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eter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8초

부자식 수위계를 위한 이동형 교정시스템의 수학 모델 (Mathematical Model Expression of Portable Calibration System for Float Type Water Level Meters)

  • 홍성택;신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964-1972
    • /
    • 2017
  • K-water에서는 2008년부터 부자식 및 초음파, 레이다식의 수위계에 대한 ISO 17025 국제공인 교정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위계의 교정은 고정표준실에서 실내 교정만이 가능하였으며, 이는 현장 등의 실외에서 교정하는 시스템의 부재가 원인이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도 교정이 가능하도록 2015년에 이동형 교정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2016년에 각종 심사 및 위원회를 거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정기구로부터 인정받은 수위계 이동형 교정시스템 중 부자식 수위계를 현장에서 교정할 수 있는 교정시스템에 대하여 표준기 및 측정과 관련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설계의 기반이 되는 수학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동형 교정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수문관측 데이터에 대한 과학적인 시스템 운영으로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사무실 사용용수의 수량/수질 동시 측정이 가능한 일체형 스마트 워터 미터의 현장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Field Applicability for All-In-One Smart Water Meter to Measure both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 이새로미;오현제;주진철;안창혁;박재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53-662
    • /
    • 2016
  • Recently,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technology of smart water grid, and the relevant market is growing constant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ll-in-one smart water meter of the AMI system, which was installed on the test-bed to verify both effectiveness and field applicability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Developed 15 mm-diameter smart water meter is a magneto-resistive digital meter, and measures flow rat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conductivity) simultaneously. As a result of the water usage analysis by installing six smart water meters on various purposes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the water usage in shower room showed the highest values as the 1,870 L/day and 26.6 liter per capita day (LPCD). But, the water usage in laboratory was irregular, depending on the many variables. From the analysis of the water usage based on day of the week, the water usage on Monday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ended to decrease toward the weekend. According to the PCA results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es, the shower room (Group 3) and 2 floor man's restroom sink (Group 1-3) have been classified as a separate group, and the oth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water use and water quality aspects. From the analysis of water usage measured in this study, the leak or water quality accident did not occur. Consequently, all-in-one smart water meter developed in this study can measur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conductivity) simultaneously with effective field applicability in office building water usage.

유속측정 기기별 측정성과에 대한 실험적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discharge using various flow meters)

  • 이재혁;강경민;정성원;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08-1912
    • /
    • 2009
  • 유량자료는 물의 순환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개발 및 이수 치수 계획 등에 매우 귀중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자료를 확보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경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요 수위의 유량측정자료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Stage-Discharge Curve)을 개발하여 유량자료를 환산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신뢰도는 유량자료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수문학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고품질의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신뢰성 있는 곡선식을 개발하고자 유량측정 방법과 기준, 장비개량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측정하고자 하는 기기별 측정 성과에 대한 연구 자료가 거의 없이 국내에 보급된 다양한 유속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규격화된 콘크리트 수로에 일정한 유량을 흘려보내고 다양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기로 마그네틱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휴대용유량계(Flow Meter), 프라이스유속계(USGS Type AA Current Meter), 갈수기용유속계(USGS Pygmy Meter)등의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유량을 얻음으로 측정 기기가 제시하는 유량을 알 수 있었다. 비교검토에 적용하고자 측정한 수심으로는 0.25m, 0.30m, 0.35m, 0.40m의 4개 Case로 진행이 되었으며, 측정방법으로는 도섭법(Wading Measurement)에 의하거나 케이블웨이(Cableway), 교량법(Bridge Measurement), 보트법(Boat Measurement)등이 있으나,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섭법으로 수면에서 0.6d 지점의 유량측정방법(1점법)을 적용하였다. USGS Type AA Current Meter, USGS Pygmy Meter는 유속측정기기의 검교정을 받았으므로 다른 실험유속측정치의 비교를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기(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Flow Meter, USGS Type AA Current Meter, USGS Pygmy Meter)별 검토 결과 프라이스유속계를 기준으로 마그네틱유속계는 ${\pm}$10% 이상, 갈수기용 유속계 및 휴대용 유량계는 ${\pm}$5% 미만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상수도 원격 검침 데이터 송수신 위한 Client/Server 소켓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lient/Server Socket Program using Remote Measurement of Digital Water Meters)

  • ;박용만;권종원;김희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53-155
    • /
    • 2006
  • An automatic remote water measurement system was developed. This system sends automatic remote measured and collected water meters data automatically from the transmitter with CDMA modem through SK-Telecom network The water meter data are received through LAH TCP/IP and displayed as test file on IE(Internet Explorer) window. The existing water meters of mechanical type have so many problems to measure data. The person must visit the location of each water meters and write down the data records manually. In this system the RF module has attached each water meter Client/Server programs are developed by network socket programming.

