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by Type in Each Small-Scale Biotope in Seoul - Base on the Amphibian Habitats -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양서류 서식지를 중심으로 -

  • Park, Ha-J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Jong-Yup (Urban Ecosystem Research Center)
  • 박하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종엽 (도시생태연구센터)
  • Received : 2024.02.26
  • Accepted : 2024.03.20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classification of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s created in Seoul to analyze and synthesize location characteristics, habitat structure, biological habitat functions, and threat factors of representative sites, as well as derive creation and management problem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aim wa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nd management items. Data collected through a field survey was used to categorize 39 locations, and 8 representative site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m into location, water system, and size a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ypifi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site was created in an area where amphibian movement was disadvantageous due to low or disconnected connectivity with the hinterland forest, and the water supply was unstable in securing a constant flow and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depth. The habitat structure has a small area, an artificial habitat structure that is unfavorable for amphibians, having the possibility of sediment inflow, and damage to the revetment area. The biological habitat function is a lack of wetland plants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grasses, and threa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hiking trails and decks in the surrounding area. Artificial disturbances occur adjacent to facilities. When creating habita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an artificial water supply and introduce a water system with a continuous flow in order to connect the hinterland forest for amphibian movement and locate it in a place where water supply is possible. The habitat structure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or several small-scale habitats should be connected to create a natural waterfront structure. In addition, additional wetland plants should be introduced to provide shelter for amphibians, and facilities such as walking paths should be installed in areas other than migration routes to prevent artificial disturbances. After construction, the management plan is to maintain various water depths for amphibians to inhabit and spawn, stabilize slopes due to sediment inflow, repair damage to revetments, and remove organic matter deposits to secure natural grasses and open water. Artificial management should be minimized.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function of biological habitats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s with previously applied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 spaces suitable for the urban environment can be created for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o create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 spaces, including Seoul Cit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management plans.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조성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대표 대상지의 입지특성, 서식처 구조 및 생물서식기능, 위협요인을 분석, 종합하고 유형별 생태적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과 관리항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화하였으며, 유형화를 위한 분류기준으로 입지, 수계, 규모로 구분하여 대표 대상지 8개소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입지는 배후산림 연결성이 낮거나, 단절되어 양서류 이동이 불리한 곳에 조성되었으며, 물 공급으로는 상시 유량 확보 및 일정한 수심 유지가 불안정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면적이 작으며, 양서류 서식에 불리한 인공형 서식구조, 토사 유입 가능성과 호안부의 훼손 등이 있었고 생물서식기능은 습지식물 부족과 귀화초본 분포, 위협요인으로는 주변으로 등산로 개설과 데크 등의 시설 인접으로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시, 개선방안 제시 내용으로 양서류 이동을 위한 배후산림 연결과 물공급이 가능한 곳에 입지하는데 인위적인 물공급 가능성 검토와 지속적인 인입 유도를 위한 수체계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서식처 구조는 가능한 규모를 크게 하거나, 소규모는 여러 개를 연계하여 자연형 수변구조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서류 은신처 제공을 위한 습지식물 추가 도입과 산책로 등의 시설은 이동루트 확보 이외의 지역에 설치하여 인위적인 교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조성 후, 관리방안은 양서류 서식을 위한 다양한 수심 유지와 토사 유입에 의한 사면 안정화, 호안부 훼손 보수, 귀화초본 및 개방수면 확보를 위한 고사 식물체, 퇴적물 제거 등의 관리로 인위적인 관리는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기 적용된 기법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생물서식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서울시를 비롯하여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려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시환경에 적합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곤, 조동길(1998)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 81.
  2. 박율진(2008) 대도시의 소규모 생물서식공간(Biotop)조성과 관리 방안.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지 4(3): 17-18.
  3. 서울대학교(1997) 도시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 조성기술의 개발. 환경부. p. 118.
  4. 서울특별시 남산공원사업소(2007) 남산공원 용산가족공원 내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지 생태계 모니터링. 서울특별시. p. 3.
  5. 서울특별시(2003) 둔촌동 생태계 보전지역 생태 변화관찰 및 관리대책. 서울특별시. p. 192.
  6. 서울특별시(2004) 밤섬 생태계 보전지역의 생태변화관찰 및 관리계획. 서울특별시. p. 142.
  7. 이경재, 권전오, 이수동(2003) 서울시 주요 습지 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44-45.
  8. 이연진(2012) 양평 한강생태학습장 기능증진을 위한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6.
  9. 안창우(2007) 습지조성과 복원: 성공을 위한 생태모니터링의 필요성. 제3회 하천환경 국제워크샵. p. 47.
  10. 장재훈(2013) 서울 도시습지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한 복원 및 관리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17.
  11. 전승훈(2008)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159-172.
  12. 최진우(2009) 한국 수도권 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비오톱유형 분류 및 평가 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06.
  13. 한국녹색문화재단(2006) 도시 내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모델개발 연구. 한국녹색문화재단. p. 151.
  14. 허명진(2014) 도시 산림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
  15. Sugiyama K.(1992) 自然環境復元の技術. 進土五十八.
  16. Yokohama(2003) Yokohama 陸域の生物相 生態系調査報告書 : 食物連鎖 模式圖. 公害政策局.
  17. Grayson, J. E., M. G. Chapman and A. J. Underwood(1999) The assessmenl at restoration of habitat in urban wetland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3(4): 229.
  18. Lyle, J. T.(1985) Design for human ecosystems. Landscape, Land Use, and Natural Resources. p. 214.
  19. Adams, L. W.(1994) Urban Wildlife Habitats A Landscape Perspective. Wildlife Habitats Volume3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97-119.
  20. Emery, M. J.(1986) Promoting Nature in Cities and Towns: A Practical Guide. Ecological Parks Trust. p.117, 214.
  21. Mitsch, W. J. and J. G. Gosselink(1993) Wetlands(2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2. 서울특별시 https://yesan.seoul.go.kr/wk/wkSelect.do?itemId=87422&tr_code=s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