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TEMPERATE FOREST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5초

염분농도에 따른 맹그로브 Sonneratia caseolaris 발아 특성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onneratia caseolaris)

  • 곽상은;이보라;박은하;;임은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3호
    • /
    • pp.319-326
    • /
    • 2024
  • 본 연구는 맹그로브 수종인 Sonneratia caseolaris (L.) Engl. 종자 발아에 영향을 주는 온도와 염도 조건을 통해 종자 발아에 적합한 온도와 염도의 범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종자는 베트남 남딘성(Nam Dinh, Vietnam)에서 채집하였다. 종자는 온도 조건별 처리(19℃, 24℃, 30℃, 38℃)와 염도 조건별 처리(0‰, 10‰, 20‰, 30‰, 35‰, 40‰)로 발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아 특성 및 유근 생장을 분석한 결과, 30℃ 조건에서 발아율이 88%, 유근 생장이 25.24 mm로 다른 온도 조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아율, 평균발아일수, 발아균일지수를 보였다(P<0.05). 염도 10‰ 처리구에서 발아율(88%)과 유근생장(39 mm)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P<0.05). 온도와 염도는 종자의 발아와 초기 생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높은 온도와 염도는 종자의 발아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Allometric equations,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Cryptomeria japonica in Mount Halla, Jeju Island, Korea

  • Jung, Sung Cheol;Lumbres, Roscinto Ian C.;Won, Hyun Kyu;Seo, Yeon 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177-18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and to determine the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 (BEF) for the estimation of the aboveground and belowground biomass of Cryptomeria japonica in Jeju Island, Korea. A total of 18 trees were harvested from the 40-year-old C. japonica stands in Hannam experimental forest, Jeju Island. The mean biomass of the C. japonica was $50.4Mg\;ha^{-1}$ in stem wood, $23.1Mg\;ha^{-1}$ in root, $9.6Mg\;ha^{-1}$ in branch, $4.6Mg\;ha^{-1}$ in needle and $4.3Mg\;ha^{-1}$ in stem bark.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as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allometric equation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equation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ere used and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R^2$ ranged from 71% (root biomass equation) to 96% (aboveground biomass equation) and the RMSE ranged from 0.10 (aboveground biomass equation) to 0.33 (root biomass equation). The mean stem density of C. japonica was $0.37g\;cm^{-3}$ and the mean aboveground BEF was $1.28g\;g^{-1}$. Furthermore, the ratio of the root biomass to aboveground biomass was 0.32.

한국 난온대 식생분포대의 식물기후학적 재검토 (A Phytoclimatic Review of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of Korea)

  • 엄병철;김종원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95-207
    • /
    • 2020
  • 난온대 동백나무군강의 한국 내 분포 북한계는 연평균 기온 13℃와 14℃, 한랭지수 -10℃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기후요소의 지리적 공간분포 실체를 검토하였다. 세 기후요소의 공간분포 양상은 티센망법과 크리깅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기후도를 생산하여 난온대 주요 상록활엽수종의 현존분포와 그 대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로 난온대 식생의 분포 북한계는 한랭지수 -10℃가 연평균기온 14℃보다 일치하였으나, 연평균기온 13℃가 더욱 정교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한반도에서 연평균기온 13℃를 북한계로 한 난온대 식생역의 잠재 분포 면적은 20,334 ㎢로 다른 두 온도요소의 경우보다 넓었다. 본 연구는 가공하지 않은 직접 기후요소인 연평균기온 13℃가 가공으로부터 생겨난 간접 기후요소인 한랭지수 -10℃보다 난온대 식생 분포 북한계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난온대 경계선에 대한 학술적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Floristic study of bryophytes in Hangyeong Gotjawal (Cheongsu-ri), Jejudo Island

  • YIM, Eun-Young;CHOI, Byoung-Ki;HYUN, Hwa-Ja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5-223
    • /
    • 2019
  • Recently, it has become known that Gotjawal terrain is an important area, therefore the study on this area has conducted in the geological, ecological, and cultural aspects. The studies on bryophytes of Gotjawal, however, have not been sufficiently performed. This study presents a survey on the bryophyte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Cheongsu-ri at Hangyeong Gotjawal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do Island, Korea. A total of 72 taxa belonging to the Bryophyta (18 families 43 genera 55 species) and Marchantiophyta (11 families 13 genera 17 species) were determined and the liverwort index was 23.6%. Predominant life-form was weft. The rates of the bryophytes dominating in mesic to hygric sites were higher than the bryophytes mainly observed in xeric habitats. These values indicate that the forests are widespread and dense in this study area. Upon an investigation of the substrates, the bryophytes on rocks were most diverse. The results appear to stem from the fact that volcanic rock masses of various sizes lay scattered over the study area, offering numerous micro-habitats for bryophyte due to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otjawal.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regional scale to establish the bryophyte flora of Gotjawal and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n Jejudo Island.

