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ypoin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Stationary Distribution for the Mobilities in Catastrophe Rescue Scenario

  • Wang, Yong;Peng, Wei;Dou, Qiang;Gong, Zhengh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2호
    • /
    • pp.308-326
    • /
    • 2013
  • Mobility Model has drawn more and more attentions since its critical role in Mobile Wireless Networks performance evalu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mobility patterns in the catastrophe rescue scenario, and proposes the Random Waypoint with Base Point mobility model to model these characteristics. We mathematically analyze the speed and spatial stationary distributions of the nodes and derive explicit expressions for the one dimensional case. In order to keep the stationary distribution through the entire simulation procedure, we provide strategies to initialize the speed, location and destination of the nodes at the beginning of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verify the derivations and the proposed methods in this paper. This work giv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of the Random Waypoint with Base Point mobility model and such understanding is necessary to avoid misinterpret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The conclusions are of practical value for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wireless networks, especially for the catastrophe rescue scenario.

다중 경로점 제한 조건하의 헬리콥터의 최적 경로 생성 (Generation of an Optimal Trajectory for Rotorcraft Subject to Multiple Waypoint Constraints)

  • 최기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50-57
    • /
    • 2003
  • 헬리콥터를 공간상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불규칙하게 주어진 여러 경로점을 따라 비행하는 것은 아주 실제적인 임무인데 이러한 임무에서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은 어려운 문제에 속한다. 역제어나 직접법을 사용하는 전통적 접근은, 역제어의 경우에는 전 구간의 경로를 시간의 함수로 미리 설정해야 한다거나, 직접법의 경우 계산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 된다는 등의 제약으로 그 활용성이 제한적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제어기법을 적용하여 다중경로점이 주어진 문제에 대해 최적경로를 구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slalom 운동과 전체적으로 곡선이 경로에서 일부구간만 선형으로 주어지는 문제 등에 있어서의 헬리콥터의 최적경로를 구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무인항공기 자동착륙을 위한 나선형 강하궤적 및 종말유도 설계 (Homing Guidance Law and Spiral Descending Path Design for UAV Automatic Landing)

  • 윤승호;김현진;김유단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7-21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그물망 자동착륙을 위한 나선형 강하궤적과 종말 유도기법을 설계하였다. 시야가 확보된 좁은 지역에서 착륙하도록 고정익 항공기의 나선형 강하궤적을 설계하였고, 나선형 강하의 끝점에서 그물망 입사방향을 향하도록 비행경로각 명령을 생성하였다. 종말유도 단계에서는 그물망 중심으로의 정밀한 유도를 위하여 시선각 정보 기반 의사추적 유도기법을 설계하였다.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시스템 인식 모델을 이용한 6자유도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한 나선형 착륙비행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Virtual Instrumentation 플랫폼 기반 무인 자율 로터 항법시스템 개발 및 비행시험 (Development and Flight Test of Unmanned Autonomous Rotor Navig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Instrumentation Platform)

  • 이병진;박상준;이승준;김창주;이영재;성상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833-842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development of guidance, navigation and control system for RUAV on virtual instrumentation and real flight test. For this research, the system is divided to DAQ (data acquisition) section, actuator section and controller section. And the hardware and software on each sections are realized on LabVIEW base. Waypoint guidance and control of auto flight are realized using PID gain tuning and waypoint vector tracking guidance algorism. For safe flight test, auto/manual switching module isolated from FCS (Flight Control System) is developed. By using the switch module, swift mode change was achieved during emergency flight case. Consequently, a meter level error of flight performance is achieved.

이동성이 Ad Hoc 망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obility on the Ad Hoc Network Performance)

  • 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01-208
    • /
    • 2010
  • 이동 Ad Hoc(MANET) 망은 노드들의 이동성으로 말미암아 망 구조가 수시로 바뀌는 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망의 성능 평가나 프로토콜 설계에 많은 도전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우리는 이동성이 망의 성능에 미치는 성능 측도로서 총 경로 붕괴시간, $\sum_{i}T_i$가 개별 연결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평가하는 측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총 경로 붕괴시간 측도를 세 가지 다른 이동성 모델(Random Waypoint, Manhattan, Blocked Manhattan)에 적용하여 각 이동성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패킷 전달율, 종단 간 지연 등이 이동성 모델에 따라 왜 달라지는지를 규명하였다. 또한 AODV 라우팅 프로토콜 하에서 경로 붕괴에도 불구하고 AODV Buffer가 패킷전달율을 어떻게 높이고 종단 간 지연을 얼마만큼 증가 시키는지를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대의 드론을 이용한 편대 비행 제어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Formation Flight Control System Using Two Drones)

  • 김동진;박영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43-351
    • /
    • 2016
  •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 formation flight control system using two drones. Ground control system communicates with drones by MAVLink protocol, does keep watch on drone's status and sends simultaneously formation flight instructions to drones in real time. Two drones have been able to fly by a formation flight algorithm without crashing while maintaining the same speed, and a constant distance and altitude.

