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Analysis Index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6초

Insights from existing earthquake loss assessment research in Croatia

  • Hadzima-Nyarko, Marijana;Sipos, Tanja Kalman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3권4호
    • /
    • pp.365-375
    • /
    • 2017
  • Seismic risk management has two main technical aspects: to recommend the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using earthquake-resistant designs or evaluate existing ones, and to prepare emergency plans using realistic seismic scenarios. An overview of seismic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in Croatia is provided with detail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assessment procedures: hazard, vulnerability and exposure. For Croatia, hazard is presented with two maps and it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peak horizontal ground acceleration during an earthquake, with the return period of 95 or 475 years. A standard building typology catalogue for Croatia has not been prepared yet, but a database for the fourth largest city in Croatia is currently in its initial stage. Two methods for earthquake vulnerability assessment are applied and compared. The first is a relatively simple and fast analysis of potential seismic vulnerability proposed by Croatian researchers using damage index (DI) as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the level of structural damage, while the second is the Macroseismic method.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한 시군단위별 농업가뭄에 대한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County-Based Vulnerability Evaluation to Agricultural Drou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The case of Gyeonggi-do -)

  • 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12권1호
    • /
    • pp.37-48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valuation method of regional vulnerability to agricultural drought and to classify the vulnerability patterns. In order to test the method, 24 city or county areas of Gyeonggi-do were chose. First, statistic data and digital maps referred for agricultural drought were defined, and the input data of 31 items were set up from 5 categories: land use factor, water resource factor, climate factor, topographic and soil factor, and agricultural production foundation factor. Second, for simplification of the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eventually 4 principal components which explain about 80.8% of total variance were extracted. Each of the principal components was explained into the vulnerability components of scale factor, geographical factor, weather factor and agricultural production foundation factor. Next, DVIP (Drought Vulnerability Index for Paddy), was calculated using factor scores from principal components. Last, by means of statistical cluster analysis on the DVIP,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as 5 patterns from A to E. The cluster A corresponds to the area where the agricultural industry is insignificant and the agricultural foundation is little equipped, and the cluster B includes typical agricultural areas where the cultivation areas are large but irrigation fac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 As for the cluster C, the corresponding areas are vulnerabl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D cluster applies to the area with extensive forests and high elevation farmlands. The last cluster I indicates the areas where the farmlands are small but most of them are irrigated as much.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on the Health Care Sector)

  • 신호성;이수형
    • 환경정책연구
    • /
    • 제13권1호
    • /
    • pp.69-93
    • /
    • 2014
  • 본 저자는 IPCC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취약성 지표를 선정하고 실증자료를 구축하여 전국 시군구 행정단위 수준의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를 개발하였다. 건강 취약성 지표는 선행연구와 달리 매개체 감염병, 홍수, 폭염, 대기오염/알레르기의 네 가지 건강영향별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함을 고려하여 특정 건강영향의 취약성을 여섯 가지 하부 지표(기상요소, 기후변화 건강영향(질환), 환경요소, 건강위험 취약계층, 사회여건, 보건의료체계)로 분해하여 위험요인별 기후변화 취약성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취약성 지표는 이론적 모형과 국내외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가급적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선정하였다. 지표 산출방식은 복합지표산정의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산출하였고, 이를 위하여 자료의 표준화, 가중치 계산, 산출된 지표의 합산방법 등에 신중을 가하였다. 표준화 방법으로는 자료의 극단값을 이용하는 Min-Max법을, 가중치는 위계적 계층분석법(AHP)에 의한 가중치를, 지표 합산방법은 비보상성 다기준 합산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중치 산정에 있어서 위계적 계층분석법외 예산배분법(BA)에 의한 가중치를 사용하여 가중치의 신뢰도를 고려하였다. 개별 지표는 단순 합산할 경우 지표에 따라서는 특정지표의 영향이 다른 지표에 의해 상쇄되어 버릴 수 있는 개연성을 줄이기 위해 지표의 합산과정에서 나타나는 보상성을 보정하였고, 합산방법을 달리하여 분석결과의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개발된 지표 적용결과,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이 낮은 지역은 부산광역시가 10개 구로 가장 많았고 경상남도 4개 시군구, 서울, 인천, 전라남도가 각 3곳, 경기도, 충청남도, 울산이 각각 1곳으로 나타났다. 건강영향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결과, 매개체 감염병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특히 전라도, 경상남도, 충청도 해안가를 중심으로 취약했으며, 홍수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은 남해안과 서해안, 강 주변 지역에서, 폭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은 대도시나 그 주변 지역에서 높았다. 대기오염/알레르기로 인한 기후변화 취약성은 다른 건강영향과 달리 강원도, 경상북도 이외에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등의 대도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70여 개의 시군구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 개발된 기후변화 건강 취약성 지표는 시도, 지자체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해야 하는 현시점에서 건강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며, 하부지표 또한 취약성의 중요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판단된다.

