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oluble fraction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6초

산사(Crataegifructus)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된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Crataegi fructus)

  • 박성진;신언환;이재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7-902
    • /
    • 2012
  • 산사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RC_{50}=4.39{\mu}g/m{\ell}$), butanol 분획($RC_{50}=6.25{\mu}g/m{\el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alpha}$-tocopherol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 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다만 fungi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 및 $500{\mu}g/m{\el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층 18.4%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산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괴화((槐花), Flos Sophora japonica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los Sophora japonica L.)

  • 박성진;신언환;함태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3
    • /
    • 2009
  • 괴화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RC_{50}=3.13{\mu}g/mL$), butanol 분획($RC_{50}=6.25{\mu}g/m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alpha}$-tocopherol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다만, fungi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mu}g/mL$, $500{\mu}g/m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층 21%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괴화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교방법이 PVA 필름의 겔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9년도 제41차 학술발표회
    • /
    • pp.15-16
    • /
    • 2009
  • Poly(vinyl alcohol) was 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water soluble photoinitiators. The crosslinking of PVA films with 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BTCA) and sodium phosphinate monohydrate(SPM) was also achieved via thermal curing. Different factors in the crosslinking including thermal and radiation methods were studied. Gel fraction of PVA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otoinitiator concentration. The maximum gel fraction on the crosslinking method was reached about 81%. The glass transition and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improved by both thermal and radiation crosslinking.

  • PDF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Component of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 안철우;여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4-110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functional property of tea extract obtained from tea extracts, semi-fermented tea(oolong tea) and fermented tea(black tea). Tea extracts exhibited remarkable nitrite-scavenging actions, and the a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of the amount of tea extract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of tea extracts showed pH dependent,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6.0. The nitrite-scavenging rate in tea extracts/amine/nitrite systems proved to be faster than that in amine/nitrite systems. To screen the nitrite-scavenging factors, tea extracts were fractionated into water-soluble, methanol-soluble, methanol-precipitate and crude catechin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of tea extracts, the crude catechin fraction possessed great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the other fraction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of tea extracts increased with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an absorbance at 280nm, nitrite-scavenging factors were supposed to be and catechins in tea polyphenol compounds.

  • PDF

광주지역 PM2.5 입자 수용성 성분의 화학적 특성조사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Components in Fine Particulate Matter at a Gwangju area)

  • 박승식;조성용;김승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1호
    • /
    • pp.20-26
    • /
    • 2010
  • 수용성 유기 및 무기성분은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중요한 구성성분들이며 간접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구름응결핵으로 작용한다. 유기 및 원소탄소(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및 EC) 및 수용성 유기탄소(water soluble OC, WSOC) 및 이온성분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광주지역에서 24시간 기준의 미세입자($PM_{2.5}$)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간 중 $PM_{2.5}$ 수용성 분율의 주요성분인 WSOC, $NO_3^-$, $SO_4^{2-}$$NH_4^+$의 평균농도는 각각 2.11, 5.73, 3.51 및 $3.31{\mu}g/m^3$ 이었으며, $PM_{2.5}$ 농도의 12.0(2.9~23.9%), 21.0(12.9~37.6%), 11.6(2.5~25.9%), 및 11.7%(3.8~18.6%)를 차지하였다. 총 수용성 성분(유기+무기) 중 WSOC 화합물이 차지하는 분율은 평균 17.6%(5.4~35.9%)이었다. EC 추적자 기법을 이용해 평가한 2차 OC 및 WSOC 농도는 각각 평균적으로 0.78 및 $0.34{\mu}g/m^3$이었으며, 전체 OC 및 WSOC 중의 평균 17.9%(범위: 0~44.4%) 및 평균 11.2%(범위: 0~51.4%)를 차지하였다. 광주지역 겨울철에 측정한 $SO_4^{2-}$ 입자는 국지적인 기상산화반응보다는 장거리 이동 또는 수용액 변환과정에 의한 영향, 구름 내 변환과정 등이 황산염 입자 생성에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일본잎갈나무재의 수용성추출물 첨가가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oluble fraction from Japanese Larch Wood on Sawdust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조남석;정흥채;김동훈;이상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35-44
    • /
    • 2004
  •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생장이 매우 좋았던 일본잎갈나무재의 수용성 추출물(water-soluble fraction, WSF)을 분리하여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rhamnose 및 mannose는 거의 없고, glucose도 2.2%로 매우 낮았으며, arabinose가 18.3%, galactose가 75.3%로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정제된 추출물의 arabinose와 galactose의 함량비는 1 : 3.4였다. 정제된 WSF를 완전메틸화·가수분해·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β-1,3 결합한 D- galactopyranose가 주쇄를 이루며, 이에 galactose의 C6위에 측쇄로서 β-1,6 결합한 D-galactose와, β-1,6 결합한 L-arabinose가 존재하며, 전자는 2-3개의 D-galactopyranose가 결합을 하고 있고, 후자는 L-arabinofuranose가 1-2개 중간의 측쇄구조를 이루고, 말단은 L-arabinopyran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PDA배지에 WSF첨가로 표고의 균사 생장이 매우 증진되었으며, 2 - 4% 첨가수준에서 균사 생장이 최대였고, 첨가량이 더 많으면 균사의 생장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톱밥배지에서도 PDA 배지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WSF첨가로 균사 생장이 증진되었으며, 산림 6호 및 Mok-H의 경우 모두 4% 첨가에서 균사의 생장이 최대로 나타났다. 톱밥배지에 WSF 첨가가 버섯생산량을 증가시켰는바, Mok-H의 경우 무첨가에 비해 약 1.3배, 산림 6호의 경우 1.2배 증수되었다. 버섯균 세포벽의 주성분인 ergosterol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WSF첨가로 미첨가에 비하여 ergosterol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균사가 콜로니를 형성하는 초기단계에서는 낮은 ergosterol함량을 나타냈으나 자실체가 형성되는 시기에 급격히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배지내의 ergosterol함량이 자실체형성의 주요 예측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호음료 성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 도정룡;김선봉;박영호;박영범;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0-534
    • /
    • 1993
  • 전통기호음료성분의 기능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결명자, 들깨, 대추, 모과, 오미자, 오갈피 및 생강 추출물을 여러가지 획분으로 분획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조사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모두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있었으며, 수용성 획분을 에탄올 가용성 획분이 에탄올 침전획분으로 분획하였을 때, 결명자, 들깨, 오갈피, 생강의 경우에는 에탄올 가용성 획분이 에탄올 침전획분보다 아질사염 소거작용이 뛰어났으며 대추, 모과, 오미자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료 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환원성 물질의 관여도 클 것으로 생각되어 전자공여작용을 조사해 본 결과, 기호음료 원료에서 추출한 수용성 획분의 전자공여 작용은 오갈피>들깨>모과>생강>대추>오미자>결명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침전획분과 에탄올 가용성 획분의 전자공여효과도 아질산염 소거효과와 경향이 일치하였다.

