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ter DB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oil Depth Information DB Construction Methods for Liquefaction Assessment (액상화 평가를 위한 지층심도DB 구축 방안)

  • Gang, ByeongJu;Hwang, Bumsik;Kim, Hansam;Cho, Wanjei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3
    • /
    • pp.39-46
    • /
    • 2019
  • The liquefaction is a phenomenon that the effective stress becomes zero due to the rapidly accumulated excess pore water pressure when a strong load acts on the ground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n earthquake or pile driving,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Since the Geongju and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brought increasing domestic attention. This liquefaction can be assessed mainly through the semi-empirical procedures proposed by Seed and Idriss (1982) and the liquefaction risk based on the penetration resistance obtained from borehole DB and SPT. However,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the in-situ tests or boring information fundamentally have an issue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target area.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construct a ground information database by classifying and reviewing the ground information required for liquefaction assessment, and tried to solve the representative problem of the soil layer that is subject to liquefaction evaluation by performing spatial interpolation using GIS.

Methanol extract of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improves glucose metabolism through PPARγ agonist and insulin-mimetic effect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γ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 Park, Chul-Min;Kim, Hui;Rhyu, Dong-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2 no.4
    • /
    • pp.417-424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LMTN) on glucose metabolism. LMTN extract significantly enhanced the glucose uptake an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ompared with control. Also, LMTN extract in 3T3-L1 adipocyt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insulin receptor substrate-1, and glucose transporter (GLUT)4. The regulatory effect on glucose uptake or insulin signal transduction of LMTM extract was lower than troglitazone or pinitol such as the positive control, but increased PPARγ activation. Additionally, LMTM extract has an insulin-mimetic effect. In db/db mice, LMTN extract (250 mg/kg BW) significantly reduced water and food intake, blood glucose, and level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PPARã and GLUT4 mRNA in adipose or muscle tissue effectively was increased by oral treatment of LMTN extract.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LMTN extract improves the glucose metabolism through PPARγ and insulin-mimetic effect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Estim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of the Crystalline site Using Time Series Analyses in South Korea (시계열분석을 이용한 결정질암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 평가)

  • Lee, Jeong-Hwan;Jung, Haeryong;Lee, Eunyong;Kim, Sujeo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3
    • /
    • pp.179-192
    • /
    • 2013
  • This study is characterized the groundwater flow pattern near crystalline site of Yangbook-Myeon, Gyeong-ju City, South Korea. From the time series analyses, groundwater level could be classified into 4 types reflecting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infall pattern. The type I (DB1-1, DB1-2) may be directly influenced by rainfall pattern. The type II (DB1-3, DB1-7, KB-1, KB-2, KB-3, KB-7, KB-14, KB-15) may be influenced by rainfall event as well as groundwater flow through water-conducting features. The type III (DB-5, DB1-6, DB2-2, KB-10, KB-11, KB-13) may be predominantly happens in the crystaline rock mass, groundwater in this type flows through the minor fracture networks rather than direct effect of rainfall event. The type IV (DB1-8, KB-9) may be influenced by irregular variation of the groundwater level due to anisotropy and heterogeneity of crystalline rock.

A study on developing a data model to automatically generate input data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수질모의 입력자료 자동작성을 위한 데이터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 Park, Yong-Gil;Kim, Kye-Hyun;Lee, Ch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95-98
    • /
    • 2010
  • 수질오염총량제가 도입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허용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QUAL2E 수질모델을 이용한 수질모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질모의 수행에 필요한 입력 자료를 작성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 및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의 입력 자료를 자동으로 작성하기 위하여 오염원 DB와 수리계수 DB 및 한국형 리치파일을 연계할 수 있는 데이터모델을 수립하였다. 모델을 이용하여 수질모의 대상하천의 기본 정보를 한국형 리치파일에서 얻은 후 오염원 DB와 표준유역명으로 연계하여 오염원 정보를 추출토록 하였다. 아울러 수리계수 DB에서 하천코드와 상류지점으로부터 누적거리를 이용하여 대상 하천의 수리계수를 추출하였다. 이는 모의대상하천을 선택하였을 때 자동으로 수질모의 입력 자료를 작성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델의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기관에서 중복 구축하던 수질모의 자료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며, 나아가 수질모의 입력 자료의 작성을 자동화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 절감에 기여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easuring Temperature on Wood Surface at the Beginning of Drying Using IR Image Measuring System (적외선 화상처리 장치를 이용한 건조초기 목재 표면 온도 측정)

  • Lee, Kwan-Young;Kang, Ho-Yang;Lee, Min-Kyung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 /
    • v.17 no.3
    • /
    • pp.79-85
    • /
    • 2006
  • Temperature of board surface was monitored during drying using an IR image measurement system. Boards were water-saturated and dried at the levels of four temperatures and three air velocities. At higher DB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more steeply and level off period was significantly short. At the DB temperatures of 70, 80, $90^{\circ}C$ the period where the surface temperature was equivalent to WB temperature was constant regardless of air velocity while at $60^{\circ}C$ it decreased as air velocity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a surface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with DB temperature. Variation of temperature profile on a wood surface increased with DB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 PDF

A Strategy on Integrated Data Bas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Glob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글로벌 수자원 정보 시스템 통합 DB 구축 및 관리방안 연구)

