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Q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통합수질지수를 이용한 지류지천 수질평가 (Assessment of tributary water quality using integrated Water Quality Index)

  • 갈병석;박재범;김상훈;임태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1-3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에서의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지수를 산정하고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상태를 검토하였다. 수질지수는 환경부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실시간수질지수(RWQI) 방법인 CCME-WQI을 사용하였으며 수질항목은 pH, DO, EC, 수온, TOC, T-N, T-P에 대해 7개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였다. 평가기간은 최근 3년간(2013년~2015년)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기간 내 측정된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였다. 평가결과, 전 기간 평가 결과는 지수와 생활환경기준이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월별 평가는 지수와 BOD, T-P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단일 수질항목만의 평가보다 복합적인 평가가 보다 필요할 것으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수질지수를 활용한 도시 하천의 수질 평가 적합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Urban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Water Quality Index)

  • 이상웅;조부건;김찬희;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0-17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환경변화로 인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변화로 하천 오염원의 다양화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BOD, T-P 항목으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으나, 중·소하천에서는 다양한 오염원의 영향이 나타나 BOD, T-P 항목의 관리는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수질오염 영향인자들을 고려한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평가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한강 유역의 경기도 지역은 인구밀도 및 불투수면적이 높고 중소하천의 분포가 넓은 유역으로 다항목 수질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점수 및 등급으로 산정하여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평가 목적 및 계산 방법, 평가되는 수질 항목, 등급 체계의 차이로 다양한 종류의 수질지수가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통계분석과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하천 생활환경기준과 비교를 통해 수질지수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대해 연구 되고 있다. 국외에서는 주요 오염원 및 영향인자를 식별하기 위해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하천의 수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는 유역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여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지수를 활용한 맞춤형 수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의 효율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유역 특성을 반영한 수질지수를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도시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분석으로 도시하천의 수질 인자별 관계성을 도출하여 유역의 도시 현황별 영향인자를 파악하고자 한다. CCME WQI, NSFWQI 등 기존 국내·외에서 개발된 수질지수를 도시하천의 주요 영향인자로 산정하여 도시하천의 종합적인 수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정된 수질지수의 점수 및 등급과 하천 생활환경기준의 적용성을 검증하여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관리 및 대응의 의사결정 도구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non of the Surface Water in Southwest Area of Vietnam

  • Thai, Thanh Luom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6호
    • /
    • pp.445-452
    • /
    • 2009
  • This study surveys the surface water environment in Southwest sea areas of Vietnam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environment. It collects and analyzes experimental results of programs, scientific subjects, and international projects relevant to ecological areas and coastlines of Kien Giang province. The methods analyzed and discussed by specialists are evaluated according to pollution coefficients esta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ampling methods, and case study analyses. Comparison between the scale of pollution levels and the surface water quality in experimental areas of Long Xuyen Quadrangle shows a light-moderate pollution level. In Ca Mau Peninsula, the surface water source is only slightly polluted. Sea areas and islands are also light-moderately polluted. Computing results from water quality indices (WQI) show the level of pollution in experimental sites. Activities such as constructing infrastructures for tourism, exploiting minerals, and increasing population accelerate environmental pollution by deteriorating inherently sensitive ecosystems like corals, sea grass, mangrove swamps, and Melaleuca forests. Surveying and evalu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surface water are fundamental solution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Southwest sea areas of Vietnam.

진도 해역 오수해양배출관로 방류형태에 따른 수질확산 검토

  • 오유진;김강민;이인철;최남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44
    • /
    • 2019
  • 금회 연구대상지인 진도 해역은 WQI지수 II, III등급 해역으로, 비교적 양호한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대명리조트는 이곳에 대규모 휴양시설을 계획 중에 있으며, 이에 따른 오수의 해양방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수의 해양방류로 인하여 대상해역의 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최적의 배수시설을 건설하여 수질악화를 방지하고자 한다. 배수시설에 따른 수질영향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Delft3D-WAQ 모듈을 이용하여 당 해역의 수질특성을 재현 및 예측하였다. 또한, 상기 모델에 의한 모의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수직 와확산계수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배수시설의 방류구 이격 거리 및 수층별 방류에 따른 수질변화를 검토한 결과, 해안에서의 이격거리가 멀고 중층에 방류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희석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질인자의 합성에 의한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River Recreation Index Model by Synthesi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 서일원;최수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395-1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하천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종합 수질 정보를 제공하는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은 분변성 대장균 모델과 수질지수 모델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분변성 대장균 모델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변성 대장균 등급을 예측하였고, 수질지수 모델에서는 DO, pH, 탁도, 클로로필 a를 퍼지 합성방법을 통해 종합화하여 수질 지수를 산정하였다. 최종 단계에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과 수질 지수를 통합하여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상류 지점에 적용한 결과,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는 개별 수질인자들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와 클로로필 a의 상관계수가 -0.85로 나타나 클로로필 a가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모델에서 산정한 종합수질지수는 기존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인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등급에 따라 현재의 수질 상태가 어떠한 상태에 속하는지를 계산하고 수질 기준의 불확실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이 낮을 경우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가 분변성 대장균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낮은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수질지수 및 오염부하자료를 이용한 공릉천 유입지천과 본류의 오염특성 분석 (Analysis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in the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of Gongneung Stream Using Water Quality Index and Pollution Load Data)

