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seeding ric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벼 누른오갈병(Sclerophthora macrospora)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병 저항성 품종 검정 (Effect of Rice Downy Mildew (Sclerophthora macrospora) on Rice Growth and Screening of Disease Resistance of Cultivars)

  • 이용환;차광홍;고숙주;박기범;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52-56
    • /
    • 2003
  • 전남 나주의 벼 누른오갈병이 발생한 담수직파 포장에서 일미벼를 대상으로 병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품종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누른오갈병 발생시 잎에는 퇴록반점이 나타나고 엽장이 짧아지며 벼의 생육이 진행되면서 줄기의 절간신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마디사이가 기형적으로 자라고 출수가 안되거나 기형이삭이 되는 증상을 보였다. 벼 누른오갈병 이병시 초장이 짧아졌고, 분얼수는 최고분얼기 전에 발병주가 적었지만 그 이후에는 발병주가 많았다. 마디수는 발병줄기가 건전줄기에 비해 많은 반면에 마디길이는 짧았다. 발병정도가 심할 수록 단위면적당 이삭수가 적고 등숙율이 낮아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묘를 대상으로 품종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동진벼, 계화벼가 벼 누른오갈병에 대해서 저항성이었다.

주요 고농서를 통한 조선시대의 도작기술 전개과정 연구 II. 고대중국의 도작기술 개요 탐색 (Transition of Rice Cultural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I. Investigation of Rice Culture Practice in Ancient China)

  • 이숭겸;구자옥;이은웅;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0-285
    • /
    • 1991
  • 우리나라 고대농업과 기술을 형성하는 데 직접간접으로 기간역할을 해 왔던 고대중국의 도작기술은, 이미 한전농법과 농본관(정신)을 기원전에 완성하였으며, 특히 심경과 정수 및 토양비옥도 유지를 위한 경전법을 중심으로 도작기술이 발전되었고, 따라서 이앙법, 정조식 심종법, 철제농기구 사용, 수리를 위한 피당 축조기술이 앞섰고, 다양한 지역에서 재해를 회피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품질공급을 위하여 벼 품종의 분화가 잘이루어져 왔다. 또한 중국농업의 발상지가 화북이었기 때문에 인희지광의 특성에 맞는 조방적 도작기술로서 화경수누법과 세역법이 태동되었고, 한무제와 ‘참위’학자들의 음역오행설이 농업관과 연계되면서 파종이나 작목선택에 대한 기술이 만술적으로 발달한 경향도 있었다. AD 6세기경의 $\ulcorner$제민요술$\lrcorner$부터 14세기의 왕복 $\ulcorner$농서$\lrcorner$에 이르기까지 도작기술은 지속적, 상가적으로 분화발달되어 왔으나 원대 이후에는 정체된 경향이었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여말 농업과 $\ulcorner$농사직설$\lrcorner$시대가 시작되었다.

  • PDF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의 생장(生長) 및 해부형태학적(解剖形態學的) 차이(差異) - III.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벼와 피간(間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Rice and Barnyardgras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II. Difference in Stem Surface and Ultrastructures)

  • 천상욱;구자옥;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4-155
    • /
    • 1994
  • 재배양식(栽培樣式)을 달리하여 생육하는 벼와 피의 줄기 표면(表面) 및 최외곽(最外廓)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차이(差異)를 파악하여 제초제(除草劑) 사용원리(使用原理)와 잡초방제요점(雜草防除要點)을 연관지어 밝히고자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SEM)과 투사전자현미경(投射電子顯微鏡)(TEM)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줄기의 표면구조(表面構造) 차이(差異) 가. 건답조건(乾畓條件)에서는 표면(表面)벼와 토중(土中)벼간에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표면(表面)벼가 토중(土中)벼에 비하여 더 매끄러운 표면(表面)을 형성하였다. 건답직파(乾畓直播)는 최외부층의 납질(蠟質)구조가 아령모양(啞鈴模樣)을 하고 있으며 기공열(氣孔列)과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이 있으나 피는 납질(蠟質)이 실모양이며 모용, 기공열(氣孔列) 및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은 없었다. 나. 담수직파(湛水直播)된 벼 줄기표면(表面)은 미분화(未分化)된 조직(組織)의 상태(狀態)를 나타내며 모용,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및 기공열(氣孔列)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 이앙후(移秧後) 8일(日) 및 25일(日)된 묘(苗)의 표면구조(表面構造)는 건답직파(乾沓直播)벼의 구조(構造)보다 기공열(氣孔列), 규산세포열(硅酸細胞列), 납질(蠟質) 및 모용의 발달(發達)이 더 많았다. 2. 최외부(最外部) 세포벽구조(細胞壁構造) 차이(差異) 가. 최외부(最外部) 납질(蠟質)두께는 이앙(移秧)벼가 가장 두꺼웠고 건답(乾沓)벼가 피나 담수(湛水)벼보다 2~6배 두꺼웠다. 나. 벼의 큐티클층(層)은 이앙(移秧)벼와 건답(乾沓)벼보다는 담수(湛水)벼가 두꺼웠으나 반대로 담수(湛水)피보다는 건답(乾沓)피가 두꺼웠고 전반적으로는 피보다 벼가 더 두꺼웠다. 다. 세포벽(細胞壁)은 이앙벼가 가장 두꺼웠고 피보다는 벼가, 건답(乾沓)벼보다 담수(湛水)벼가 그리고 건답(乾沓)피보다 담수(湛水)피가 두꺼웠다.

