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F Conflic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서비스 구성원의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and Family-Work Confli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China: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 지초;진춘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85-9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시간 근거, 긴장 근거, 행동 근거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내 서비스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과 긴장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직장 갈등의 하위요인인 긴장-근거 갈등과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자율성은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직장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긴장 근거 갈등,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3개 하위요인 중에서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혔다.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ADOPTED BY THE SUBCONTRACTORS OF HONG KONG BUILDING PROJECTS

  • Andy K.W. Ng;Andrew A.D.F. Pric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28-634
    • /
    • 2009
  • It is a common practice in Hong Kong for the main contractors of local building projects to sublet most of the work to subcontractors. Consequently their roles have gradually transformed from a constructor to a manager of subcontractors. The outcomes of a project therefore depend heavily on the subcontractors'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 subcontractors complain that they are unable to efficiently and effectively operate due to site coordination problems, such as inaccurate site reference lines, caused by main contractors. The site problems may consume significant amounts of resources if practical solutions cannot be agreed by the project participants early enough. Rahim O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II (ROCI-II) model was developed by M.A. Rahim that measure fiv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 including Integrating, Obliging, Dominating, Avoiding and Compromising. This paper pres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the ROCI-II model to rank the preference on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adopted by the project representatives of the subcontractors in handling the site coordination problems and its impact to the time used to agree the solutions to the different types of site coordination problems with main contractor.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ubcontractors' project representatives preferred to adopt the Compromising style to tackle the site coordination problems and the time used to agree the solutions with main contractor was influenced by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adopted.

  • PDF

21세기 패션에 나타난 그런지 룩의 표현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Grunge Look in 21st century fashion)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5호
    • /
    • pp.957-969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grunge look as a mode of expression and as a characteristic of the fashion of the 21st century, arguing that the look expressed not only an outward appearance or sub-culture but also a change in our attitude and spirit about contemporary fashion. In the study, I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the collection from 2001S/S to 2010F/W and a literature review. In my results, I classified the grunge look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mix and match layering; 2. patchwork, collages, and assemblage using all objects as well as clothing materials; and 3. distressing techniques, such as bleaching and dyeing, unweaving, and tears and holes. I also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grunge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conspicuous destitution, which is intentionally expressed by skillful techniques and craftsmanship, indicating that modern people want to attract attention and be distinguished from others, which reflects an attitude of superiority through ironic fashion choices; 2. high lighting the dissolution of decoration, where destruction, poverty and recombination shown in the grunge look emerged as an artificial and intentional ugly aesthetic in contrast to the existing elegant and sophisticated image; and 3. satire and playfulness, as grunge expresses alienation and conflict in modern society through satire and sarcasm, not attacking or avoiding, but through playful and sarcastic engagement so as to decrease poverty and give temporary freedom.

초기 들뢰즈 철학에 관한 연구 (An inquiry concerning early philosophy of G. Deleuze)

  • 진기행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409-440
    • /
    • 2012
  • 철학연구를 시작하던 초기에 질 들뢰즈 G. Deleuze가 수많은 앞선 철학자들, 즉 흄 D. Hume, 루크레티우스 Lucretius, 칸트 I. Kant, 스피노자 B. Spinoza, 니체 F. W. Nietzsche, 베르그송 H. Bergson등에 대한 전기적(傳記的)인 연구로부터 시작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피노자, 니체, 베르그송은 들뢰즈 사상의 전체를 지탱하는 근간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초기에 그가 행한 전기적인 저작들 전체가 스피노자와 니체라고 하는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 identity>으로 수렴되는 테마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으며, 그것은 적어도 당시의 그에게는 이들 두 명의 철학자가 그토록 커다란 중요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하나는 차이 difference의 철학자로 간주되는 들뢰즈가 어째서 동일성을 말하는가 하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과연 이들 두 명의 철학자 간에 어떤 동일성이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오히려 상식적으로는 신을 그 체계의 중심에 놓고 있는 스피노자의 철학에 대해서 '신은 죽었다'라고 하는 니체의 철학이 정면으로 대비되는 것은 아닌가. 니체도 처음에는 스피노자에게 대단한 공감을 표시하기는 했지만, 곧바로 스피노자에 대하여 심각한 비판을 가했다. 그리고 이 비판의 중심에는 신의 존재와 부재를 둘러싼 대립이 놓여 있다. 하지만 스피노자의 철학이 무신론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것도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들뢰즈도 또한 스피노자를 무신론자라고 부르고 있으며, 스피노자가 '힘'power 개념에 착안한 점에 근거하여, 스피노자를 니체와 비교하여 해석하고 있다. 반면에 들뢰즈는 니체를 스피노자와 비교하여 다시 해석하기도 한다. 그때에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를, 스피노자의 '힘' 개념과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완전히 들뢰즈 자신만의 독자적인 착상으로 변형시켜 해석한다. 이처럼 '힘' 개념을 매개로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에서 진행된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이 들뢰즈에게 두 명의 철학자의 동일성을 말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들뢰즈에 있어서 이 쌍방향적인 사고의 운동을 고찰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두 철학자의 동일성의 기반을 밝힘과 동시에 이러한 운동의 결과로서 차이의 철학자 들뢰즈에 의해 언급되는 이 동일성이 어떠한 것인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또한 이 동일성의 성립 과정에서 두 철학자 사이에 놓인 신의 존재와 부재의 대립이 들뢰즈에 의하여 전혀 다른 모습으로 새롭게 조명되는 점도 살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