현재 감시 및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매년 위험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U 센서를 사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작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웨어러블 형태의 장치를 착용 후, 근골격계 움직임에 따른 회전 값을 받아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해낸다. 이때, 바이어스 제거와 누적 오차를 제거해 정교한 데이터 취득하여 이를 동적 임곗값 형식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회전 운동 횟수를 측정해내어 위험도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 팔꿈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회전 횟수를 측정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웨어러블 단말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수면 중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하는 방법 (A Method for Detecting Movement and Posture During Sleep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of a Wearable Device)

  • 전영준;김상혁;강순주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22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any complications grows with the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s the elders and severely ill pati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bed, it leads to Pressure Injuries (PI) such as bedsores. Unfortunately, there is no method to automatically detect changes in patient's posture which leads to the need for a caregiver every set of times when the patient needs to be moved. Many studies are conducted to solve this inefficient problem. Yet, these studies require costly devices or use methods that disturb patient's sleeping environment. Those methods are mostly hard to implement in practice due to these reasons.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posture using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from the wrist band. We developed a wearable watch that measures sleep-related data. We analyzed 40 people's sleep data with a wearable module and watch to measure their postures such as supine, left-side, and right-side. Then, we compared the classified posture from the watch with the wearable module and achieved 90% accurac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only by using the wearable watch, we can detect the sleeping position without any new equipment or system to diagnose the patients without discomfort during their daily lives.

Cold Restart를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초저전력 핵심 기술 (Core Technology for Ultra Low Power Using Cold Restart in Wearable Devices)

  • 김선태;박형준;박호준;우덕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4호
    • /
    • pp.44-49
    • /
    • 2017
  • 헬스케어 및 의료분야를 위한 배터리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많이 제품화되고 있으나, 효과적인 전력 관리 미흡으로 자주 충전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HW에서 제공하는 전력 관리 회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Tickless 기반 운영체제 및 전력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보드 레벨에서 최소 전력을 소모하는 Cold Restart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운영체제는 기존 운영체제에 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응용을 모델링한 4가지 시나리오에서 2배에서 최대 33배의 전력 소모 절감을 가져왔다.

일상생활 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착용형 2-Lead 심전도 계측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Wearable 2-lead ECG Measurement System for Healthcare Monitoring during Daily Life)

  • 김병주;정도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8-3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인 건강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생체신호인 심전도를 일반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서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초소형 저전력의 착용형 심전도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준 12-lead법이 아닌 모바일 또는 휴대용 장치에 적합한 2-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 계측부를 구현하였고, 심전도 계측부를 베이스 노드로 하여 심전도 신호를 가정 내 또는 실외에서도 무선으로 전송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먼저 가정 내에서는 저 전력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PC에 전송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현 하였고, 실외에서는 저전력 통신 방식인 Bluetooth 2.0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심전도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해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RGB-LED-bas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using Multilevel 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for Healthcare Applications

  • Rachim, Vega Pradana;An, Jinyoung;Pham, Quan Ngoc;Chung, Wan-Young
    • 센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2
    • /
    • 2018
  • In this paper, a 32-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32-VPPM) scheme is proposed to support a red-green-blue light-emitting-diode (RGB-LED)-based optical camera communication (OCC) system. Our proposed modulation scheme is designed to enhance the OCC data transmission rate, which is targeted for the wearable biomedical data monitoring system. The OCC technology has been utiliz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radio frequency (RF) wireless system for long-term self-healthcare monitoring. Different biomedical signals, such as electrocardiograms, photoplethysmograms, and respiration signals are being monitored and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wearable biomedical device to the smartphone receiver. A common 30 frames per second (fps) smartphone camera with a CMOS image sensor is used to record a transmitted optical signal. Moreover, the overall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modulation scheme, and data demodulation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achieve > 9 kbps using only a common smartphone camera receiver.

IP 기반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혈관상태 평가를 위한 무구속 헬스케어 시스템 (Non-Intrusive Healthcare System for Estimation of Vascular Condition in IP-Enabled Wireless Network)

  • 정상중;권태하;정완영
    • 센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6-83
    • /
    • 2013
  • A real-time wireless monitoring and analysis methods using the wearable PPG sensor to estimate cardiovascular condition is studied for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A small size and low-power consuming wearable photoplethysmogram (PPG) sensor is designed as a wrist type device and connected with the IP node assigned its own IPv6 address. The measured PPG waveform in the IP node is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a central server PC through the IP-enabled wireless network for storage and analysis purposes. A monitoring and analysis program is designed to process the accelerated plethysmogram (APG) waveform by applying the second order derivatives to analyze systolic waves as well as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from the measured PPG waveform. From our results, the features of cardiovascular condition from individual's PPG waveform and estimation of vascular compliance by the comparison of APG-aging index (AI) and ratio of LF/HF are demonstrated.

원격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키 격리기법을 이용한 개선된 건강정보 전송 보안 프로토콜 (An Enhanced Secure Health Data Transmission Protocol using Key Insulation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 노시완;박영호;이경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981-1991
    • /
    • 2016
  • In recent, the advancement of wearable devices and wireless body area networking technologies motivate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to remote healthcare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health and disease progression effectively. 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a practical remote healthcare system, we must consider the security and privacy of patient'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ransmitted to healthcare servers through the network. H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health data transmission protocol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to protect patient's health information and prevent privacy from eavesdropping on the network. To achieve our security goals, we design an efficient secure protocol based on the identity-based cryptography with key evolution technique, and then confirm the superiority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rotocol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otocol of Yang et al.

웨어러블 기반 사용자 위험상황 식별 시스템 (Wearable Based User Danger Situation Discerning System)

  • 유동균;황종선;김한길;김한경;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2-793
    • /
    • 2016
  • 최근 의료시스템과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할뿐 사용자가 위급한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대처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들과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식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낙상이나 넘어짐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지정된 보호자에게 긴급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