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I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xistence of a Putative Regulatory Element in 3'-Untranslated Region of Proto-oncogene HOX11's mRNA

  • Li, Yue;Jiang, Zhao-Zhao;Chen, Hai-Xu;Leung, Wai-Keung;Sung, Joseph J.Y.;Ma, Wei-Jun
    • BMB Reports
    • /
    • 제38권4호
    • /
    • pp.500-506
    • /
    • 2005
  • HOX11 encodes a homeodomain-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which directs the development of the spleen during embryogenesis. While HOX11 expression is normally silenced through an unknown mechanism in all tissues by adulthood, the deregulation of HOX11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leukemia, such as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he elucidation of regulatory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regulation of HOX11 gene expression is of great importance. Previous reports of HOX11 regulatory elements mainly focused on the 5'-flanking region of HOX11 on the chromosome related to transcriptional control. To expand the search of putative cis-elements involved in HOX11 regulat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we analyzed HOX11 mRNA 3'-untranslated region (3'UTR) and found an AU-rich region. To characterize this AU-rich region, in vitro analysis of HOX11 mRNA 3'UTR was performed with human RNA-binding protein HuR, which interacts with AU-rich element (ARE) existing in the 3'UTR of many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mRNA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HOX11 mRNA 3'UTR can specifically bind with human HuR protein in vitro. This specific binding could be competed effectively by typical ARE containing RNA. After the deletion of the AU-rich region present in the HOX11 mRNA 3'UTR, the interaction of HOX11 mRNA 3'UTR with HuR protein was abolish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X11 mRNA 3'UTR contains cis-acting element which shares similarity in the action pattern with RE-HuR interactions and may involve in the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HOX11 gene.

Triple Negative Status is a Poor Prognostic Indicator in Chinese Women with Breast Cancer: a Ten Year Review

  • Ma, K.K.;Chau, Wai Wang;Wong, Connie H.N.;Wong, Kerry;Fung, Nicholas;Lee, J.T. Andrea;Choi, L.Y. Catherine;Suen, Dacita T.K.;Kwong, Av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109-2114
    • /
    • 2012
  • Background: Ethnic variation in tumor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presentation of breast cancer is increasingly being emphasized. We studied the tumor characteristics and factors which may influence the presentation and prognosis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s (TNC) in a cohort of Chinese women. Methods: A prospective cohort of 1800 Chinese women with breast cancer was recruited in a tertiary referral unit in Hong Kong between 1995 and 2006 and was followed up with a median duration of 7.2 years. Of the total, 216 (12.0%) had TNC and 1584 (88.0%) had non-TNC. Their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epidemiological variables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Patients with TNC had similar age of presentation as those with non-TNC, while presenting at earlier stages (82.4% were stage 1-2, compared to 78.4% in non-TNC, p=0.035). They we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grade 3 cancer (Hazard Ratio(HR)=5.8, p<0.001). TNC showed higher chance of visceral relapse (HR=2.69, p<0.001), liver metastasis (HR=1.7, p=0.003) and brain metastasis (HR=1.8, p=0.003). Compared with non-TNC group, TNC had similar 10-year disease-free survival (82% vs 84%, p=0.148), overall survival (78% vs 79%, p=0.238) and breast cancer-specific mortality (18% vs 16%, p=0.095). However, TNC showed poorer 10-year stage 3 and 4 specific survival (stage 3: 53% vs. 67%, p=0.010; stage 4: 0% vs. 40%, p=0.035). Conclusions: Chinese women with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do not have less aggressive biological behavior compared to the West and presentation at a later stage results in worse prognosis compared with those with non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우리나라 웹 접근성 정책 영향요인 분석 - 16개 광역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Panel Data on the Web-accessibilit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 진상기;현준호
    • 정보화정책
    • /
    • 제18권4호
    • /
    • pp.42-58
    • /
    • 2011
  • 웹(Web)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 경(Sir. Tim Berners-lee)은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으며, 장애에 구애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W3C WAI, 2006)하였다. 또한 Lasswell(1971)과 허범(2009a;2009b)이 말하는 정책학의 이상과 가치의 핵심인 인간의 존엄성 추구라는 관점에서 볼 때에도 인터넷 상의 형평성 구현은 정보사회에서의 중요한 가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정보사회의 핵심인 웹 상에서의 형평성을 구현하는데 있어 중요한 웹 접근성 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특히, 광역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문헌 연구와 수요공급 균형 모형의 가정을 준용하여 법제도 환경 요소, 재정 기반 요소, 정책자원 투입 요소, 정책 수요 요소로 가정을 하고 이에 따라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전수 분석을 통해 웹 접근성 정책 결정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정확성을 위해 본 연구는 각 광역자치단체들의 5개년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최적모형 검정을 통해 도출한 패널분석모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분석모형은 웹 접근성 지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로는 정책수요(인터넷 이용률, 장애인 및 노인비율), 정책자원 투입(정보화 예산비율, 정보화 인력), 재정기반(재정자립도)을 설정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 수요, 정책자원 투입, 정보화 역량 변수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제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패널분석 모형과 문헌연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웹 접근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환경요소의 중요한 역할을 추론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웹 접근성 인식제고를 위한 노력, 표준 제정 및 관련 기술 개발 연구 확대, 웹 접근성 관련 인력양성 그리고 법 제도 개선을 정책제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ng Better Nutrition to Older Adults

