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Evaluation on Measuring Water-soluble Chloride Anions from Iron Artifacts

철제유물의 수용성 염소이온 측정방법에 대한 안정성 평가

  • Lee, Jae-Sung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Hyung-Ho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u, Jae-Eu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박형호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유재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1.09
  • Published : 2010.12.20

Abstract

The most ideal method to measure the water-soluble $Cl^-$ ion eluted from iron artifacts is conducting the analysis on desalting solution by Ion Chromatography. But most institute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s use Cl meter by reason of lack of budget and experts. This study evaluated reliability and stability between Cl meter and Ion Chromatography by doing cross-validation with results from two methods to detect $Cl^-$ ion of desalting solution. From D.I water, extremely small quantities of $Cl^-$ ion was detected by the influence of remaining water-soluble $Cl^-$ ion at the electrode of Cl meter and water-soluble $Cl^-$ which remains in Sodium sesquicarbonate, components of reagent was detected as well. The first desalting solution had the most $Cl^-$ ions, $Cl^-$ ion slightly decreased from the second to the fourth desalting solution and tend to decrease again at the stage of dealkalified in D.I water. Each Cl meter has the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numbers and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l^-$ ion the desalting solution has, the wider the deviation is. But when the concentration of $Cl^-$ ion is low, it was stable to use Cl meter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Cl^-$ ion from iron artifacts because there is the small deviation, It is thought that conductivity meter method is not suitable for measuring $Cl^-$ ion, becaus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lkaline solution is too high to measure $Cl^-$ ion.

철제유물에서 용출된 수용성 염소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탈염처리 용액을 이온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로 분석하는 것이지만 대부분의 문화재 관련기관에서는 예산이나 전문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고 염소이온농도 측정기(Cl meter)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제유물의 탈염처리 용액에 대한 염소이온농도 측정기의 $Cl^-$ 이온 농도 측정결과와 이온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결과를 교차 검증하여 상호 기기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초순수는 염소이온농도 측정기의 전극에 잔류하는 수용성 염소이온의 영향으로 미량의 염소이온이 검출되었고, Sodium sesquicarbonate 시약 성분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염소이온이 검출되었다. 탈염처리한 수용액은 탈염 1차에서 가장 많은 염소이온이 측정되었으며, 탈염 2차부터 탈염 4차까지는 소폭 감소하다가 초순수을 이용하는 탈알칼리 단계에서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소이온농도 측정기마다 측정횟수에 따른 편차를 보였으며, 탈염용액 내에 염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편차는 심해졌다. 하지만 염소이온 농도가 낮을 경우 편차가 적어 철제유물의 염소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기로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전기전도도 측정법은 알칼리 용액의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Cl^-$ 이온의 함량을 예측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오희, 문화재 보존과학, 주류성출판사, p127-139, (2008).
  2. B. Schmutzler and Ebinger-Rist, "The conservation of iron objects in archaeological preservation -Applic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lkaline sulphite method for conservation of large quantities of iron finds". Materials and Corrosion, 59, p248-253, (2008). https://doi.org/10.1002/maco.200804109
  3. 민심근 외, "침염시킨 철기 유물 표면 위에 형성된 부식 생성물과 탈염처리에 대한 연구". 한국표면공학회지, 40, p44-56, (2007).
  4. Jonathan Ashley-Smith. et al, Science for Conservators, 2, p119, (1992).
  5. 사와다 마사아키(김성범, 정광용 共譯), 문화재보존과학개설, 서경문화사, p134-140, (2000).
  6. 문환석, "금속유물의 과학적 보존 실습". 문화재의 과학적보존, 국립문화재연구소, p60, (1994).
  7. 남주연, 철제유물 부식인자 용출법에 대한 효율성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p7-8, (2005).
  8. 국립문화재연구소, 금속문화재 보존, p13-14, (2009).
  9. 구지혜, 철제유물 탈염처리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예술대학원, p13-1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