  • 유재현;이한샘;임병란;강주형;안태웅;신현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36
    • /
    • 2020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major pollution-zones of the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of Gongneung stream and investigated their pollution sources based on water quality, flowrate and pollution-load data of the stream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rural complex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ributaries on the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mainstream. The water quality and flowrate data were collected for 10 months (2018 ~ 2019) at 3 points of mainstream and ten tributaries. Water quality index (WQI), load duration curve (LDC), discharge load density (DLD)and delivery ratios for each tributary were obtained so as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some of the information visualized on GIS. The main pollution-zone in the Gongneung stream was in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and the tributaries that may affect the pollution of the area were JS, JY, SL and SM. JS and SL had low WQI levels (34.7/37.5) and DLD (kg/d/㎢) of BOD and T-P were relatively high in JY (99.2/6.00) and SL (60.0/2.07). BOD and T-P delivery ratios in JS were high (0.94/0.83), suggesting that J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ater quality of the main pollution-zone in the Gongneung stream. Meanwhile, SM having a high T-P delivery ratio (0.97) was found to be more affected by the non-point source due to the higher LDC excess rate (%) in the low flow compared to high flow.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Gongneung stre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examples for identifying the main pollution-zone and tributaries of stream and their pollution sources.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의 해양 환경 특성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ound the Test Phase of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Yellow Sea)

  • 서진성;맹준호;임은표;진승주;김현민;김태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5호
    • /
    • pp.457-470
    • /
    • 2019
  •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해역을 중심으로 구축된 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여 해양물리, 해양수질, 해저퇴적물의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현황을 제시하였다. 파고와 부유사 농도, 유속과 부유사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해역 토사의 부유 특성을 고찰하였다. 춘계 시(1 개월) 파고와 부유사 농도 사이에는 상관계수 0.61~0.69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1 m 이상의 높은 파고가 발생하면 75 mg/L 이상의 부유사 농도가 관측되었다. 수질평가지수 산정 시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수질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1등급(매우 좋음)을 보이고 있었다. 클로로필-a의 변동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수질평가지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 인자로 파악되었다. 해저퇴적물 내 중금속 현황은 모든 항목의 평균값이 해양환경 주의기준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강열감량과 입도분포는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서화천유역 장기 수질모니터링을 통한 수질평가 연구 (Water quality evaluation research through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in Seohwa Stream Watershed)

  • 갈병석;박재범;문현생;조소현;주용은;민경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6-267
    • /
    • 2022
  • 본 연구는 대청호 상류에 있는 서화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난 5년간 측정된 장기간의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 현황 및 추세를 분석하였다. 서화천 유역은 대청호의 녹조 발생 감소 및 수질 개선을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수원 수질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수질 평가는 수질 관리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며 좋은물 등급과 통합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사용하였다. 추세 평가는 Mann-Kendall test와 Sen's Slope를 이용하여 수질 개선사업을 통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는 수질지수를 통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유역과 시기를 확인하였으며 추세분석을 통해 개선사업으로 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수질 현황 및 개선 효과를 검토할 수 있어 향후 비슷한 유형의 유역에서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동작특징에 대한 퍼지추론 (Fuzzy Decision based on Motion Characteristics)

  • 박세진;김경수;최형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17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유해 물질에 인간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어류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수질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자동수질감시 시스템(Water Quality Inspection System, WQIS)은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어류들의 영역을 분할한다음, 몇개의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얻어진 각각의 어류들의 위치를 이용하여 어류의 움직임을 묘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류 행동 패턴을 반영하는 다섯 가지 유형의 특징을 정의하였다. 부유성(floatness), 회피성(fledness), 군집성(clusterness), 확산성(diffusiveness), 이동성(mobility), 이와같은 어류의 행동 패턴을 반영하는 특징들을 이용하여 퍼지 추론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현재 유해물질이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되는 WQIS은 호수 관리, 폐수 관리, 하천 관리 등과 같은 분야에 적용되어 오염물질의 유입과 같은 환경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