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GA lecti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Immuno Activation of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on IL-6, IL-12 Expression

  • Joo, Seong-Soo;Chang, Jae-Kwon;Park, Jeong-Hwan;Kang, Hee-Chul;Lee, Do-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954-963
    • /
    • 2002
  •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is a compound, which is combined Wheat Germ Agglutinin (WGA) Lectin with praecoxin A and also known to have an anti-tumor activity. In our lab, in order to investigate its immune reaction other than the anti-tumor activity ever known, we examined cytokines such as IL-6 and IL-12 through their mRNA expressions, which are generally secreted by macrophage both in vivo and in vitro. To analyze, we used RT-PCR for total RNAs of macrophages. As a result, we obtained that both in vitro and in vivo, lectin-conjugated praecoxin A showed an interesting increase on IL-6 and IL-12 even though it may be little hard to say the conjugated form is absolutely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ectin or praecoxin A alone for immune response activities. Tho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jugated form may give an additional opportunity in a future therapeutic use over its immuno activation properties.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 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 (LECTIN BINDING PATTERNS IN LARYNGEAL KERATOSIS WITH ATYPIA)

  • 김광문;김기령;윤주헌;장미숙;조정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6-16
    • /
    • 1991
  • 렉틴(Lectins)은 세포막의 당단백질의 과당류 말단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비면역성의 당단백질 혹은 단백질을 말하는데 정상세포와 변형된 세포에서 렉틴반응의 차이가 남으로써 요즘에는 렉틴을 병리학적 진단에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Loss of contact inhibition”은 세포 악성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세포의 악성화는 세포막의 구조의 변화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1989년 후두암에서 PNA의 반응이 양성 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저자들은 7가지의 렉틴을 이용하여 후두암전구증의 하나인 후두각화증에서 이형성(Atypia)의 존재유무에 따른 렉틴 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형성이 없는 단순 후두각화증에서는 Con A와 WGA만이 기저세포에 반응이 있었으며, 후두각화증의 가장 중요한 부위인 극세포층에서는 WGA, RCA-I, PNA, SBA, UEA-I, DBA가 세포질에는 반응이 없이 세포간교에만 염색이 되는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Con A는 반대로 극세포층의 세포질에 반응을 하였으나 세포간교에는 반응이 없었다. 2. 이형성을 동반한 후두각화증에서, 기저세포에서는 반응의 차이가 없었고 극세포층에서는 UEA-I, RCA-I. WGA, PNA, SBA는 세포간교에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질에서 양성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DBA, Con-A에서는 반응의 차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 따라서 후두각화증의 극세포층 세포막에서 UEA-I, RCA-I, WGA, PNA, SBA 반응의 소실은 후두암으로의 진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형성의 존재를 암시한다하겠다.

  • PDF

Application of FITC-conjugated lectin probes for the recognition and differentiation of some Korean coastal red tide microalgae

  • Cho Eun Seob;Seo Gwi Moon;Lee Sam Geun;Kim Hak Gyoon;Lee Sang Jun;Rhodes Lesley L.;Hong Yong-K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250-254
    • /
    • 1998
  • Harmful micro algae isolated from Korean coastal waters, were tested with FITC-conjugated lectins and observed by epifluorescent microscopy to distinguish each other. Strain-specific sugar composition at the cell surface was suggested by the affinity of lectins to different microalgae. The micro algae Cochlodinium polykrikoides (CP-1) and Gymnodinium $A_3\;(GA_{3-1}\;1)$, are morphologically similar, but exhibited different binding activity with the lectins ECA, HPA and WGA. In Peridiniales, the micro alga Alexandrium tamarense (AT) bound HPA and WGA, but Scrippsiella trochoidea (ST-1) did not bind those lectins. Three species of Prorocentrum also exhibited different binding specificity with HPA, PHA and SBA. A non­toxic Korean isolate of Heterosigma akashiwo (HA-2) bound ConA, PEA and U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ctins are useful in discriminating 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as well as different species or strains within the same genus.

  • PDF

Discrimination of three highly toxic Alexandrium tamarense(Dinophyceae) isolates using FITC-conjugated lectin probesLectin probe

  • Jo Eun Seop;Jo Yong Cheol;Kim Tae Jin;Kim Hak Gyu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81-381
    • /
    • 2000
  • Lectin binding assay was conducted on 3 A. tamarense isolates (AT-A, AT-2 and AT-6). Fatty acid composition of all 3 isolates was analyzed, and total carotenoid content and $\beta$-carotene were also determined. AT-A and AT-2 treated with different lectins in this study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whereas potentially toxic AT-6 did not bind DBA lectin, regardless of different growth phase, but conjugated ConA, PNA, RCA, SBA, UEA and WGA. It is possible that DBA is a desirable method for rapid and easy discrimination of highly toxic A. tamarense. AT-A, AT-2 and AT-6 comprised saturated fatty acids (49.0-61.9%), monounsaturated fatty acids (8.0-20.5%)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23.2-30.5%). In particular, 22:6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AT-6 had a high abundance, compared with AT-A and AT-2. However, carotenoid content and $\beta$-carotene were not contributed to discriminate each isolate. Due to variability in biochemical composition at different isolates, possibly DBA and 22:6 (n-3) polyunsaturate fatty acid provide a good information for discrimination of AT-6.

