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king function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3초

호흡재활치료 전후 $^{31}P$ 자기공명분석법을 이용한 골격근대사의 변화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Effect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Skeletal Muscle Metabolism by $^{31}P$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조원경;김동순;최강현;박영주;임태환;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40-1050
    • /
    • 1997
  •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치료에 널리 적용되고 호흡재활치료는 폐기능을 호전시키지는 못하지만 호흡곤란 등의 증상과 운동능력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운동능력 개선의 기전은 여러 각도에서 해석되고 있다. 저자들은 $^{31}P$ MRS를 이용하여 만성 폐질환 환자들을 호흡재활치료 전후 전박근의 대사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호흡재활치료 후 운동능력호전에 골격근 대사개선을 기여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총 9명의 만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남자 환지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8{\pm}11$세였으며, 이들의 기저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 8예 및 폐유육종증 1예였다. 호흡재활치료는 근육강화운동, 답차운동(treadmill walking), 자전거 운동(stationary bicycle riding) 및 상지 운동력측정계(arm ergometer)를 이용한 상지운동으로 구성했으며, 호흡재활치료 전후로 폐기능 검사, 운동부하 검사, 상하지의 지구력 측정 및 6분 보행거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31}P$ MRS검사를 치료 전후 전박근을 대상으로 안정시, 운동시 및 20분간의 회복시에 시행하여 세포내 산소성 인산화 능력을 반영하는 Pi/PCr의 비와 pHi(intracellular pH)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호흡재활치료 후 환자의 폐기능과 가스 교환의 호전은 없었으나, 운동지구력 및 보행능력은 현저한 호전을 보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동 운동량에서의 분당환기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1}P$ MRS를 이용하여 재활치료 전후의 골격근 대사를 비교해 본 결과, 치료 후 운동시 및 극심한 피로상태에서의 pHi는 유의하게 높았고 산소성 인산화 과정을 반영하는 지표인 Pi/PCr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안정시 및 회복기의 골격근 대사과정은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으로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 6주간의 호흡재활치료는 운동지구력 및 보행 호전시켰으며 이러한 운동능력 호전에는 골격근 대사의 개선으로 초래된 골격근 세포내의 산성화 지연으로 인한 환기량의 감소가 기여할 사료되었다.

  • PDF

비글견에서 Propofol/Remifentanil과 Ketamine/Remifentanil을 사용한 완전 정맥 내 마취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Propofol/Remifentanil and Ketamine/Remifentanil for TIVA in Beagle Dogs)

