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eter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7초

유수율 향상을 위한 수도미터의 불감률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nder Registration Rate for Water Meters to Increase the Accounted Water Rate)

  • 이동근;박종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8호
    • /
    • pp.791-797
    • /
    • 2010
  • 수도미터를 통한 유량측정 및 분석결과의 신뢰성은 측정정확도에 따라 좌우된다. 수도미터의 불감률은 수도사업자에게 재정손실이나 유수율 감소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효율적인 운영관리 기술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메커니즘 채택과 같은 핵심기술 개발과 지원을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 수도미터를 이용하여 구경, 제작사, 사용연수 및 사용량별로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연수가 길어질수록 최소유량에 서의 오차가 "-" 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철제유물의 수용성 염소이온 측정방법에 대한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n Measuring Water-soluble Chloride Anions from Iron Artifacts)

  • 이재성;박형호;유재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7-406
    • /
    • 2010
  • 철제유물에서 용출된 수용성 염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탈염처리 용액을 이온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로 분석하는 것이지만 대부분의 문화재 관련기관에서는 예산이나 전문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고 염소이온농도 측정기(Cl meter)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제유물의 탈염처리 용액에 대한 염소이온농도 측정기의 $Cl^-$ 이온 농도 측정결과와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결과를 교차 검증하여 상호 기기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초순수는 염소이온농도 측정기의 전극에 잔류하는 수용성 염소이온의 영향으로 미량의 염소이온이 검출되었고, Sodium sesquicarbonate 시약 성분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염소이온이 검출되었다. 탈염처리한 수용액은 탈염 1차에서 가장 많은 염소이온이 측정되었으며, 탈염 2차부터 탈염 4차까지는 소폭 감소하다가 초순수을 이용하는 탈알칼리 단계에서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소이온농도 측정기마다 측정횟수에 따른 편차를 보였으며, 탈염용액 내에 염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편차는 심해졌다. 하지만 염소이온 농도가 낮을 경우 편차가 적어 철제유물의 염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기로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전기전도도 측정법은 알칼리 용액의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Cl^-$ 이온의 함량을 예측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Reed Switch 센서를 이용한 원격 검침용 상수도 계량기에서 Chattering 오차 감소 방안 연구 (Reduction Chattering Error of Reed Switch Sensor for Remote Measurement of Water Meter)

  • ;권종원;박용만;구상준;김희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77-379
    • /
    • 2007
  • To reduce the chattering errors of reed switch sensors used for automatic remote measurement of water supply system, a reed switch sensor was analyzed and improved. The operation of reed switch sensors can be described as a mechanical contact by approximation of permanent magnet piece to generate an electrical pulse. The reed switch sensors are used in measurement application by detecting the rotational or translational displacement. To apply for flow measurement devices, the reed switch sensors should keep high reliability. They are applied for the electronic digital type of water flow meters. The reed switch sensor is just installed simply on the mechanical type flow meter. A small magnet is attached on a pointer of the water meter counter rotor. Inside the reed sensor, two steel leaf springs make mechanical contact and apart as rotation of flow meter counter. The counting electrical contact pulses can be converted as the water flow amount. The MCU sends the digital flow rate data to the server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it occurs data difference or errors by chattering noise. The reed switch sensor contains chattering error by it self at the force equivalent position. The vibrations such as passing car near to the switch sensor installed location. In order to reduce chattering error, most system uses just software methods for example using filter and also statistical calibration methods. The chattering errors were reduced by changing leaf spring structure using mechanical hysteresis characteristics.

  • PDF

부자식 수위계 이동형 교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loat Water Level Meter Portable Calibration System)

  • 홍성택;김일한;최종웅;신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1-414
    • /
    • 2016
  • 장마 및 태풍, 집중호우 등 다량의 강우발생시 댐 및 하천의 수위 관측은 국민의 생명 및 재산과 직접 연관되는 상황으로 안전재난 대비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실시간 수위 데이터 확보와 신뢰성 있는 데이터는 과학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필요충분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댐이나 하천 상하류의 수위계는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현장에서 검정 및 교정이나 보정 등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K-water연구원에서는 길이분야인 수위계에 대한 국제공인 교정기관으로 운영중에 있으며, 현장에서 부자식 수위계를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절차서의 부재로 표준교정실에서만 교정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자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부자식 수위계를 현장에서 교정할 수 있도록 이동형 교정시스템 및 표준교정 절차서를 개발하였으며, 수위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자료 확보와 일관성 있는 자료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about Embodying an AMR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 Yoon, Gun;Park, Hong-Se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19.2-119
    • /
    • 2001
  • The inspection of a meter is an action that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water and gas used to impose user on a charge. In past days, a meter who visit consumer to look over meter and write data to the ledger and then go back his office to calculates the inspection of a meter. On the other hand, the AMR(Automatic Meter Reading) is remote control system to measure the amount of utility used and monitor a condition of the meter. A study about AMRS is started at 1960 all over the world and a successful application example is presented continuously in American, Europe and Japan etc. In this paper we use a check meter that is used in past days and we add an AMR to it. AMR receives data that is the amounts of electricity from the check meter and stores those ...