  • PDF

Mouse 피부조직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형태학적변화, 면역반응에서의 Protein 및 Lectin변화양상 (Morphological, Protein and pectin alteration following Treatment with Surfactant in Epidermis of Mouse)

  • 최정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8-151
    • /
    • 1997
  •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allergy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피의 구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또한 각 항원항체반응에서 단백질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SDS-PAGE법에 의한 단백질 band의 분석 그리고 피부내에 존재하는 복합당질의 당잔기를 알기 위해 Lectin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면활성제의 1일 처리군에서 혈관의 확장이 나타났고 3일 처리군에서 핵이 phknotic되어 세포질의 eosinophlic을 일으켰으며 6일 처리군에서 과각질화, 염증세포의 증가, 표피내로 림프구의 침윤 증가가 관찰되었고 9일 처리군에서 과각질층이 serum crust가 되어 탈락되고 다시 부분적으로 두터워진 Acathosis를 합성한다. 반면에 진피층은 세포내 액포화와 세포사이 공간이 확장되었다. 12일 처리군에서는 표피직하부의 진피층에 혈관이 확장되어 나타나고 표피층은 7층으로 두터워져 생성되며 진피전층에 염증세포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관찰하였다. 2. 계면활성제의 처리군에서 degranulated type histamine, serotonin, hiparin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분비과립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영동상에서 나타난 단백질 band의 급격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3. 피부내 복합당질의 변화는 LCA, PNA, SBA, WGA에서 모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Con-A에서는 음성 반응을 보였다. PNA와 SBA에서는 계면활성제 처리군에 비하여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Rat Olfactory Mucosa following Inhalation of Xylene)

  • 문용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81-1091
    • /
    • 2018
  •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의 구조와 복합당질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300 ppm의 자일렌을 하루에 5시간씩 5일간 흡입시키고 30일까지 회복시켰다. 자일렌 흡입에 대한 후각점막의 형태적 변화를 비교하였고, PSA, UEA I, PHA-L, GSL I B4,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의 10종류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복합당질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자일렌 흡입 후 20일까지 후각상피는 상피세포의 수와 상피의 높이가 감소되는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대조군에서 후각상피의 후각신경세포는 PSA, UEA I, PNA, SBA 및 sWGA에서, 지지세포는 PSA, PHA-L,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에서, 그리고 후각샘은 10종류의 모든 렉틴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후각신경세포는 PSA, PNA 및 SBA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고, 지지세포는 PSA, PNA, SBA 및 GSL II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으며, 후각샘은 PSA, UEA I, GSL I 및 sWGA에서 그 반응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일렌에 노출된 후각점막은 구조와 복합당질양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후각점막의 복합당질 당잔기가 자일렌 흡입 후에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ectin-binding properties of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 Kim, Duk-Kyung;Seo, Sam-Youl;Lee, Eun-Young;Lee, Seul-Ki;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69-70
    • /
    • 2001
  • Lectins have great potential as to determine the alter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cell surface carbohydrates during cellular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Her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cell surface carbohydrates on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PGCs) during the migration and gonadal stages using a variety of lectins. A total of six FITC-labelled lectins from several specificity classes were used: ConA (glucose/mannose), WGA (N-acetylglucosamine), STA (N-acetylglucosamine), DBA (N-acetylgalactosamine/galactose), UEA-I (fucose) and PHA-E (oilgosaccharide). As a results, PGC-specific binding was observed in STA. PGCs of migration stage (2.5- and 5.5-day embyos) were STA-positive whereas PGCs of 10-day embryonic gonad were not. The results suggest that N-acetylglucosamine residuse are present specifically in migrating chicken PGCs and changes during development.

  • PDF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 및 분포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the Intestine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82-788
    • /
    • 2008
  • 경골어류 4종(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관의 복합당질 성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장을 네 부위로 나누워 아홉 종류의 biotinylated lectin들(DBA, SBA, PNA, BSL- I , RCA- I , sWGA, UEA- I 및 Con A)로 반응시켰다. 조피볼락을 제외하면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용치놀래기 장 상피는 모든 부위에서 D-glucose/mannose 잔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조피볼락,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장 모든 부위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beta}$-N-acetyl-D-gal-actosamine가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조피볼락의 근위장, 중간장 및 원위장에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및 ${\alpha}$-D-galactose도 함유되어 있었으나 직장에는 이들 당 잔기들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송곳니베도라치에는 ${\beta}$-N- acetyl-D-galactosamine 외에 ${\beta}$-N-acetyl-D-glucosamin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으며, 졸복에서는 Galactose-${\beta}$-1,3-N-acetyl-D-galactosamine, D-galactose 및 D-glucose/mannose도 발견되었다.

HeLa 세포에서 원형질 막의 glycoconjugate에 대한 수종 돌연변이원의 전처리 효과 (The Effect of Pretreatment with Various Mutagens on Glycoconjugates of Plasma Membrane in HeLa Cells)

  • Lee, Jong-Hwa;Oh, Kyu-Seon;Lee, Dong-Wook;Shin, Eun-Joo;Um, Kyung-Il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6-122
    • /
    • 1998
  • 본 연구는 돌연변이원인 자외선과 ethyl methanesulfonate(EMS) 그리고 bleomycin(BLM)을 전처리한 HeLa 세포에서 세포막에 존재하는 glycoconiugates에 미치는 이들 돌연변이원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세포생존 실험법과 Lectin cytochemistry법으로 조사하였다. 1 mM EMS를 전처리한 후 10 mM EMS를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은 10 mM EMS를 단독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 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10 mM EMS 단독처리군 보다 1 mM EMS를 전처 리 한 후 10 mM EMS를 처리한 군에서 Wheat germ agglutinin (WGA)은 더욱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 (SWGA)는 10 mM EMS 단독처리군과 1 mM EMS를 전처리한 후 10mM EMS를 처리한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eLa세포에서 EMS에 대한 획득된 저항성은 다내약제성 또는 적응반응과 관련되는 원형질막의 sialic acid를 포함한 glycoconiugates와 관계 될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