  • 최우식;장환수;박재순;윤성호;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79-485
    • /
    • 2011
  • 비글견에서 remifentanil/ketamine 점적 투여 병용마취법과 remifentanil/propofol 점적 투여 병용마취법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평가하였다. 14 마리의 비글견을 이용하였다. 실험견은 acepromazine (0.1 mg/kg, 피하)과 medetomidine (20 ${\mu}g$/kg, 정맥내)으로 전처치하고, Group P는 정맥 내 propofol 1 mg/kg, Group K는 정맥 내 ketamine 5 mg/kg으로 마취 유도 하고, 이 후 실험군별로 고정된 용량의 remifentanil (0.5 ${\mu}g$/kg/min)과 ketamine 0.1 mg/kg/min 또는 propofol 0.3 mg/kg/min을 3 시간 동안 투여하였다 (Group K와 Group P). 동맥혈압, 심박수, 호흡 수, 혈액가스분석과 마취회복기 동안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toe-web clamping 검사를 통해 마취 깊이를 평가하였다. 외과적 마취기는 두 군 모두에서 전 시간 동안 유지가 되었다. Group K의 수축기 동맥혈압, 평균 동맥혈압, 동맥산소 분압, 동맥 산소 포화도는 Group P에 비해 정상 범위 내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Group K의 이산화탄소 분압은 Group P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이완기 동맥혈압, 심박수, 호흡수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점적투여 중단시점부터 발관까지의 평균시간은 Group K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지만, 평균 sitting time은 Group P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평균 head-up time과 평균 walking time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Group K에서는 약간의 근강직, 머리 흔듬, 혀로 핥는 동작이 회복기에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Group K가 Group P보다 심폐 기능에서 더 좋았다. 즉, remifentanil/ketamine을 이용한 점적투여 병용마취법이 remifentanil/propofol을 이용한 점적투여 병용마취법 보다 3 시간의 마취 유지에서 보다 나은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요법과 도관 삽입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의 임상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Outcomes of a 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with the Concomitant Use of Transdermal Buprenorphine and 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허정욱;박만준;고영철;하동준;박준형;이우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11-417
    • /
    • 2019
  • 목적: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시행 후 일회 주사 내전근관 차단술(single injection adductor canal block, SACB), 지속적 내전근관 차단술(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CACB), 그리고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을 통한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KA 후 통증 조절을 시행한 12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SACB를 단독 시행한 I군(41명),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10 ㎍/h를 병합 사용한 II군(44명), CACB를 시행한 III군(40명)으로 분류하여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통증 조절 지표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사용하였으며, 술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째 침상 안정 상태에서의 VAS (VAS-Rest)와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중 VAS (VAS-CPM), 그리고 술 후 48시간 동안 정맥주사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를 위한 약물(부토판, 트리돌, 케토락)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기능 개선 지표로 술 후 48시간 동안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최대 자가 보행 거리, 그리고 총 재원 기간을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VAS-Rest는 술 후 12시간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24시간 및 48시간째와 VAS-CPM, PCA 총 사용량에서 II, III군이 I군보다 유의하게(p<0.05)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오심 및 구토 증상 횟수, 최대 슬관절 굴곡 범위와 자가 보행 거리, 총 재원 기간은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SACB 및 경피성 buprenorphine 병합 사용은 초기 통증 조절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카테터로 인한 문제가 없고, 사용의 편의성 및 신 기능에 대한 안전성이 있기 때문에 TKA 후 유용한 통증 조절 방법이 될 수 있다.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양서류 서식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by Type in Each Small-Scale Biotope in Seoul - Base on the Amphibian Habitats -)

  • 박하주;한봉호;김종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0-126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조성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대표 대상지의 입지특성, 서식처 구조 및 생물서식기능, 위협요인을 분석, 종합하고 유형별 생태적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과 관리항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화하였으며, 유형화를 위한 분류기준으로 입지, 수계, 규모로 구분하여 대표 대상지 8개소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입지는 배후산림 연결성이 낮거나, 단절되어 양서류 이동이 불리한 곳에 조성되었으며, 물 공급으로는 상시 유량 확보 및 일정한 수심 유지가 불안정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면적이 작으며, 양서류 서식에 불리한 인공형 서식구조, 토사 유입 가능성과 호안부의 훼손 등이 있었고 생물서식기능은 습지식물 부족과 귀화초본 분포, 위협요인으로는 주변으로 등산로 개설과 데크 등의 시설 인접으로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시, 개선방안 제시 내용으로 양서류 이동을 위한 배후산림 연결과 물공급이 가능한 곳에 입지하는데 인위적인 물공급 가능성 검토와 지속적인 인입 유도를 위한 수체계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서식처 구조는 가능한 규모를 크게 하거나, 소규모는 여러 개를 연계하여 자연형 수변구조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서류 은신처 제공을 위한 습지식물 추가 도입과 산책로 등의 시설은 이동루트 확보 이외의 지역에 설치하여 인위적인 교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조성 후, 관리방안은 양서류 서식을 위한 다양한 수심 유지와 토사 유입에 의한 사면 안정화, 호안부 훼손 보수, 귀화초본 및 개방수면 확보를 위한 고사 식물체, 퇴적물 제거 등의 관리로 인위적인 관리는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기 적용된 기법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생물서식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서울시를 비롯하여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려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시환경에 적합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무용요법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nce Therapy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Elderly)