  • PDF

Effect of phosphorus application on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Hwang, Jae-Bok;Bae, Hee-Soo;Park, Tae-Seon;Choi, In-B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3-233
    • /
    • 2017
  • Algal communities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 aquatic ecosystems function. Algae have short life cycles, they respond quickly to environmental change and their diversity and density can indicate and the quality of their habitat. The bloom forms before the rice seedings have emerged, it may present a physical barrier that prevents the seedlings from penetrating the floodwater. Wind may also move the algal bloom, pushing the young plants beneath the surface. Another harmful action develops when the water dries up and the algae form a layer at the bottom of the field. The layer envelops the seedlings, which are not yet deeply rooted, and drag them to the surface when the water is let in again. Soil utilization pattern can be the mail facter affecting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especially in soil phosphorus (P). Solid content of the algae culture solu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nitrogen rather the phosphors concentration. Phosphoric acid was treat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s (100-0%, before transplanting time-tillering stage), 50-50%, 0-100%, and un-treated. The herbicide was treated on the 7 DAT (day after transplanting). Green algae samples were collected 20 DAT. Total phosphoric acid was the highest at 0.06 in 50-50% treatment in 20 DAT. The amount of green algae was about twice (9.8 mg/20ml) that of un-treated. Total number of green algae was 54 species(Green algae 35 species, Euglena 9 species, Stone wheel 10 species). Among the phosphoric acid treatment method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green algae were the highest with 39 species in 0-100%, followed by 50-50%, 28 species, conventional treatments, 22 species, non-treatment, 18 species, respectively. Rice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phosphoric treatment time, but slightly higher than un-treated. The maximal algal biomass was observed about 2weeks or 1 month after transplanting; the subsequent decrease of the biomass was related to the consumption by grazers and to a deficient light under the rice canopy. Maximal algal growth was observed just before tillering. To estimate the suitable method of phosphorus application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available phosphorus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were investigated in paddy soil of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PDF

Echinochloa colona의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제요인(諸要因) (Some Factors Affecting Germination and Growth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3-108
    • /
    • 1985
  • Echinochloa colona(L.) Link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pH, 염도(鹽度), 파종심도(播種深度) 및 수분압박(水分壓迫)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발아(發芽)는 pH 10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나, 유아(幼芽)의 길이는 시험(試驗)된 pH의 범위내(範圍內)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염분농도(鹽分濃度) 0.1% 이하(以下)에서 발아(發芽)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나, 0.5%에서 감소(減少)되었다. 염분농도(鹽分濃度) 1.0%에서는 유아신장(幼芽伸長)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어짐에 따라 발아율(發芽率)은 현저히 감소(減少)되지만, 파종심도(播種深度)에 관계(關係)없이 엽초(葉鞘)마디(coleoptilar node)는 항상 지표면(地表面) 바로 밑에서 형성(形成)되었다. 수분(水分)포텐셜이 -4.6 bars에서 발아(發芽)는 감소(減少)되고 지연(遲延)되었으며, -9.8 bars의 수분(水分)포텐셜에서는 발아(發芽)되지 않았다. 토양(土壤)의 수분압박(水分壓迫)은 초장(草長)을 감소(減少)시키고, 출수(出穗)를 지연(遲延)시켰으며, 종자생산(種子生産)을 감소(減少)시켰다.