  • Gwon, Yong Hyeon;Lee, Kyoung Do;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5-375
    • /
    • 2018
  • 세계 수자원 시장은 연평균 6.5%씩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1,038조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으나,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인해 가뭄 및 홍수피해가 증가하여 수자원 관리가 더욱 어려워져지고 있다. 급속도로 변화는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수자원 및 기후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외사업 진출 시에는 수자원 기초자료 수집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수문기상자료 제공과 함께 GIS정보, 댐 및 저수지 관련 자료, 인문사회 자료, 물관련 통계자료, 물관련 재해자료 등을 웹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수자원 정보 시스템(GWB, Global World Bank)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통합 DB를 구축하고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메타데이터 속성 및 데이터구조를 파악하고, 세부항목별 자료 포맷을 분석 후 GIS기반 관측소 정보와 자료를 매칭하여 최종적으로 시스템 컨텐츠별로 DB를 맵핑하였다. 강수량과 기상자료는 33개국의 관측소 6,531개소의 일/월/연단위 관측자료와 10,977격자의 격자분석자료를 구축하였다. 수문자료는 33개국의 수문관측소 2,242개의 월/연단위 유량관측자료와 10,977격자의 월/연단위 직접유출, 기저유출, 잠재증발산의 격자분석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강우와 기상자료는 기계 오작동, 자료 전송 오류 등으로 인한 결측치 및 이상치에 대해 자료품질분석을 통해 오자료에 대한 보정을 진행하였다. 해당자료는 MySQL를 활용하여 DB를 구축하였으며, GIS정보는 GeoServer를 활용하여 운영서버에 구축된 정보를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Web Browser로 표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추후 전지구 수자원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해외사업지역의 댐이나 보 등의 구조물 설계, 수자원산업의 해외 진출시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 및 시간단축을 해결할 수 있어 수자원 분야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truction of integrated DB for domestic water-cycle system and short-term prediction model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 및 단기예측모형 구축)

  • Seungyeon Lee;Sange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2-362
    • /
    • 2023
  • 한정된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로 매년 물 부족과 물 배분 의사결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50년간(1965~2014년) 수자원의 총량은 약 1.2배 증가한 반면 인구수 약 1.8배, 생·공·농업용수의 수요는 약 5배가 증가(국회입법조사처, 2018) 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강수량의 변화와 지역별 편차가 커져 지속가능한 물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는 관리부처가 분절되어 있는 물순환 계통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물순환 모니터링/평가/예측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수 물순환 계통 통합 DB를 정의 및 구축하였다. 도시의 관점에서 물순환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물 유입(수원~취수장)/전달(정수장~급수지역)/유출(하(폐)수처리장~방류구)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DB정의서를 마련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가뭄이 장기화가 되고 있는 전라남도중 물순환 계통이 비교적 단순한 네트워크로 형성되어 있는 함평군 도시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총 5년(2017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이고 일 단위 실계측자료 위주의 원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이상치 탐지, 제거, 대체의 과정을 거쳐 품질 보정하고 정제된 시계열 자료에 대한 특성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물순환 계통 내 주요 지점 간의 상관관계 및 지연시간을 통한 물흐름의 시계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데 활용되는 통계량과 유의미하지 않은 잔차의 자기상관성을 볼 때 물 유입-전달-유출의 단기 예측을 위한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의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여름철 발생하는 방류량의 첨두값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강우에 의한 불명수 발생으로 증가하는 방류량을 묘사할 수있어야 하므로 향후에는 물순환계통 외 해당 지역의 불명수(강우 효과)도 하수 방류량의 주요 입력 요인으로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Conversion of Wood Waste into Solid Biofuel Using Catalytic HTC Process (촉매 열수탄화(Hydrothermal carbonization)공정을 이용한 폐목재의 고형연료 제조 및 특성 연구)

  • Joo, Bokyoung;Yeon, Hyejin;Lee, Sangil;Ahn, Soojeung;Lee, Kyeongjae;Jang, Eunsuk;Won, JongChoul
    • New & Renewable Energy
    • /
    • v.10 no.2
    • /
    • pp.12-1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produce solid biofuel from sawdust using the HTC (Hydrothermal carbonization) process. The HTC process of feedstock involves the raw material coming into contact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ized water. The HTC process could produce gaseous, liquefied and solid products, but this study focused on solid product only as an alternative to coal. In this study, sawdust used for a feedstock and its moisture content was under 5%. Water was added with the feedstock to raise moisture content to 80% and also used catalysts. The HTC process was performed at temperature range from 200 to $270^{\circ}C$ and reaction time was 15 to 120 min. Rising temperature resulted in increasing the higher heating value (HHV) of HTC product. In case of adding catalyst, HHV of solid biofuel was higher and reaction occurred at lower temperature and pressure. Also, HTC solid product had been characterized and found to be hydrophobic, increased HHV (over 40%), and pelletized easily compared to raw material.

Construction of Aquatic Environmental Database Near Wolsong Nuclear Power Plant (월성 원전 주변 수생 환경 자료 구축)

  • Suh, Kyung-Suk;Min, Byung-Il;Yang, Byung-Mo;Kim, Jiyoon;Park, Kihyun;Kim, Sora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7 no.2
    • /
    • pp.235-243
    • /
    • 2019
  • Radioactive materials are released into the air and deposited on the surface soil after a nuclear accident. Radionuclides deposited in soil are transported by precipitation to nearby environments and contaminate the surface water system. Basic data on surface watershed and soil erosion models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behavior of radionuclides deposited on surface soil after a nuclear accident.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in aquatic environment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of biota in rivers and lakes of the Nakdong river area near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For these purposes, a digital map, and hydrological, water quality and biota data were gathered and a systematic database (DB) was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them. Constructed aquatic DB will be supplied and used in surface watershed and soil erosion models for investigation of long-term movement of radionuclides in adsorptive form in surface soil. Finally, basic data and established models will be utilized for general radiological impact assessment in aquatic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