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 L R

검색결과 913건 처리시간 0.029초

중층트롤의 깊이바꿈과 소해심도의 안정성 (Depth Control and Sweeping Depth Stability of the Midwater Trawl)

  • 장지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9권1호
    • /
    • pp.1-18
    • /
    • 1973
  • 중층트를 어구(漁具)의 소해심도(掃海深度)를 일정(一定)한 적정어획속도(適正漁獲速度)에서 기동성(機動性)있게 변화(變化)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모형어구(模型漁具)의 수조실험(水槽實驗)과 특별(特別)히 고안한 깊이바꿈틀을 이용(利用)한 이차(二次)에 걸친 해상시험(海上試驗)을 통(通)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의 깊이 y는 끌줄의 길이 L과 단위(單位) 길이의 끌줄, 깊이바꿈틀 및 그물의 각(各) 수중중량(水中重量) $W_r,\;W_o,\;W_n$과 각(各) 항력(抗力) $R_r,\;R_o,\;R_n$ 사이의 관계(關係)는 차원해석법(次元解析法)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y=kLf(\frac{W_r}{R_r},\;\frac{W_o}{R_o},\;\frac{W_n}{R_n})$$ 단(但), k는 상수(常數)이고 f는 함수이다. 2. 단위 길이당(當)의 수중중량(水中重量) $W_r$, 길이 L인 끌줄 끝에 항력(抗力) $D_n$, 수중중량(水中重量) $W_n$d인 수중저항분를 매달고 끌줄의 다른 한 끝을 수면(水面)에서 예인(曳引)할 때,. 끌줄의 형상(形狀)을 현수곡선이라고 보면, 수중저항분의 깊이 y는 다음과 같다. $$y=\frac{1}{W_r}\{\sqrt{{D_n^2}+{(W_n+W_rL)^2}}-\sqrt{{D_n^2+W_n}^2\}$$ 3.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漁具)깊이의 변화(變化) ${\Delta}y$는 예강(曳綱)의 길이 L을 바꾸거나 추(錘) ${\Delta}W_n$를 부가(附加)하면 다음과 같다. $${\Delta}y{\approx}\frac{W_n+W_{r}L}{\sqrt{D_n^2+(W_n+W_{r}L)^2}}{\Delta}L$$ $${\Delta}y{\approx}\frac{1}{W_r}\{\frac{W_n+W_rL}{\sqrt{D_n^2+(W_n+W_{r}L)^2}}-{\frac{W_n}{\sqrt{D_n^2+W_n^2}}\}{\Delta}W_n$$ 단(但), $D_n$은 그물어구의 항력(抗力)이다. 4.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추(錘) $W_s$를 부가(附加)할 때 중층(中層)트롤 그물어구의 깊이바꿈 ${\Delta}y$$${\Delta}y=\frac{1}{W_r}\{(T_{ur}'-T_{ur})-T_u'-T_u)\}$$ 단(但) $$T_{ur}^l=\sqrt{T_u^2+(W_s+W_{r}L)^2+2T_u(W_s+W_{r}L)sin{\theta}_u$$ $$T_{ur}=\sqrt{T_u^2+(W_{r}L)^2+2T_uW_{r}L\;sin{\theta}_u$$ $$T_{u}'=\sqrt{T_u^2+W_s^2+2T_uW_{s}\;sin{\theta}_u$$ $T_u$ 추(錘)를 부가(附加)하지 않았을 때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있어서의 예인어선(曳引漁船) 쪽을 향하는 장력(張力)이고, ${\theta}_u$는 장력(張力) $T_u$와 수평방향(水平方向)과 이루는 각도(角度)이다. 5. 어떠한 형태(形態)의 저예강용(底曳綱用) 전개판(展開板)도 성능(性能)에 있서어 차이는 있으나 전중량(全重量)을 가볍게 하고 저변(底邊)에 무게를 달아 안정(安定)시키면 중층예강용(中層曳綱用)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다는 것이 모형(模型) 실험(實驗)결과 밝혀졌다. 6. 모형(模型) 그물(Fig.6)의 수조실험(水槽實驗)에서는 예강속도(曳綱速度) v m/sec, 강고(綱高) H cm 및 수유저항(水流抵抗) R kg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簡單)한 관계식(關係式)이 성립(成立)한다. $$H=8+\frac{10}{0.4+v}$$$R=3+9v^2$$ 7. 특별(特別)히 고안한 십자(十字)날개형(型) 깊이바꿈틀과 H날개형(型) 깊이 바꿈틀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전자(前者)보다 안정성(安定性)이 우월하였다. 8. 그물어구(漁具)의 유수저항(流水抵抗)이 매우 크며 또 거의가 항력(抗力)으로 볼 수 있으므로 깊이바꿈틀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물어구의 소해심도(掃海深度)는 대단히 안정(安定)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9. H날개형(型) 깊이바꿈틀의 수평(水平)날개 면적율 $1.2{\times}2.4m^2$로 하였을 때 유수저항(流水抵抗) 2 ton의 그물 어구를 2.3kts로 예인(曳引)하면서 영각(迎角)을 $0^{\circ}{\sim}30^{\circ}$로 변화(變化)시킨 결과(結果), 끌줄의 길이에 관계없이 약(約) 20m의 깊이바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붕장어의 어체제원과 어구강목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Dimension of Sea Eel , Astroconger Myriaster and the Mesh Size of Fishing Gears)