  • 이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29-444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dance therapy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elderly.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experiment. The subjects consisted of elderly persons living in a facility located in Suweon and Bucheon. Fifty eight subjects, aged between 65 and 93 years who had normal cognition, sensory function, balance, and resting blood pressure. They underwent tests of balance, flexibility, muscle strength, depression, and anxiety as baseline data before dance therapy, and at 6th week and at the end of the 12nd week after following dance therapy. Twenty seven elderly person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participated with the dance therapy between April and July, 1998. The dance therapy was developed by the author with the help of a dance therapist and a physiatrist. This therapy was based on the Marian Chace's dance therapy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 music. The dance therapy consists of 50 minutes session, 3 times a week for 12 weeks. One session was consisted of warming-up, expression, catharsis, sharing, and closing stage. The intensity of the dance therapy was at the 40 %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Data were analysed with mea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unpaired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program. 1. The results relat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 1) The balance (standing on one leg, walking on the balancing bar),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knee extensor, knee flexor, ankle plantarflexor and dorsiflexor) of the experimental subject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mere than that of the control subjects. 2)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balance, flexibility, muscle strength of knee extensor, and knee flexor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12nd week after dance therapy. 3)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muscle strength of ankle dorsiflexor and plantarflexor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6th week and the 12nd week after dance therapy. 2. The results related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 1) Scores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for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12nd week after dance therapy. 3)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for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6th week and the 12nd week after dance therap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dance therapy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s, flexi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 and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elderly. Additional merits of the dance therapy would be inexpensiveness, easy accessibility, and increa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ance therapy is effective in the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 PDF

보행기 사용 시 보행기의 높이가 주관절 신전근 활성도와 에너지소모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lker Height on Muscle Activity in the Elbow Extensor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During Ambulation With Walkers)

  • 이영록;김택훈;노정석;신헌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42
    • /
    • 2006
  • The walker provides stability for walking for people whose lower extremities ar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height of a walker to conserve energy and to improve fun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walker height and gait velocity on triceps, latissimus dorsi muscle activation,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EEI) during ambulation with a walker. Fifteen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signed a walker with one of three heights (high, standard, lower height) and of two gait velocities (comfortable gait velocity or fast gait velocity). Electromyographic data were collected from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and EEI was determined from each condition.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ost hoc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VIC of triceps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MVIC of dominant triceps brachii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VIC of the latissimus dors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VIC of dominant latissimus dors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and in those who used the faster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E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E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higher and lower walkers compared with the standard walker. The EE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the fast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creased muscle activation in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was required when the walker height increased and that more energy was exp ended when the gait velocity increased. Therefore,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walker heigh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gait training and that healthy subjects conserve energy when ambulating with standard walkers in a comfortable gait velocity.

  • PDF

강북 대형공원 기본계획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Gangbuk Large Park)