  • PDF

Vetch Effects for the Low-input No-till Direct-Seeding Rice-Vetch Cropping System

  • Cho, Young Son;Choe, Zhin R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1-224
    • /
    • 1999
  •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weed control effects of vetch and to evaluate vetch characteristics on clay loam soil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s. The effects of weed control, forage productivity, and N content of vetch plan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progress of plant growth, dens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gradually decreased, but densities of foxtail and other weeds decreased steeply due to the depression by the over-shaded vetch canopy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paddy field. The vetch density in tillage systems was lower than in notillage cropping systems. Lower vetch density occurred with an increase in foxtail density and other weeds. Weed control effect increased by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which indicated that the vetch canopy over-shaded the weeds. Vetch straw was degraded rapidly submergence after with water at the time of wet sowing of rice. Early harvesting of vetch seed resulted in lower seed germination. To acquire enough seedlings without re-sowing, the harvesting of seed should be delayed at least 28 days after the flowering stage in order to ensure the vetch population is sustainable in a no-till direct-sown rice-vetch cropping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survival of vetch plants,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from the heading .stage to before the full-ripening stage of rice plants. To enhance the percent of over-wintering survival, vetch seeds should germinate no later than the end of October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vetch plants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vetch growth until the flowering stage but N content decreased for 30 days from before the flowering stage (2.9%) until the ripening stage (1.8%). We concluded that Chinese milk vetch could have an effect on weed control before the flowering stage, sustainability without re-sowing of seed annually, and effective green manure for rice pre-crop in no-till direct-sown rice-vetch relay cropping systems.

  • PDF

벼 담수표면산파 재배에서 무인헬기를 이용한 제초제 경엽처리 효과 (Efficacy of Foliar Herbicide Treatment by Unmanned Helicopter under Water-Seeded Rice Cultivation)

  • 성덕경;배성문;김영광;조용조;이상대;심상인;정정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3-328
    • /
    • 2014
  • 본 연구는 벼 재배에서 병해충방제의 목적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농업용 무인헬기를 담수표면산파의 잡초방제에 활용 가능성을 검정하고자 수행하였다. 경엽처리 제초제(bentazone sodium + fenoxaprop-P-ethyl)의 처리농도는 벼 병해충방제에 적용하는 8배로 희석하여 처리한 결과 기준량 및 2배량 살포에서는 피해가 크지 않았으나, 3배량 이상 살포시 벼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벼 담수표면산파 포장에 발생한 주요 잡초는 피(Echinochloa crus-galli)를 포함한 일년생 6초종과 너도방동사니 등 다년생 2초종이었으며, 파종 후 25일에 무인헬기로 경엽처리 제초제 살포시 일년생 잡초에서 96.3%, 다년생 잡초 99.8%로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관행방제와 유사한 방제가를 보였고, 약해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 살포시기 설정을 위하여 파종 후 15일, 20일, 25일에 무인헬기로 살포한 결과 파종 후 15일에 방제가가 일년생 잡초 98.5%, 다년생 잡초 100%로 관행방제(1년생 97.3%, 다년생 99.6%)보다 높았고, 약해 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농업용 무인헬기를 경엽처리 제초제 살포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벼 유전자원의 저온 발아성에 대한 표현형 및 유전형 특성 평가 (Phenotypic and Genotypic Evaluation of Rice Germplasm for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 현도윤;최유미;이수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3호
    • /
    • pp.25-31
    • /
    • 2022
  •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LTG) is an important trait for the direct seeding of rice in temperate and high altitudes regions. Water temperature of rice fields at sowing season is frequently under 15℃ in Korea, resulting in poor seedlings establish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evaluate 600 rice germplasm composed of six rice subpopulations. In the phenotypic evaluation, aus (AUS) showed the highest visual rating (VR) and germination rate (GR) of 5 and 83.1%, respectively, than other subpopulations. The lowest value of VR (7.1) and GR (53.1%) was observed in aromatic (ARO) subpopulation. Association of the phenotype for LTG with the genotype for qLTG3-1, a major QTL for LTG, and other three SNP markers (LTG_8, qLTG4b-1, qLTG2-6) was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llele distribution of two markers, qLTG3-1 and qLTG2-6, affects the difference in VR and GR between subpopulations. qLTG4b-1 and LTG_8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with LTG in all subpopulations except that qLTG4b-1 did now show significance in AUS. Therefore, the combination use of these four markers might be effective for evaluation of LTG in rice germpla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