  • PDF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조체의 생리활성 성분 (Bioactive Components from Red Tide Plankt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3
    • /
    • 1996
  • 무각류의 와편모조인 C. polykrikoides에 의한 적조는 맹독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한 어패류의 폐사로 매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어, 어패류 폐사의 원인 독성분을 규명하고, 유용 조류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93년 10월 경남 통영군 욕지도 인근에서 발생한 적조시 채취한 천연 조체를 시료로 수종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MeOH 추출물의 마우스 치사 독성은 없었으며 (지용성 획분 : 50mg, 수용성 획분 : 10mg), 미량 형광 HPLC 분석에서도 마비성이나 설사성 패류독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5mg/ml의 농도에서는 어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항균성도 없었다 (10mg/disc). P-388 종양 세포에 대하여는 지용성 획분이 $180{\mu}g/m1$의 농도에서 $20\%$의 생육 저지활성을 나타내었고, 아미노산 분석에서 2개의 미확인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용혈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지용성, 수용성 양 획분에 모두 존재하였으며, 지용성 획분중의 성분으로서는 EPA와 DHA가 동정되었고, 이들이 총지방산의 $40.6\%$를 차지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Camembert Cheese 숙성 중 Casein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Caseins during the Ripening of Camembert Cheese)

  • 이지환;이수원;정재홍;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7-342
    • /
    • 1990
  • P. caseicolum V.B.와 복합유산균을 사용하여 제조한 Camembert cheese를 45일간 숙성시키면서 카제인 변화와 그에 따른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숙성과정 중 수용성 질소, 비카제인태 질소, 비단백태 질소량은 증가하였다. pH 4.6-insoluble casein의 전기영동 결과 숙성 10일에는 4개의 band에서 45일에 12개의 band로 분리되었는데 ${\alpha}_{s1}-casein$은 숙성 17일에 완전히 분해되었으며, ${\beta}-casein$도 숙성 45일 동안 거의 대부분이 분해되었다. 또한 pH 4.6-soluble casein fragments의 gel filtration에서 숙성 10일에는 3개의 fraction, 24일까지는 4개의 fraction이 나타났고 31일부터는 5개의 fraction으로 분별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 31일된 Camembert cheese의 기호성이 제일 높았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ardness는 감소하였고 관능적 기호성과는 0.1%의 유의수준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호흡기 침착부위에 따른 미세먼지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일별 농도 측정 (Daily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Water-soluble Inorganic Ions in the Atmospheric Fine Particulate for Respiratory Deposition Region)

  • 강공언;이상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7-397
    • /
    • 2005
  • In oder to understand the deposition possibility of water-soluble inorganic ions in the atmospheric fine particulates for the human respiratory tract,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ion species was measured using an Anderson sampler in the Iksan during fall, 2004. Samples were analyzed for major water-soluble ions using Dionex DX-100 ion chromatograph. The size distribution of water-soluble inorganic ions in the atmospheric particulates appeared bimodal distribution, which were divided around $1-2{\mu}m$ into two groups. Mass site distribution of total ion in the coarse mode was found to be almost similar level during the sampling period, but fluctuations of mass size distribution in the fine mode were observed. Considering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total ion concentrations for the respiratory deposition region, it was found that about 77.1% of total tons could be deposited in the alveolar region, and which dominated the daily variation of total ion concentrations. The concentration of total ions, which could be deposited in both the head region and the tracheobronchial region, was $3.95{\mu}g/m^3$, whereas that in the alveolar rerion was $13.28{\mu}g/m^3$. Dominant ions which could be deposited in the alveolar region were ${NO_3}{^-},\;{SO_4}^{2-}\;and\;{NH_4{^+}$, accounting for about 40%, 27% and 22% of the total ions, respectively. Although $K^+$ was approximately 3% of total ions, it was shown that most of this could be deposited in the alveolar region due to its high fraction of small size distribution originated from anthropogenic source of biomass burning. The presence of these ions in the fine mode may be of public health significance as they are very biologically harmful to health and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deposited in human lung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