  • 김도경;최원만;홍형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4
    • /
    • 2008
  • 드림랜드 부지는 산으로 둘러싸인 강북지 역의 유일한 평지화 된 놀이공원이었으나, 현재는 시설 노후화와 방치로 인해 지역 거점공원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었다. 부지 주변은 기존의 밀집주거와 새로 조성될 뉴타운 등이 혼재할 것이며, 특히 지역 여건상 강북지역의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대형공원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강북 대형공원 조성사업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강북 대형공원 조성사업 국제 현상공모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된 작품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계획안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지형 공원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지극히 일상적인 생활공간으로서 산책과 등산, 체력단련시설 등 제한적으로 이용되는 산지형 공원을 선조들이 산을 즐겼던 그 정취를 재현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사회성 강한 자립공원을 만들고자 하였다. 도시 속에 섬으로 존재하는 녹색 숲으로서의 공원이 아닌 자체적인 변화의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도시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원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다랑이 논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우리의 삶의 방식과 이념을 표현한 실체적 공간이었으며, 우리의 대표적인 향토적 경관이기도 하다. 이런 다랑이 논은 세 개의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대상지를 아우를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였으며, 산에서부터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정겨운 풍경은 도시속의 명소로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파킨슨병의 침구치료 동향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 이은;강기완;김락형;강세영;선승호;한창호;장인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23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possibility of acupuncture or moxibustion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by reviewing literature about its effectiveness. Methods : In this review, PubMed, SCOPUS, Science Direct and CINAHL of EBSCOhost were used to search medical journals, using keywords "Parkinson's disease and acupuncture" and "Parkinson's disease and moxibustion". The search rang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about Parkinson's disease combined with another disease and other treatments with acupuncture or moxibustion.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nRCT), case study, animal experiment, human experiment, review, survey, essay, letter, and protocol for review were excluded. Results : From 311 studies, 111 were selected during the title and the screening. Finally, 16 RCTs (15 for acupuncture research and one for moxibustion)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fter scanning and match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number of patients varied between 5 and 88. A total of 12 studies using electroacupuncture (EA) were classified into acupuncture studies. The body acupuncture studies numbered 4, scalp acupuncture 4, body and scarp acupuncture mixed studies 4, and bee venom, ear and abdomen acupuncture were each one study. In evaluation methods, total effective rate method was used in 9 studies,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was used in 8, and the Webster score in 2. In addition, the Berg balance scale (BBS), 30 m walking time, steps to walk 30 m, PD motor function score, and Motor Performance Series by Schoppe (MLS) method were used for evaluation. In 15 of the 16 studies, the verum acu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9 studies using total effective rate method, the effective rate was reported as 80.0-97.3% in verum acupuncture groups and 52.6-86.4% in controls. Conclusions : Acupuncture may be a plausible alternative method to care for the long term symptoms and treat movement impairment of Parkinson's disease. However, to confirm this result, high quality studies including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trials are warranted.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Labor Human Rights for Care Workers)

  • 전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4-242
    • /
    • 2013
  •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은 질병 및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 대한 요양비용을 사회구성원들이 함께 부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노인 및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를 실현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제도가 마련되었다. 요양보호사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시설에서 돌보거나 또는 노인이 거주하는 가정을 방문하여 보호활동을 벌이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에 의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무환경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저임금, 포괄임금의 남용, 장기간 근로, 인력배치기준 및 휴게시설 미비, 요양보호서비스 이외의 노무제공, 수급자에 의한 성희롱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의 중요성과 요양보호사들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들의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이 논문은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노동인권의 측면에서 요양보호사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 해본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과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 그리고 수급자의 인식 개선 등을 통해 바로잡는다면 더 나은 노동환경에서 요양보호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복합용도 초고층빌딩에 대한 개별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ivate Parking Information Algorithm)

  • 김영선;남백;이철기;오영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21
    • /
    • 2013
  • 대형 쇼핑몰과 멀티플랙스 등과 같은 복합용도의 초고층 건물은 일반 건축물에 비해 주차시설의 규모가 크고 주차장 내 외부를 연결하는 유출입구의 수가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은 주차장 내부에서의 차량 운행거리를 증가시켜 내부통행에 대한 혼잡이 발생하고, 주차 공간을 찾기 위해 운전자가 주차장을 배회함으로써 차량의 공회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주차 후 운전자의 보행동선을 증가시키는 등 운전자에게 주차로 인한 많은 어려움을 겪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방문 목적 및 운전자의 이동경로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의 주차장소를 지정해주는 개별 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2롯데월드 신축 부지를 사례 지역으로 선정하고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에 비해 개별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주차장 내 이동거리는 7.43~83.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CO_2$ 배출량의 경우 평균 47.7%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개별주차정보제공 알고리즘 적용에 따른 그 효율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어 적용효과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