  • 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84-188
    • /
    • 1987
  • 1987년 9월중에 남부해역에서 부산수산대학 실습선 402호와 403호를 이용하여 통발 어구로써 어획한 붕장어 Astroconger myriaster의 전장\ulcorner체중 및 굵기 등의 상호관계와 어체 크기와 어구망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장 L, 체중 W 및 굵기 D의 상호관계는 W=3.58$\times$10 상(-4) L 상(3.38) (r=0.99). D=0.07 L-0.59 (r=0.99). W=10.38 D 상(2.76) (r=1.00). W=1/2$\times$D 상(2)\ulcornerL 과 같이 표현된다. 2. 붕장어를 어획하는 통발 어구의 그물코 크기와 구멍의 직경은 각각 29.2mm, 18.6mm이상 되어야 한다.

  • PDF

그물어구의 유수저항과 모형수칙 3. 모형수칙의 수립 및 이론적 검토 (Flow Resistance and Modeling Rule of Fishing Nets 3. Establishment of Modeling Rule and its Theoritical Examination)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43-54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그물어구의 모형수칙에 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어 온 Tauti의 수칙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 수칙이 지니는 간제점에 대해 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의 수칙들은 그물의 유수저항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였고 그것의 수중 형상을 결정하는 중요 인자로써 그물감의 수중 무게를 택한 것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견해 대신에 그물을 그것의 영역권 내로 물을 유입한 후 영역권 밖으로 투과시키는 하나의 유공성 구조물로 간주하고, 그것에 대한 물의 유입${\cdot}$유출 특성을 이용하여 유수저항을 해석한 전보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실물과 모형과의 상사 관계를 새로히 구하였다. 즉, 그물의 각 변의 길이를 L, 그물실의 지름을 d, 그물코의 크기 및 전개각을 각각 2l 및 2$\varphi$, 뼈대줄의 지름과 길이 및 비중을 각각 $d_r,\;l_r$$\rho_r$, 뜸, 발돌 등의 부속구 하나의 수중 무게 및 갯수를 각각 $w_a$ 및 Na, 물의 비중을 $\rho_w$, 유속을 $\nu$, 그물의 유수저항을 R이라 할 때, 실물 (첨자 1)과 모형 (첨자 2)이 상사를 이루기 위해서는 $$\frac{d_2}{d_1}=\sqrt{\frac{l_2}{l_1}},\;\frac{N_2}{N_1}=(\frac{d_1}{d_2})^{1.5}\frac{L_2}{L_1},$$ $$\;\varphi_1=\varphi_2,\;\frac{d_{r2}}{d_{r1}}=\sqrt{\frac{L_2{(\rho_{r1}-\rho_{w1})}}{{L_1{(\rho_{r2}-\rho_{w2})}}$$ $$\frac{N_{a2}}{N_{a1}}=\frac{W_{a1}}{W_{a2}}(\frac{L_2}{L_1})^2$$, $$\nu_1=\nu_2$$$$\frac{R_2}{R_1}=(\frac{L_2}{L_1})^2$$ 을 만족해야 하고, 조작 유속이 매우 작은 값으로 한정되는 그물에 있어서 구성 재료의 변화에 따른 수중 형상의 변화를 조사할 때와 같이 그물감의 수중 무게의 영향 자체를 조사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위의 조건들 외에 $$\frac{\rho_2-\rho_{w2}}{\rho_1-\rho_{w1}}=\frac{d_1}{d_2}$$를 추가로 만족해야 한다는 젓을 알 수 있었다.

