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Databas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Evaluation of damage probability matrices from observational seismic damage data

  • Eleftheriadou, Anastasia K.;Karabinis, Athanasios I.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4권3호
    • /
    • pp.299-324
    • /
    • 2013
  •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ypical Southern Europe buildings, based on processing of a large set of observational damage data. The presented study constitutes a sequel of a previous research. The damage statistics have been enriched and a wider damage database (178578 buildings) is created compared to the one of the first presented paper (73468 buildings) with Damage Probability Matrices (DPMs) after the elaboration of the results from post-earthquake surveys carried out in the area struck by the 7-9-1999 near field Athens earthquake. The dataset comprises buildings which developed damage in several degree, type and extent. Two different parameters are estimat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ismic deman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damaged buildings into structural types they are further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amage and macroseismic intensity. The relative and the cumulative frequencies of the different damage states, for each structural type and each intensity level, are computed and presented, in terms of damage ratio. Damage Probability Matrices (DPMs) are obtained for typical structural types and they are compared to existing matrices derived from regions with similar building stock and soil conditions. A procedure is present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ose buildings which initially could not be discriminated into structural types due to restricted information and hence they had been disregarded. New proportional DPMs are develop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is fulfilled with the existing vulnerability relations.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정된 IP 주소 접근 금지를 위한 기능 설계 (Design of the Specific IP Access Deny for the Database)

  • 장승주;김성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716-721
    • /
    • 2014
  • 본 논문은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환경과 C 프로그램 환경에서 원격으로 IP 주소를 사용하여 해킹 등의 보안 취약점을 공격하는 것을 예방하고, 문제점을 해결한다. 공격자가 원격으로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로그인을 시도하여 데이터를 해킹 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해외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로그인 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노출된 데이터베이스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시도하고 있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노출 위협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IP 차단 모듈을 개발하여 특정 IP를 차단 혹은 제어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Pre-earthquake fuzzy logic and neural network based rapid visual screening of buildings

  • Moseley, V.J.;Dritsos, S.E.;Kolaksis, D.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7권1호
    • /
    • pp.77-97
    • /
    • 2007
  • When assessing buildings that may collapse during a large earthquake, conventional rapid visual screening procedures generally provide good results when identifying buildings for further investigation. Unfortunately, their accuracy at identify buildings at risk is not so good. In addition, there appears to be little room for improvement. This paper investigates an alternative screening procedure based on fuzzy logic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Two databases of buildings damaged during the Athens earthquake of 1999 are used for training purposes. Extremely good results are obtained from one database and not so good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second database. This finding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specifically collecting data tailored to the requirements of the fuzzy logic based rapid visual screening procedure. In gener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rained fuzzy logic based rapid visual screening procedure represents a marked improvement when identifying buildings at risk. In particular, when smaller percentages of the buildings with high damage scores are extra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proposed fuzzy screening procedure becomes more efficient. This paper shows that the proposed procedure has a significant optimisation potential, is worth pursuing and, to this end, a strategy that outlines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fuzzy logic based rapid visual screening procedure is proposed.

개인정보보호 안드로이드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for privacy security Android apps)

  • 이정우;홍표길;김도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186
    • /
    • 2022
  • 최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다양한 앱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앱들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사진, 동영상, 문서 등 여러 포맷의 데이터를 암호화 및 은닉 기능을 이용하여 보호한다. 이러한 앱들을 사용하면 개인정보보호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지만, 디지털 포렌식 수사 관점에서는 조사 과정에서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안티 포렌식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은 개인정보보호 앱 중 하나인 Calculator - photo vault에 대한 역공학을 통해 접근제어 기능인 PIN을 알아내고, 암호화 및 은닉이 적용된 사진, 문서 등의 파일에 대한 복호화를 진행하였다. 또한, 암호화 및 은닉된 파일에 대한 로그가 저장된 database 파일에 대해서는 복호화를 연구함으로써 이 앱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했다.

  • PDF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 평가 (Assessment of Landslide on Climate Change using GIS)

  • ;곽한빈;이우균;박태진;권태협;박선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3-54
    • /
    • 2011
  •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의해 집중호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사태 등 자연재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산사태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응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취약성을 민감성, 노출, 적응성 규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규준에 적합한 지표에 대한 공간 정보를 GIS로 구축하였고, 그를 기반으로 과거 및 미래에 대한 전국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대부분 지역, 경기도 동부와 전라남도 동남부, 경상남도 서남부가 산사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기별 산사태 취약성은 과거에서 미래로 가면서 매우 낮음과 낮음에 해당하는 등급은 감소하고, 보통, 높음, 매우 높음에 해당되는 등급의 면적은 가까운 미래에서 큰 변화가 없으나, 먼 미래에서 확연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기반 AHP를 이용한 지진 취약성 지도제작 및 평가: 경주시를 중심으로 (A GIS-Based Seismic Vulnerability Mapping and Assessment Using AHP: A Case Study of Gyeongju, Korea)