  • PDF

부력 추를 이용한 지하수위 측정용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High Precision Underground Water Level Meter Using a Buoyant Rod Load Cell Technique)

  • 이부용;박병윤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6-40
    • /
    • 1999
  • A new method was developed to measure underground water level with high reliability. The principle of new method was to detect a change of a buoyant force according to change in water level of underground water measured by the use of a straingage load cell. Field test of the instrument was carried out in Cheju Isl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sent study provided a possibility to develop a new underground water level meter. 2) This new instrument accomplished high reliability at field test in Cheju Island. 3) There is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water level meter which measure various range of water level to detect a weight change of a buoyant forcd.

  • PDF

유속계 검정용수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ume for a current meter rating)

  • 정준석;박정응
    • 물과 미래
    • /
    • 제6권2호
    • /
    • pp.30-37
    • /
    • 1973
  • The coefficient of the current meter generally determined by the maker Its coefficient is subject to being changed with time. Therefore the coefficient of the current meter has to be checked up before it is ready to be used Such an inspection is termed a current meter rating The current meter equipped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ll the others are to be rated in a rating flume. The price current meter which is most widely used for measuring flow velocities ranging between 0.3m/sec and 3.5m/sec has been used in this study. The length of the flume and the optimum range of the rating in the cross section are determined in the range of 20∼120cm deep, 50∼160cm wide of the flume. In this study, the 23 different kinds of the current meter rating enabled us to determine the constants a and b of the following equation. V=an+b(m/sec) where, n is number of revolution per second(n=N/T) V is velocity(v=D/T) The above constant can be determined by the least squares method and plotting, using the velocity(V=D/T) and the number of revolution per second(n=N/T) obtained from the running distance(D), time(T), the number of revolutin(N), and the running number(m). From the experim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The rating flume is large enough if the flume is 110∼120cm deep, and 40∼50m long. 2) The optimum depth for rating of a current meter is in the range of h=40∼50cm.

  • PDF

세대집중화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를 이용한 AMI 시스템 (AMI System Using Smart Electricity Meter Embedded with Home Concentrate Unit)

  • 박재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37-5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전력량계에 세대집중화장치를 내장하여 AMI에 필요한 가스, 수도, 온수, 난방 검침을 일괄검침하는 시스템과, 검침데이터를 에너지정보표시장치(IHD: In House Display)와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구성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AMI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보다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고 운영비용이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하다.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면 전기, 수도, 가스, 온수 및 난방의 5종 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검침 하고 이에 대한 AMI 적용을 보다 용이하게 구성 가능하다. 주요개발 내용은 스마트 전력량계 구성과 세대집중화장치 결합 및 이들 데이터를 IHD와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이며, 이들 요소들을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제 검침 동작구성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

정수장에서 배출수 공정 자동화를 위한 초음파 다중빔 슬러지 농도계 개발 (Development of Ultrasonic Multi-Beam Sludge Meter For Effluent Facilities Automation)

  • 장상복;홍성택;전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313-2321
    • /
    • 2014
  •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의 배출수 처리공정에서 고 농도의 슬러지 선별, 이송 및 약품 투입량 조절을 위한 기준으로 슬러지 농도계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슬러지 농도계의 정도 향상과 문제점 개선을 통해 배출수 처리공정의 운영 효율화와 자동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센서를 다중빔으로 설계 및 최소편차 선형평균 필터링을 적용하여 농도계의 정도 향상과 안정성을 실현하였으며, 부단수 방식의 센서 착탈 설계로 배출수 시설 운영중에도 유지관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다중빔 방식 슬러지 농도계의 성능을 Pilot Plant를 통하여 다양하게 검증하였다.

ZigBee 무선표준을 이용한 상수도 원격검침 네트워크 구현 (Realization of Water AMR Network using ZigBee Protocol)

  • 권종원;박용만;오드게럴;김희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68-170
    • /
    • 2006
  • In this paper, authors realize water AMR(Automatic Meter Reading) network using low power ZigBee protocol included routing ability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tation error detection and network range. ZigBee wireless standard is an important standard of the field related Ubiquitous industry and recently has application to Home-Network. It's special features are to spend low power and to include routing ability each terminator. Because of these features, authors realize water AMR system on Embedded system using ZigBee protocol for applying to transfer data between a water meter and RF module equipped with a water meter in each ho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