  • Guldan, Georgia-Sue;Wendy Wai-Hing Hui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62-70
    • /
    • 2000
  •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ongoing health promotion for older adults and their caregivers. This is because prevention through sound nutrition and food hygiene practices and regular excercise is the most cost-effective way to reduce risks for and deal with their major health problems. nutritions education services should effectively promote optimum intake and successful self-care. Unfortunately, however relative to other vulnerable groups,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or evaluated. Usually oder adults care a lot about their health, so this should be a relatively easy group to teach - but their increasing numbers, longevity and great diversity with respect to health, physical, and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present challenges. Some older adults may not perceive they would benefit from nutrition education, so interesting and motivating them is a challenge. The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of older people has been acquired through a lifetime of experience. For most older adults in the Asian region, their sources are restricted by their restricted education, so that their major sources of information have been informal sources, such as television, radio, friends, family, and perhaps newspapers and magazines if they are literature. Nonetheless, dietary advice for older people should build on their existing knowledge and ingrained values. It should provide information useful in daily food selection, and focus on food, not nutrients - the same foods and groups considered appropriate for younger people, with consistent messages as given throughout the population. Attention must also be paid to discovering learning styles in older people. When we teach in schools, the young students are a captive audience resigned to their learning role. Learning by an older adult, however, reflects an effort to meet his or her perceived needs.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a positive experience in a non-threatening environment, relaxed and non-competitive, and perhaps even social environment. The messages also need to be practical and achievable. A needs assessment is essential, because our ability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will depend on our success in matching the needs, both perceived and unperceived. of this vulnerable group. Therefore, go to the potential older learners to assess their interest and preferences.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for older adults are widespread, but few have been evaluated. Evaluation is therefore also recommended, particularly when new methods are used. Tips from other countries for giving successful nutrition education will be given, including some examples of applications as attempted in Hong Kong. Research needs will also be described. In conclusion, successful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depends on positive needs-based messages. This is may be hard to do, as few good examples are available to illustrate these principles.

  • PD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사육을 위한 Chlorella의 배양 1. 적종 Chlorella의 선택 (Chlorella cultivation for mass culture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I. Selection of suitable Chlorella species)

  • 허성범;김현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5-143
    • /
    • 1988
  • 해산어류 및 갑각류의 유생사육시 먹이로 사용되는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Chlorella중 어떤종이 대량사육에 가장 적합한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수산 Chlorella 2종, 담수산 Chlorella 4종에 대한 성장 및 영양염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산 Chlorella중에서는 C. ellipsoidea가 f/2배지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담수산 Chlorella 중에서는 C. vulgaris가 Complesal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2. 성장의 측면에서 볼 때 담수산인 C. vulgaris는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specific growth rate가 1.68배나 높게 나타났다. 3. 영양염의 측면에서 볼 때 지방은 해수산인 C. ellipsoidea가 조단백과 회분은 담수산인 C. vulgaris가 더 높았다. 아미노산측정에서 $NH_3$의 함량이 담수산인 C. vulgaris가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8배 이상 높은 점이 특이하였다.

  • PDF

제분방법에 따른 쌀보리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rinding Mill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78-1083
    • /
    • 1996
  • 쌀보리를 정맥기를 사용하여 도정한 정맥에 대해 제분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분한 결과 보리가루는 입도 분포에서 차이를 나타내 Jet mill로 제분한 보리가루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았으며 그 다음으로 Pin mill과 Cyclotec sample mill에 의한 입자 크기가 작았고 Ball mill과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가루는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색이 밝고 전분 손상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보리가루의 표면구조는 크고 작은 전분 입자, 주름진 세포벽 물질 등으로 관찰되었으며 가루 입자의 형태 및 크기가 제분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보리가루는 손상된 전분의 양이 많을수록 높은 수분흡수지수 및 보수력을 나타냈으며 수분용해도지수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가루의 호화 특성을 측정한 결과 보리가루의 점도는 입자가 크게 분쇄된 Fitz mill에 의한 보리가루에서 가장 낮았으며 Pin mill과 Cyclotec mill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주 미세하게 분쇄된 Jet mill은 호화가 빨리 진행된 반면 점도의 상승은 크지 않아 지나친 전분의 손상은 점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라오스 개벌림에서 다섯가지 자생수종과 각기 다른 조림처리의 Enrichment Planting이 묘목의 생장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richment Planting with Five Native Species and Different Plantation Treatment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at Logged-over Forest in Lao PDR)