  • PDF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생물학적 연구 (A BIOLOGICAL STUDY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노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3-102
    • /
    • 1970
  • 1. 1969년 5월 20일부터 거제도 동쪽 연안 장승포, 농포 지선에서 숙란을 가진 어미를 체집하여 두흉갑장과 체장 및 체중과의 관계와 성장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2. 거제도 동쪽 해역에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두흄갑장의 평균 범위는 5월산 51mm, 6월산 57mm, 7월산 47mm 이며, 9월산은 50mm였다. 3. 거제도산 보리새우는 조기 산란군과 후기 산란군의 2계군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채집된 보리새우 모하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 (W)자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5월산 $$L=2.6544{\iota}+3.1258$$ $$W=1.892{\iota}^{1.9844}$$ 6월산 $$L=2.8659{\iota}+2.1796$$ $$W=1.082{\iota}^{2.4323}$$ 7월산 $$L=2.5840{\iota}+3.3090$$ $$W=1.290{\iota}^{2.3094}$$ 9월산 $$L=2.4234{\iota}+4.5775$$ $$W=1.599{\iota}^{2.1857}$$ 관계식들은 회귀 직선과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고,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 체중조성은 월산 어미가 가장 높은 편이었다. 5. 6월 산과 9월산 어미의 두흉갑장과 체장, 두흉갑장과 체중과의 관계를 검정한 결과 다 같이 유의의 차가 없이 거의 같은 크기였다. 6. 양식장에서 성장된 보리새우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체중(W)의 관계식은 거제도산 $$L=3.7738{\iota}-0.0005\;(r=0.934)$$ $$W=0.4690{\iota}^{3.0713}$$ 오마도산 $$L=2.9933{\iota}+1.6.155\;(r=0.990)$$ $$W= 0.6328{\iota}^{2.6579}$$ 금당도산 $$L=3.2749{\iota}+0.9055\;(r=0.983)$$ $$W= 0.5768{\iota}^{2.8076}$$ 으로서 거제도산의 조성비가 높은 편이었다. 7. 보리새우 유생기의 경과 일수에 따른 체장의 성장식은 $Z_1\~Z_3$ L=0.1279D+0.2686 (r=0.979) $M_1\~P_6$ L=0.1697D+0.5634 (r=0.994) $P_7\~P_{21}$ L=0.1344D+1.9501(r=0.978)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 할 수 있다.

  • PDF

W.L.S. 알고리즘을 사용한 직유전동기 속도의 적응제어 (Adaptive Control of D.C. Motor Speed Using W.L.S. Algorithm)

  • 박준;권기호;최계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1-36
    • /
    • 1983
  • W.L.S. 알고리즘을 이용한 간접 M. R. L C. 방식으로서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마이크로프로세서 M6509를 사용하여 제어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W.L.S. 알고리즘의 빠른 수렴속도와 부하변동에 잘 적응하는 특성을 고략하였다.

  • PDF

NOTES ON CARLESON TYPE MEASURES ON BOUNDED SYMMETRIC DOMAIN

  • Choi, Ki-Seo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5-74
    • /
    • 2007
  • Suppose that $\mu$ is a finite positive Borel measure on bounded symmetric domain $\Omega{\subset}\mathbb{C}^n\;and\;\nu$ is the Euclidean volume measure such that $\nu(\Omega)=1$. Suppose 1 < p < $\infty$ and r > 0.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norms $sup\{\int_\Omega{\mid}k_z(w)\mid^2d\mu(w)\;:\;z\in\Omega\}$, $sup\{\int_\Omega{\mid}h(w)\mid^pd\mu(w)/\int_\Omega{\mid}h(w)^pd\nu(w)\;:\;h{\in}L_a^p(\Omega,d\nu),\;h\neq0\}$ and $$sup\{\frac{\mu(E(z,r))}{\nu(E(z,r))}\;:\;z\in\Omega\}$$ are are all equivalent. We will also show that the inclusion mapping $ip\;:\;L_a^p(\Omega,d\nu){\rightarrow}L^p(\Omega,d\mu)$ is compact if and only if lim $w\rightarrow\partial\Omega\frac{\mu(E(w,r))}{\nu(E(w,r))}=0$.

