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P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4초

하천-지하수 흐름 교환을 고려한 청계천 유역의 갈수량 모의 (Modeling Low Flows Considering Interaction between River and Groundwater in Cheonggyecheon Watershed)

  • 김현준;노성진;장철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WEP 모형을 도시하천인 청계천 유역에 적용하여 하천 유출을 모의하였다. 하천-지하수 흐름 교환을 고려하여 건천화된 하천 유역의 갈수량을 모의하기 위해 하천 및 지하투수층의 매개변수 자료를 실측 자료로 구축하거나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보간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청계천 유역 상류 부관은 관측값과 비슷한 모의 양상을 보였으나 하류 부근은 모의 결과와 관측값이 상이하였는데, 이는 상류 부근은 도시화가 적게 진행된 반면, 하류 부근은 대부분 도시화되어 지하철, 합류식 하수관 등 하천-지하수의 흐름 교환을 차단하는 인공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도시하천 갈수량의 보다 정확한 모의를 위해서는 도시지역 인공적인 지하수 차단 요인에 대한 세밀한 모형화와 자료 구축이 요구된다.

  • PDF

도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우수저류침투시설의 적용 (Application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for Sound of Water Cycle in Urban Area)

  • 김영민;김이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5-3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왜곡이 심화되고 있는 도시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택지개발과 같은 도시화로 인한 영향을 검토하고, 개발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정 우수저류침투시설을 계획..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시화 전후의 물순환의 변동특성은 WEP(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es)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택지 개발 지구내 우수저류침투시설은 독일 베를린공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공동주택 빗물관리 최적화 모형(가제)'을 활용하여 모의하였다. 대상 하천유역은 의왕시 청계동 및 포일동 일원에 도입예정인 의왕청계지구 택지개발지구를 포함한 안양천 상류의 대한교 상류유역이다. 단지 개발 전후 토지이용특성이 대부분 밭에서 중고층 주택지역으로 변경됨에 따라 불투수면적 비율이 10.5%에서 15.7%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침투량, 증발산량, 지하수 유출량의 감소, 지표면 유출 및 하천으로의 유출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로 인한 물순환 체계의 건전화를 위해서 우수저류침투시설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및 상수도 노선, 누수량을 고려한 청계천 유역 물순환 해석 (Hydrologic Cycle Analysis of Cheonggye-cheon Watershed Considering Subway, Groundwater Pumping and Leakage Effects)

  • 노성진;김현준;장철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4-1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및 상수도 누수량 등 도시유역에서 물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공적 요소들을 분포형 수문모형에 반영하여 물순환을 모의하였다. 분포형 수문모형으로는 일본토목연구소에서 개발된 WEP 모형을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구축시 지하철 노선을 따라서 제1투수층, 제1난투수층, 제2투수층의 투수계수를 낮게 설정하여 지하철 노선의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지하철역 및 구별 지하수 양수량, 상수도 누수량을 모형의 입력자료로 구축하였다. 모의결과를 서울시 지하수관측공의 실측 자료와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역 스케일에서의 지하수위 분포양상을 모의할 수 있었다. 지하철 노선, 지하수 양수량, 상수도 누수량 등을 고려, 미고려시를 별도로 모의하여 각각 요소가 물순환에 미치는 개별적 종합적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 PDF

무선랜에서의 캐시를 이용한 효율적인 핸드오프 기법 및 성능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effective handoff technique using cache on IEEE 820.11 wireless LAN and performance analysis.)

  • 이남훈;이구연;이용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77-80
    • /
    • 2003
  • IEEE 802.11 무선랜에서 보안 문제는 무선 구간의 암호화와 인증 문제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랜에서 핸드오프 인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연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WEP 키를 저장한 수 있는 캐시를 AP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핸드오프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각 AP에 캐시를 사용하여 초기 인증시 생성된 WEP 키를 저장하여 재사용함으로써 핸드오프 처리 지연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최근 활성화 되고 있는 무선 인터넷에 활용하면 향 후 폭발적으로 늘어날 무선 단말기의 핸드오프시 지연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WPA TKIP 알고리즘의 소프트웨어 구현와 하드웨어 구현의 액세스포인트 성능 비교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Software Implementation and Hardware Implementation of WPA TKIP Algorithm in Access Points)

  • 오경희;강유성;정병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941-1944
    • /
    • 2003
  • IEEE 802.11 표준에 포함되어 있는 WEP 방식의 무선랜 보안이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후, WEP을 대치할 새로운 표준이 802.11i 워킹그룹에 의하여 작성되고 있으며, Wi-Fi 는 중간단계로서 802.11i의 일부만을 구현하는 WPA 규격을 만들었다. WPA 규격 중 TKIP 알고리즘을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액세스포인트와 펌웨어에 구현한 액세스포인트를 개발하여, 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무선 LAN 환경에서 단말 이동시 전송되는 AP간 WEP 키 전송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EP Key transmission between APs, during STA Movement in Wireless Environment)