  • 찬사몬 폰고우돔;실라반 사와드봉;우수영;와이문 호;박영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5-52
    • /
    • 2012
  • Enrichment planting은 라오스에서 산림복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차림에서 수종의 밀도를 증가시키는데 흔히 쓰인다. 본 연구는 다섯 종의 자생수종을 대상으로 임관층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Enrichment planting을 실시하여 라오스에서 개벌 이후 적용할 수 있는 조림방법과 적합한 수종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관층의 높이만 조사수종간 그리고 식재처리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묘목의 생존율과 수관층의 직경은 조사수종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식재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묘목의 근원경과 묘고는 식재처리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수종 중에는 Hopea odorata 와 Dalbergia cochinchinensis 가 다른 수종들에 비해 생존율과 수고생장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 수종들이 향후 라오스 산림복원을 위한 Enrichment planting에 적용하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m간격의 line planting은 묘목의 근원경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되지만 gap planting과 같이 넓은 간격의 line planting은 묘고생장을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삼 종자 후레이크 제조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 김철;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10
  • 경제적 잠재성이 큰 삼 종자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삼 종자의 일반성분을 측정하였고 삼 종자 첨가 압출성형펠릿의 호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 색도, 압착강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조직감 유지 시간(bowl life)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압출성형 공정조건은 배럴온도 90, 100, 110$^{\circ}C$, 수분함량 35%이었다. 삼 종자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함량은 각각 5.67${\pm}$0.02, 25.93${\pm}$0.16, 28.21${\pm}$0.56, 7.70${\pm}$0.08%이었다. 압출성형 펠릿의 페이스트 점도 측정결과 삼 종자 펠릿의 제조에 적합한 압출성형 배럴온도는 100-110$^{\circ}C$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는 0.24-0.43 g/mL 범위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도와 압착강도는 삼 종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럴온도가 9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수분흡착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 유지시간은 5.8-15.5분 범위로 삼 종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삼 종자 첨가량 2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Volumetric analysis of mucous retention cysts in the maxillary sinu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Hung, Kuofeng;Hui, Liuling;Yeung, Andy Wai Kan;Wu, Yiqun;Hsung, Richard Tai-Chiu;Bornstein, Michael 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2호
    • /
    • pp.117-127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mucous retention cysts(MRCs) in the maxillary sinus and to analyze potential associations of MRCs with dentoalveolar pathologies. Materials and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exhibiting bilateral maxillary sinuses that were acquired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19 were initially screened. A total of 227 scans(454 sinuses) that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presence, location, and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agnosed MRCs were evaluated on CBCT images using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The presence of MRCs was correlated with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and dentoalveolar pathology.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factors with a potential impact on the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analyzed. Results: An MRC was present in 130 (28.6%) of the 454 sinuses. Most MRCs were located on the sinus walls and floor. The mean MRC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551.21±1368.04 mm3, 228.09±437.56 mm2, and 9.63±5.40 mm, respectively. Significantly more sinuses with associated endodontically treated teeth/periapical lesions were diagnosed with an MRC located on the sinus floor.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endodontic status exhibi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volume, surface, and diameter. Conclusion: Periapical lesions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and volume of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for clinicians to analyze the size of MRC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s such as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고추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유전자원과 그 주요 특성 (Characterization of Sources of Resistance to Bacterial Spot in Capsicum Peppers)

  • 변시은;;제갈윤혁;;;모황성;유희주;장길수;황지은;전수경;이수헌;김병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79-789
    • /
    • 2016
  • 국내외에서 보고된 저항성 유전자원과 새로 찾은 자원을 포함한 고추 유전자원 총 33점에 세균성점무늬병원균(X. euvesicatoria)을 접종하여 과민반응형 저항성과 일반 저항성을 검정하고, 선발한 자원에 대하여 원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국내에 보고된 4종의 race(1, 3, 7, 8)에 대한 과민반응형 저항성을 판별한 결과, Bs2 유전자를 보유한 KC00939와 Chilbok No.2는 예상대로 4종의 race에 과민형 반응을 나타내었다. Bs3 유전자를 보유한 Chilbok No.3는 예상대로 race 1과 7에 과민형 반응을 보였다. KC00939는 CMV와 BBWV의 복합 감염에 강한 저항성을 보이고 색소함량이 매우 높아 고색도 복합저항성 육종 소재로서의 그 가치가 높았다. 이와 더불어 KC01327, KC01617, KC01015, KC01760, KC01779, KC01137, KC01328, KC01006, KC00127(PI369994), KC01704, KC00995, KC00131(PI369998) 및 KC01777이 높은 수준의 일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KC01617, KC01760, KC01779, KC01137, KC01704, KC01777은 이번 연구에서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으로 찾은 자원이다. 이들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유전자원의 CMV와 BBWV의 복합 감염에 대한 저항성, 과실특성, 과실의 신미, 감미 및 색소함량(ASTA)을 분석한 결과는 세균성점무늬병 저항성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