  • PDF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불확실성 분석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지역별 우선순위 결정 (Spatial prioritiz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using uncertainty analysis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 송재열;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2호
    • /
    • pp.121-128
    • /
    • 2017
  • 본 연구는 강건성 지수와 불확실성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6개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를 대상으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중 하나인 TOPSIS 기법을 이용하여 용수공급 취약성 순위를 산정하였다. 강건성 지수는 두 대상 도시의 순위가 가중치의 변화로 인해 순위역전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정량화하고 불확실성 분석 기법은 두 도시 사이에 순위역전이 발생할 수 있는 가중치의 최소 변화량을 산정한다. 그 결과 인천과 대구는 용수공급 측면에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구와 부산은 용수공급 취약성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구는 다른 대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수공급이 취약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나, 취약성에 민감하기 때문에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및 시행을 통해 취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용수공급 측면에서의 적응전략을 계획하고 수립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SR과 DPSIR을 이용한 대한민국 대설 취약성 분석 (Heavy Snow Vulnerability in South Korea Using PSR and DPSIR Methods)

  • 이근우;이형주;정건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5-352
    • /
    • 202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겨울철 자연재해인 대설 재해 위험이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강설의 특징은 지역별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으로, 대설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설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PSR 방법과 DPSIR 방법을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두 가지 평가 방법을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대설 위험지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SR 방법은 압력지수, 상태지수, 반응지수로 구분되며, DPSIR 방법은 추진력, 압력, 상태, 영향, 대책 지수로 구분된다. 각 지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계산하여 우리나라 전 지역의 대설 취약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최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한민국의 대설 피해를 기준으로 PSR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수를 비교한 결과 DPSIR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취약성 지수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설 피해 발생 시 대설 취약성 지수가 높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제설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액상화 가능 지수의 국내 하천제방 지진취약도 평가 적용성 검토 (Examination of Applicability of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to Seismic Vulnerability Evaluation of the Korean River Levees)

  • 하익수;문인종;윤정원;한진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1-4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이 홍수 때를 대비한 임시적인 기능이 크나 영구구조물이라는 기능적 특성과 길이가 매우 길다는 구조적 특성을 감안하여, 제방의 지진취약도를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제방의 지진 시 주된 파괴모드가 제체 및 기초지반의 과잉간극수압 증가로 야기되는 지반의 강도감소 및 액상화로 인한 제체 침하인 점에 착안하여, 2차원 형태의 제방단면을 1차원으로 간주하고 액상화 가능 지수를 산정한 후, 그 결과를 지진 시 하천제방의 취약도와 연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지진으로 야기된 제방 정상부의 변위와 제방의 지진취약도와의 관계를 기존 연구결과로부터 획득하였고, 2차원 동적 유효응력해석을 수행하여 산정한 제방 정상부 변위와 1차원 지진응답해석 결과를 기초로 산정한 액상화 가능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와 연계하여, 궁극적으로 액상화 가능 지수와 제방 지진취약도와의 연관성을 검토한 결과, 액상화 가능 지수를 이용한 국내 하천제방의 지진취약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ite classes effect on seismic vulnerability evaluation of RC precast industrial buildings