대공위협에 대한 무인기 생존성 최대화 경로점 결정기법 (Determination of Waypoints to Maximize the Survivability of UAV against Anti-air Threats)

  • 박상혁;홍주현;하현종;유창경;신원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7-133
    • /
    • 2014
  • 본 논문은 무인기의 생존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경로점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초기 경로점을 선정하기 위해 사용된 Voronoi diagram은 위협의 위치와 크기가 주어져 있을 때, 위협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피해서 가는 경로를 계획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하지만 위협의 크기가 서로 다르고, 비행경로가 직선경로로 계획되어야 한다면 실제 경로 계획 시 Voronoi diagram으로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Voronoi diagram을 통해 선정한 초기 경로점을 위협의 형태에 맞춰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각 경로점의 인접한 경로점들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경로점을 하나씩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 방식은 전체 경로점들이 수렴할 때 까지 국소최적화를 반복함으로써, 최적의 경로점을 찾기 위해 소요되는 연산시간을 크게 감소시켰다.

DESIGN OF AN UNMANNED GROUND VEHICLE, TAILGATOR THEORY AND PRACTICE

  • KIM S. G.;GALLUZZO T.;MACARTHUR D.;SOLANKI S.;ZAWODNY E.;KENT D.;KIM J. H.;CRANE C. D.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83-9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unmanned ground vehicle, called the TailGator at CIMAR (Center for Intelligent Machines and Robotics) of the University of Florida. The TailGator is a gas powered, four-wheeled vehicle that was designed for the AUVSI Intelligent Ground Vehicle Competition and has been tested in the contest for 2 years. The vehicle control model and design of the sensory systems are described. The competition is comprised of two events called the Autonomous Challenge and the Navigation Challenge: For the autonomous challenge, line following, obstacle avoidance, and detection are required. Line following is accomplished with a camera system. Obstacle avoidance and detection are accomplished with a laser scanner. For the navigation challenge, waypoint following and obstacle detection are required. The waypoint navigation is implemented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TailGator has provided an educational test bed for not only the contest requirements but also other studies in develo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adaptive control, creative control, automatic calibration, and internet-base control. The significance of this effort is in helping engineering and technology students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theory to practice.

다수 무인항공기의 자동 편대비행 시험 (Autonomous Formation Flight Tests of Multiple UAVs)

  • 송용규;허창환;이상준;김정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4-27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의 편대비행을 위해서 먼저 단일 무인항공기의 기본적인 자세제어, 고도제어를 포함하는 유도제어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여 검증하고, 이 시스템을 바탕으로 먼저 선도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선도기와 추종기간의 앞뒤거리와 좌우 거리를 피드백하여 비례미분제어한 결과를 보여준다. 보다 안정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편대 비행을 위하여 선도기의 위치와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추종기가 따라가야할 가상경로점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하여 추종기가 따라가도록 유도 명령을 생성하여 비행제어를 하고, 또한 선도기의 롤명령정보를 추종기의 최종 유도명령에 추가하여 편대 비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은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한 비행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알고리즘을 점차 개선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다소 실험적인 방식으로 최종 편대비행 알고리즘을 확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채택한 기법을 이용하여 3대의 무인항 공기를 자동비행 상태에서 편대 비행을 수행한 결과를 보여준다.

컴퓨터 게임의 NPC를 위한 적응적 경로 이동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daptive Navigation for NPCs in Computer Games)

  • 김은솔;김혜연;유견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2호
    • /
    • pp.222-228
    • /
    • 2016
  • 컴퓨터 게임에서 NPC(NonPlayer Character)의 획일적인 경로 이동은 게임 플레이어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웨이포인트 그래프를 이용한 길찾기의 경우, NPC가 지정된 위치만을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이 문제점은 더욱 두드러져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플레이어의 이동을 관찰하여 NPC가 적응적으로 경로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우선, 플레이어 이동의 포인트 지정을 관찰하여 웨이포인트를 동적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웨이포인트들을 NPC의 경로 탐색에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어의 지형 선호도를 학습하여 NPC별로 특성에 맞는 경로를 계획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유니티 4.0으로 제작된 RPG(Role Playing Game) 게임으로 구현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여 NPC 이동이 다양해지고 플레이어의 이동과 유사한 방향으로 개선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