  • 송일규;홍충선;이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2호
    • /
    • pp.219-228
    • /
    • 2004
  • 무선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옥내 또는 옥외 환경에서 무선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허브(Hub)에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PC, PDA 등 클라이언트까지 유선 대신 전파나 빛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IEEE 802.11 WG(Working Group) 중에는 AP(Access Point)간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TGf(Task Group F)가 있다. 이 그룹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AP 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기 위한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동일 서브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AP간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TA(Station)들이 이동할 때 재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AP간의 Security Context 정보나 Layer 2 forwarding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STA간의 seamless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AP간 메시지 전달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성이 요구되는 iapp-mo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인증된 경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WEP키 등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막고, 무선구간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개키를 이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C4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을 위한 고속 연산 구조의 FPGA 구현 및 성능 분석 (FPGA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igh Speed Architecture for RC4 Stream Cipher Algorithm)

  • 최병윤;이종형;조현숙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23-13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RC4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고속 연산 구조를 제안하고, FPGA 구현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존 방식이 긴 초기화 동작이 필요하거나, S-배열 초기화 대기 시간을 제거하기 위해 S-배열을 2개 혹은 3개를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데 비해, 제안한 RC4 스트림 암호 연산 구조는 256-비트 valid-비트 엔트리 방식을 사용하여, S-배열 초기화 동작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RC4 알고리즘을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모듈라 연산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40 비트와 128 비트 키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RC4 스트림 암호 연산 구조를 Xilinx XCV1000E-6H240C FPGA로 구현하였다. 설계된 RC4 프로세서는 40MHz에서 106Mbps의 암호 비트 생성율의 성능을 갖고 있으며 WEP 프로세서와 RC4 키 검색 엔진에 적용 가능하다.

무선 LAN 환경에서 AP운용의 보안 취약성 조사 (천안시 산업단지 지역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Security Vulnerability of AP operation in the WLAN (in center around industrial area in Cheonan city))

  • 홍진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46-115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무선 랜 보안 서비스의 특성과 취약성 도구를 살펴보았으며, 천안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무선 랜 AP 운용현황을 조사하고 보안 취약성 상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천안산업단지에서 회사나 공장별로 사용되고 있는 무선 랜 AP 가운데 50%는 WEP 보안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취약한 상태에서 운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안상 취약하다. 따라서 연구 결과로부터 중소기업의 경우 정보시스템 관리자에 대한 보안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PDF

WEP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토양수분 모의 (Simulation of Soil Moisture in Gyeongan-cheon Watershed Using WEP Model)

  • 노성진;김현준;김철겸;장철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20-725
    • /
    • 2006
  • 토양수분은 식물의 생장 및 가용수자원 산정 등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토양층 상부의 수 m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 토양수분과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증발, 침투, 지하수 재충전, 토양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강우 등으로 인한 지면과 지표하에서의 순간적인 포화공간의 형성 및 유출의 생성 등을 포함하는 과정과 증발산 등은 모두 비포화대(vadose zone) 혹은 토양층에서의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이가영 등(2005)).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격자단위로 세분화하여 매개변수를 부여하고, 증발산, 침투,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하도 흐름 등 여러 가지 수문요소를 해석하는 종합적인 수문모형이다. 지표면에 내린 강우가 증발, 침투, 유출될 지는 토양수분의 함량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따라서 토양수분에 대한 적절한 모의가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인 WEP 모형을 경안천 유역(유역면적: $575km^2$, 유로연장: 49.3㎞)에 적용하여 토양수분의 시공간분포를 모의하였다. 지점별 토양수분 모의결과, 토양 매개변수의 최대, 최소값 내에서 적절히 모의됨을 확인하였으나, 관측값이 없어 실질적으로 타당한지 여부는 검증하지 못하였다. 토양수분비율, 연간 증발산량, 지표면 유출량 공간분포를 비교한 결과, 토양수분비율이 연간 증발산량 모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격자에서는 토양수분이 지나치게 높게 모의되었는데, 지하수위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축된 자료가 부족한 지하대수층에 대한 정보부족이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M1), 무역적자의

  • PDF

파프리카 급여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on Serum Lipid Profile and $\alpha$-Tocopherol Concentration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 박재희;노상규;김창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1-317
    • /
    • 2010
  • 본 연구는 추출물 형태에 따른 파프리카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혈청 지질과 $\alpha$-tocoph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25마리를 대조군(NC), 고콜레스테롤군(HC), 고콜레스테롤+동결건조 파프리카 분말 섭취군(HC-FD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물 추출물 섭취군(HC-WEP), 고콜레스테롤+파프리카 에탄올 추출물 섭취군(HC-EEP)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6주 후 HC군과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체중 증가는 각각 85.2%와 65.5~68.88%로 HC군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내장지방 무게는 HC군보다 파프리카 급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파프리카 급여군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과 atherogenic index 역시 HC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파프리카 급여군들 중에서는 HC-EEP 군이 혈청지질농도 감소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alpha$-tocopherol 농도는 HC-EEP에서 $30.5{\pm}0.6\;{\mu}mol/{\ell}$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HC-WEP($30.0{\pm}0.8\;{\mu}mol/{\ell}$)>HC-FDP($29.1{\pm}0.5\;{\mu}mol/{\ell}$)>HC($27.7{\pm}0.3\;{\mu}mol/{\ell}$)이었다. 이는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혈청 $\alpha$-tocopherol이 소모되는 것을 파프리카 급여로 절약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파프리카는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를 보였고, $\alpha$-tocopherol 절약 작용을 통해 체내 항산화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