  • 한지혜;김진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7-2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9.12 경주지진이 발생한 경주시를 대상으로 AHP와 GIS를 사용하여 지진취약성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지질공학적, 물리적, 사회적, 구조적, 수용적 요인을 주요지표로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18개의 하위지표를 선정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AHP를 사용하여 도출된 가중치는 18개 하위 지표에 적용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5가지 주요지표의 취약성 지도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5개의 지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중첩하여 최종 결과물인 지진취약성지도를 생성하였다. 취약성 지도는 5개의 범주(safe, low, moderate, high, very high)로 분류하였으며, 경주시 전체 면적 중 3%가 아주 높음(very high), 19%가 안전(safe) 지역으로 나타났다. 행정동 기준으로는 중부동, 황오동, 황성동, 성건동, 동천동이 위험지역으로, 보덕동, 강동면, 양북면, 양남면, 외동읍이 안전지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작성된 지진취약성지도는 사전에 취약지역을 파악함으로써 지진 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진 재해 관련 정책 수립 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방재관점에서의 도로 공간데이터베이스 설계 : 대피위험도를 중심으로 (Design of Road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for Urban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Evacuation Vulnerability)

  • 김지영;김정옥;김용일;유기윤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7
  • To construct road spatial information database, it is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that an analysis of road factors and furthermore this is used to the rescue activities in case of urban disasters. When urban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or explosion cause fire and collapses people of the affected region happen to evacuate. But only to manage roads and monitor traffic volume, the road data is designed and managed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so it is short that the design of road spatial data to prevent disasters.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the evaluative factors of evacuation to design database : road width, traffic volume, the fixed or movable obstacles install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at dominate the land-use planning, the uses, materials, structures, sizes, and densities of the buildings. Thus, these c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termine the disasters management planning for evacuation and rescue activities, to evaluate the riskiness, and to draw up hazard information map.

  • PDF

통합 DB의 취약점 분석 및 제어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Control by Vulnerability of Integrated Database)

  • 백종일;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3-406
    • /
    • 2011
  • 현재 DB 보안시스템에서 DB 서버의 주요정보 및 개인정보 등의 전체 오브젝트 정보를 파악하여 보안취약 오브젝트에 대한 인지 및 차단을 수행하고, 업무범위를 벗어난 접근 등에 대한 오남용을 방지하고, 보안취약점을 자체 점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 기술로 제어 불가한 DB의 보안취약 오브젝트에 대한 추출과, 추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메모리에 적재 및 오브젝트 명과 정보의 치환 분석 등의 보안 적용방안을 연구한다. 또한 보안 대상 내 주요 오브젝트의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보안 취약 오브젝트의 스캔결과 및 정책의 기본관리, 예약수행관리, 관리자 통보 등의 관리방안을 연구한다. 보안 취약에 대한 사전 차단을 위한 제어가능 시스템과의 연동은 ESM 등 정보수집 모듈과의 연동 및 보안정책 적용결과에 대한 연동 및 정책 재적용 방안을 설계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지능형 DB보안 기능구현을 가능케 할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PDF

취약성 정보를 활용한 정책 기반 보안 시스템 모델링 (Policy-based Security System Modeling using Vulnerable Information)

  • 서희석;김동수;김희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9
    • /
    • 2003
  • As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network security is increased, many organization uses the various security systems. They enable to construct the consistent integrated security environment by sharing the vulnerable information among firewall,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vulnerable scanner. And Policy-based network provides a means by which the management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largely automated. In this article we build a foundation of policy-based network modeling environment. The procedure and structure for policy rule induction from vulnerabilities stored in SVDB (Simulation based Vulnerability Data Based) is conducted. It also transforms the policy rules into PCIM (Policy Core Information Model).

지능적 취약점 DB 보안 시스템의 Smart Grid 적용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Vulnerability DB Security System apply to Smart Grid)

  • 이보만;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03-206
    • /
    • 2011
  • 차세대 전력망인 Smart Grid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다. 현재 Smart Grid는 빠른 진행 속도에 비해 보안상 취약점을 다수 내포하고 있다. 이에 Smart Grid의 보안 취약점들을 분석하고, 취약점들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며, 그에 따른 보안 정책을 개발하여, 이들을 저장하여 보안 DB를 구축하고, 보안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능적 취약점 DB 보안 시스템을 작동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다가올 보안 위협에 대응 할 수 있도록 하여 Smart Grid 시대의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