  • PDF

유량측정 기기별 측정성과에 대한 실험적 비교분석 (Experiment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asurement Results Using Various Flow Meters)

  • 이재혁;이석호;정성원;김태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3
    • /
    • 2010
  • 유량자료는 물의 순환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개발 및 이수 치수 계획 등에 매우 귀중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자료를 확보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요 수위에서 유량자료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Stage-Discharge Curve)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신뢰도는 유량자료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수문학을 전공하고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고품질의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신뢰성 있는 곡선식을 개발하고자 유량측정 방법과 기준, 장비개발 및 개량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유량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활용하고 있으나, 측정기기별 정확도 및 실험적 측정성과에 대한 연구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격화된 콘크리트 수로에 일정한 유량을 흘려보내는 조건에서 다양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기로 프라이스 유속계(USGS Type AA Current Meter), 휴대용 유량계(Flow Meter),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ADC), C2 유속계(C2 Small Current Meter), 플로우 트렉커(Flow Tracker), 마그네틱 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으며, 각 기기별 산정된 유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비교검토에 적용하고자 측정한 수심으로는 0.30 m, 0.35 m, 0.40 m, 0.45 m, 0.50 m, 0.55 m의 왕복측정 6-Case로 진행이 되었으며,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섭법으로 수면에서 0.6d 지점의 유량측정방법(1점법)을 적용하였다. 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는 유속측정기기의 검교정을 받았으므로 다른 실험유량측정치의 비교를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기(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 Flow Tracker, Electromagnetic Current meter)별 검토 결과 평균유량 및 평균유속에 있어 프라이스 유속계를 기준으로 마그네틱 유속계 $\pm$ 10 % 이상, 플로우 트렉커 $\pm$ 10 % 미만, 휴대용 유량계,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 및 C2 유속계는 $\pm$ 5 % 미만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분검출기 개발을 위한 빌지 배출수의 광특성 분석 (Opt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Bilge Water for Developing an Oil Content Meter)

  • 최상화;황정웅;정병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11-320
    • /
    • 2001
  • Since 1998 for protection of marine pollution, all ships must have oil filtering equipment and 15ppm bilge alarms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MARPOL 73/78. Oily-water separator used in machinery area of ships usually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filtering equipment and the other is oil content meter(OCM). This study presents optical characteristics of bilge were acquired form oil content sensing module. The oil content sensing module consists of IR-LED light source, photo-diode light receivers, and a glass tube for bilge water sample. The experiment with the bilge water demonstrates various valuable optical properties. These optical properties suggest notes and guides to make the low-cost, easy operation and good performance commercial type OCM tha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MARPOL 73/78.

  • PDF

Open-channel discharges evaluation by the application of smart sensors

  • Khatatbeh, Arwa;Kim, Young-Oh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8-138
    • /
    • 2022
  • Understanding a stream's or river's discharge is essential for a variety of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applications at various sizes. However, depending on the stream environment and flow conditions, it is crucial to use the appropriate techniques and instruments. This will ensure that discharge estimations are as reliable as possible. This study presents developed smart system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open channel discharge and evaluate streamflow measurement over various techniques. This includes developed smart flow meter as flow point measurements, smart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on Hydraulic Structure ? Weir) and current meter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equipment are presented to ensure that the most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we found that smart water level sensor is more prominent once used during flood event as compared to smart flow meter and current meters, while current meters seems to show better accuracy once applied for open channel.

  • PDF

첨단계랑인프라를 위한 원격검침 및 계량데이터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Meter Reading and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박재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29-836
    • /
    • 2017
  • 본 논문은 새로운 구조의 AMR(원격검침)/AMI(첨단계량인프라)를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시스템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검침 시간이 단축되고, 설치가 용이하다.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면 한국의 일반 가정에서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 수도, 가스, 온수 및 난방의 5종 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검침 하고 이에 대한 AMI 적용이 가능하다. 제안된 시스템이 이론과 실제 적용에 있어서 경제성과 신뢰성 모두 우수함과, AMI 적용에 기존 시스템보다 더 적합함을 테스트 결과에 보여준다.

DO 미터를 이용한 탐구중심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용존산소 측정 활동 - (Development of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DO Meter - Measuring Activity of Dissolved Oxygen -)

  • 류재홍;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2호
    • /
    • pp.96-107
    • /
    • 2006
  • Inquiry has great value in environmental education(EE). Being able to see the world environmentally through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value and goal of EE.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velop an EE program of measuring activity of dissolved oxygen(DO), based on the theory of 'inquiry-based EE'. Especially, we recognized the potential that DO meter can be used in 'inquiry-based EE', and we tried to develop a model of inquiry-based EE using DO meter.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present specific models of inquiry-based EE about how to perform measuring activity of DO and how to use the DO meter in laboratories and streams from the perspective of inquiry of water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e considered organization of the inquiry process, use of concept and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and insightful inquiry, integration, sustain-ability, content components of 'Environmental Studies for EE', developmental level and in-forest of students. The developed EE model is a scientific inquiry model, pursuing 'explanation' based on data collection. Through this model, we tried to make students see water environment more deeply.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pplied to various water environments, like laboratories, streams, ponds, etc. It can be more effective inquiry activity if we perform measuring activities simultaneously with P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urbidity me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