한국근해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 차병열;박영철;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9-534
    • /
    • 1998
  • 1995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남서해역 (제주도 부근)에서 매월 어획된 황아귀를 대상으로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척추골을 이용하였다. 황아귀 척추골의 추체에 윤문이 형성되는 시기는 3$\~$4월경으로 산란시기와 거의 일치하였다. 암컷의 연령은 8세까지, 그리고 수컷은 5세까지 나타났다. 추체경 (R)과 전장 (L) 사이에는 암컷의 경우 L=12.7+4.8R, 그리고 수컷의 경우 L=9.8+5.6R의 관계식을 보였다 전장과 체중 (W) 사이에는 암컷의 경우 $W=0.0089L^{3.0311}$, 그리고 수컷의 경우 $W=0.0329L^{2.7752}$의 관계식을 보였다 황아귀의 성장식은 암컷의 경우 $L_t=127.60(1-e^{-0.1228(t+0.3851)})$ 이었으며, 수컷은 $L_t=82.23(1-e^{-0.1832(t+0.6431)})$ 이었다.

  • PDF

WEIGHTED VECTOR-VALUED BOUNDS FOR A CLASS OF MULTILINEAR SINGULAR INTEGRAL OPERATORS AND APPLICATIONS

  • Chen, Jiecheng;Hu, Guoen
    • 대한수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671-694
    • /
    • 201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eighted vector-valued bounds for a class of multilinear singular integral operators, and its commutators, from $L^{p_1}(l^{q_1};\;{\mathbb{R}}^n,\;w_1){\times}{\cdots}{\times}L^{p_m}(l^{q_m};\;{\mathbb{R}}^n,\;w_m)$ to $L^p(l^q;\;{\mathbb{R}}^n,\;{\nu}_{\vec{w}})$, with $p_1,{\cdots},p_m$, $q_1,{\cdots},q_m{\in}(1,\;{\infty})$, $1/p=1/p_1+{\cdots}+1/p_m$, $1/q=1/q_1+{\cdots}+1/q_m$ and ${\vec{w}}=(w_1,{\cdots},w_m)$ a multiple $A_{\vec{P}}$ weights. Our argument also leads to the weighted weak type endpoint estimates for the commutators. As applications, we obtain some new weighted estimates for the $Calder{\acute{o}}n$ commutator.

TOEPLITZ TYPE OPERATOR IN ℂn

  • Choi, Ki Seong
    • 충청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97-705
    • /
    • 2014
  • For a complex measure ${\mu}$ on B and $f{\in}L^2_a(B)$, the Toeplitz operator $T_{\mu}$ on $L^2_a(B,dv)$ with symbol ${\mu}$ is formally defined by $T_{\mu}(f)(w)=\int_{B}f(w)\bar{K(z,w)}d{\mu}(w)$. We will investigate properties of the Toeplitz operator $T_{\mu}$ with symbol ${\mu}$. We define the Toeplitz type operator $T^r_{\psi}$ with symbol ${\psi}$, $$T^r_{\psi}f(z)=c_r\int_{B}\frac{(1-{\parallel}w{\parallel}^2)^r}{(1-{\langle}z,w{\rangle})^{n+r+1}}{\psi}(w)f(w)d{\nu}(w)$$. We will also investigate properties of the Toeplitz type operator with symbol ${\psi}$.

벼 도복 관련형질과 포장도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Lodging-Related Characteristics and Field Lodging in Rice)

  • 임준택;권병선;정병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9-323
    • /
    • 1991
  • 벼의 도복에 관련하는 형질들의 포장도복과의 관련정도를 밝혀 벼의 이도복성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져 1900년대에서 1980년대에 재배 또는 육성된 10품종을 재배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도복정도와 관련정도가 높은 형질들은 간장, 단위간하중(W/l), 단위 직경휨모멘트(W1/d), 도복지수(L), 하중비(W1/P), 임계도 복하중지수 (Ws$^2$/l$^4$)등 이었다. 2. 간장은 포장도복과 높은 상관(r=0.7607)을 보이나 간장만으로 품종의 도복정도를 판정하기는 미흡하였다 3. 측정의 난역도와 소모되는 시간을 고찰해 볼 때 도복저항성을 판정하는데 유용할 형질들은 간장, W/l, W1/d, Ws$^2$/l$^4$이었다. 4. 간경, 줄기단면적, 간벽의 두께, 줄기단면의 2차 관성 모멘트는 포장도복과 아무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좌절강도(S)는 포장도복과 유의한 부의 상관 (r=-0.3986)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