  • Yesilyurt, Ali;Zulfikar, Abdullah C.;Tuzun, Cuneyt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1권6호
    • /
    • pp.627-639
    • /
    • 2021
  • Fragility curves are being more significant a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quake intensity measure and the effects of the engineering demand parameter on the building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different site conditions on the vulnerability of the structures was examined through the fragility curves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strength capacities of the precast columns. Thus, typical existing single-story precast RC industrial buildings which were built in Turkey after the year 2000 were examined. The fragility curves for the three typical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s were derived from an analytical approach by performing non-linear dynamic analyses considering three different soil conditions. The Park and Ang damage index was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amage level of the members. The spectral acceleration (Sa) was used as the ground motion parameter in the fragility curv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agility curves were derived for the structures vary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The damage probability of exceedance values increased from stiff site to soft site for any Sa value. This difference increases in long period in examined buildings. In addition, earthquake demand values were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buildings and site conditions, and the effect of the site class on the building damage was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Mean Damage Ratio parameter (MDR). Achieving fragility curves and MDR curves as a function of spectral acceleration enables a quick and practical risk assessment in existing buildings.

Seismic vulnerability assessment of low-rise irregula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cumulative damage index

  • Shojaei, Fahimeh;Behnam, Behrouz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4호
    • /
    • pp.407-422
    • /
    • 2017
  • Evaluating seismic performance of urban structures for future earthquakes is one of the key prerequisites of rehabilitation programs. Irregular structures, as a specific case, are more susceptible to sustain earthquake damage than regular structures. The study here is to identify damage states of vertically irregular structures using the well-recognized Park-Ang damage index. For doing this, a regular 3-story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 is first designed based on ACI-318 code, and a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of 0.3 g. Some known vertical irregularities such as setback, short column and soft story are then applied to the regular structure. All the four structures are subjected to seven different earthquakes accelerations and different amplitudes which are then analyzed using nonlinear dynamic procedure. The damage indices of the structures are then accounted for using the pointed out damage index.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ucture with soft story irregularity sustains more damage in all the earthquake records than the other structures. The least damage belongs the regular structure showing that different earthquake with different accelerations and amplitude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ular structures.

탈수와 체질량지수 및 혈중지질 농도와의 관련성 (Correlation of Dehydration with Body Mass Index and Blood Lipid Levels)

  • 김선희;윤미은;유재현;천성수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27-38
    • /
    • 2017
  • Maintaining adequate fluid balance is essential for all biological functions in the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ulnerability to dehydration by analyzing age, gender, body mass index (BMI), and blood lipid parameters in health checkup examinees who visited Sahmyook Seoul Hospital for comprehensive health checkups. I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ratified by age and body mass index the odd ratio for dehydration was as high as 3.317 (95% CI: 1.666~6.605) in the 50s age group, 4.224 (95% CI: 2.038~ 8.755) in the 60s age group, and 4.610 (95% CI: 1.943~10.940) in the above 70s age group compared to 20s reference age group. Aged females showed greater vulnerability to dehydration with significance levels of P<0.01 and P<0.001. Compared to a normal weight (BMI: 18.5~22.9) the odd ratio was higher in males with an under weight (BMI: less than 18.5) (5.130 [95% CI: 1.631~16.132]) and in females with an over weight (BMI: 23.0~24.9) (1.500 [95% CI: 1.065~2.114]). In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vulnerability to dehydration increased with age and was higher in under weight males and over weight females than that in normal weight.

도시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CCTV 우선설치지수 개발 및 시범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CTV Priority Installation Index using Urban Spatial Big Data)

  • 김혜림;문태헌;허선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3
    • /
    • 2024
  • 방범용 CCTV는 지속적으로 증설되고 있으나 설치 위치 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부재로 범죄 발생 다발지역과 무관한 위치에 CCTV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하여 CCTV 우선설치지수를 개발하고, 사례지역에 시범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CCTV 우선설치지수는 범죄취약지수와 감시취약지수로 구성하였으며, 각각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예측한 그리드별 범죄발생건수, 가시권 분석을 통해 산출한 그리드별 감시불가면적의 비율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지수를 시범지역에 적용한 결과 CCTV 가시권 분석에 Viewshed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버퍼 기능 활용 시 감시면적이 과대 추정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지수를 적용하여 CCTV 설치 위치를 결정할 경우, 감시면적을 효율적으로 개선 가능하다. 본 연구의 CCTV 위치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사례지역에 신규 CCTV를 추가 설치할 경우, 도로면적 대비 감시면적이 43.25%에서 83.73%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CCTV 우선설치지수는 스마트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