월출산국립공원 도갑사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Dogabsa Valley in the Weolchulsan National Park)

  • 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102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도갑사계곡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0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의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굴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그리고 갈참나무-때죽나무군락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 구조분석결과 도갑사지역의 산림은 온대남부수종과 난대수종이 만나는 전이지역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림의 임령은 $40{\sim}50$년이었다.

Comparison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between Fresh and Air-dried Leaves by Leaf Composition in Quercus glauca

  • Su Young Jung;Hee-Seop Byeon;Kwang-Soo Lee;Hyun-Soo Ki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ound absorption conditions by comparing the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air-dried leaves of Quercus glauca, the main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EBLT) in southern Korea.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SACs) obtained under 18 condition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SAC of air-dried leave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af layer thickness. The highest average SAC in the fresh leaf group was 0.617, which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specimen size of 0.5 × 0.5 cm2 and a leaf layer thickness of 1.75 cm. In a group of air-dried leaves, this was 0.615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specimen size of 0.5 × 0.5 cm2 and a leaf layer thickness of 2.50 cm. The maximum value of SAC for each wavelength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a leaf layer thickness of 2.50 cm consisting of 0.5 × 0.5 cm2 leaf specimens, ranging from 1,400 Hz to 1,500 Hz.

해남 달마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과 생태적 특성 (The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rm Temperate Forest in Dalma Mountain, Haenam)

  • 조지웅;이계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1-193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able forest management according to climate change by identify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t. Dalma warm temperate forest. 30 survey plots were established for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communities which classified by applying TWINSPAN analysis and DCA analysis techniques. Four plant communities were subdivided into Quercus acuta-Eurya japonica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Quercus salicina-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e 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and the sub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the Sasa boreali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in the range of 0.849 to 0.969, and the degree of Evenness index were 0.514 to 0.569, and the similarity index were 59.57 to 75.47%.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mmunity indicated that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ous trees have already been eliminated in competition with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ree species with good cold resistance such as Quercus acuta and Quercus salicina were dominant species under current climatic conditions, but the dominant species might be changed to more shade-tolerance evergreen broad-leaved through the succession.

멸종위기식물 피뿌리풀의 기내증식 (Micropropagation of an Endangered Species, Stellera rosea Nakai by Tissue Culture)

  • 한무석;문흥규;강영제;김원우;강병서;변광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31-35
    • /
    • 2004
  • 멸종위기에 직면한 피뿌리풀 (Stellera roseaN.)의 기내증식법을 개발하고자 액아 마디를 MS 배지에 BAP와 zeatin을 처리하여 다경 (multiple shoot)를 유도하고 기내발근에 미치는IBA및 NA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액아 마디로부터 다경유도는 BA가 현저히 양호한 반면 줄기의 생장은 zeatin이 BA보다 효과적이었다. 증식된 줄기로부터 기내 발근은 오옥신 처리로 가능하였으나 발근율은 대체로 저조하였고 오옥신의 전처리 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IBA가 NAA보다 다소 좋은 발근효과를 보였고 1.0mg/L 농도로 15일간 배양시 30%까지 발근되었다. NAA역시 처리농도 및 처리기간에 따라 발근율에 차이를 보였다. 발근묘는 인공토양에서 51%가 활착되어 정상생장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발근 및 순화조건을 좀더 개선하면 피뿌리풀의 효율적인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Korea)

  • 고정군;송관필;문명옥;김지은;이은주;황석인;정진현;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0-648
    • /
    • 2006
  •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반도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식생유형 특징 및 복원전략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Strategies of Warm-Temperate Forests Vegetation Types in Island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 강현미;강지우;성찬용;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7-524
    • /
    • 2022
  • 우리나라 난온대 도서지역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TWINSPAN분석을 통해 식생을 유형화한 후에 유형별 입지환경과 군집구조 특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식생유형별 복원전략을 도출하여 난온대림 복원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식생유형은 명료하게 8개로 나뉘었는데 군락 I~IV는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점한 양호한 상록활엽수림 이었다. 반면, 군락 V~VIII은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인공조림지로 난온대 지역의 퇴행천이 식생이었다. DCA분석 결과로 도출된 환경요인은 해발고(최한월 평균기온)와 해안선에서 거리(내염성)였다. 2가지 환경요인에 따라 후박나무림, 구실잣밤나무림, 가시나무류림 유형으로 난온대림 분포패턴이 명료해졌다. 3가지 식생유형을 복원대상지의 입지환경을 고려해 복원목표 식생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군락 V~VIII에는 곰솔, 낙엽활엽수 등이 수관층을 형성했는데 종자 확장력이 강한 상록활엽수종이 하층에 빈번하게 출현해, 상록활엽수림으로 식생천이 가능성이 컸다. 도서지역에 산림이 사라진 황폐지는 협소하지만,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등의 퇴행천이된 식생이 대면적을 이룬다. 이곳을 상록활엽수림으로 갱신하는 복원전략이 탄소중립 실현과 생물다양성 증진 측면에서 효과성이 더 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