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 Reduction

검색결과 1,750건 처리시간 0.03초

미세버블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탈황정제 연구 (Desulfurization of Biogas Using Micro Bubble in a Biogas Plant)

  • 탁봉열;탁봉식;김찬규;민길호;장춘만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18-523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reduction of a hydrogen sulfide ($H_2S$) generated from a biogas plant. Micro bubble system is adopted to supply air into the water in the reaction chamber, which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supplied air to the reserving water. Two stage reaction chambers having two reaction rooms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enhance the reduction rate of a hydrogen sulfide. Sodium hydroxide (NaOH) is also considered to get rid of a hydrogen sulfide. Air volume rate to the water in a reaction chamber is maintained between 0.5 and $1.0m^3/min$. Throughout experimental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a hydrogen sulfide by changing the volume of supplied air into the water, reduction rate of a hydrogen sulfide increases as air volume increases. Adding sodium hydroxide to the water with the air supply can reduce effectively a hydrogen sulfide up to 99.5% from biogas. It is noted that a hydrogen sulfide generated by a biogas plant can reduce by supplying micro bubble air and sodium hydroxide effectively.

공조풍량별 식생바이오필터의 입자상 오염물질 저감효과 연구 (A Study on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Effects of Vegetation Bio-Filters by Airflow Volume)

  • 최부헌;김태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9-95
    • /
    • 2021
  • As the influence of fine dust on society spreads gradually, the public's interest in indoor air is increasingly rising. Air-purifying plan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due to their natural purifying function enabled by plant physiology. However, as their fine dust reduction mechanism is limited to adsorption only, vegetation bio-filters that optimize purification effects through integration with air-conditioning systems is rising as an alternative.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standard test methods, this study looked into the fine dust reduction assessment method by air-conditioning airflow volume that can be used for the industrial spread of vegetation bio-filters. In the case of PM10 at 300 ㎍/m3, it was in the order of EG-B(3,500CMH, 29 min.) < EG-A (2,500CMH, 37 min.) < CG(0CMH, 64 min.) for reaching the maintenance level (100 ㎍/m3) of publicly used facilities. For reaching the WHO Guideline(50 ㎍/m3) requirement, it was in the order of EG-B (51 min.) < EG-A (160 min.) < CG (170 min.). In the case of PM2.5, it was in the order of EG-B (26 min.) < EG-A (33 min.) < CG (57 min.) for reaching the maintenance level (50 ㎍/m3) of publicly used facilities. It was in the order of EG-B (48 min) < EG-A (140 min) < CG (158 min) for reaching the WHO Guideline (25 ㎍/m3) requirement.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fine dust can be reduced most efficiently when the system is operated at 3,500CMH level.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ue to the absence of a way of assessing the stress of plants in vegetation bio-filters, generating optimal air-conditioning air flow of the relevant system and economics analysis against the existing facility-type air purification system have been clarified, which should be explored further though follow-up studies.

이상 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한 슬러지 발생량 저감과 바이오가스 생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ludge Reduction and Biogas Production through a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 우미희;한기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94-899
    • /
    • 2010
  • 슬러지 감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존전처리와 고 액분리조를 이용한 이상 혐기성 소화 공정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오존전처리를 통한 슬러지의 고형물 농도는 평균 TSS $8.3{\pm}2.0%$, VSS $9.2{\pm}2.8%$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농도인 TCOD는 평균 $5.1{\pm}2.4%$ 감소하는 반면 SCOD는 평균 $72.0{\pm}6.5%$ 증가하였는데, 이는 오존으로 인해 세포내의 고분자 유기물이 용출되어 가용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상 혐기성 소화 공정의 반응조별 소화가 진행됨에 따라 평균 TSS $21.5{\pm}3.4%$, VSS $20.2{\pm}8.4%$, TCOD $32.1{\pm}7.9%$, SCOD $22.1{\pm}7.2%$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최대 메탄생성량은 177.6 mL $CH_4/g$ TSS, 210.8 mL $CH_4/g$ VSS, 127.0 mL $CH_4/g$ TCOD, 1452.0 mL $CH_4/g$ SCOD이었다. 이상 혐기성 소화와 MLE 하수처리 공정의 연계처리 후 고형물 물질수지 결과 TSS 93.8%, VSS 92.0%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상 혐기성 소화 공정은 슬러지 처리 문제 해결과 신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 회수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서 향후 슬러지 감량에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배플을 적용한 Cargo용 연료탱크 내부의 슬로싱 저감 연구 (A Study on the Sloshing Reduction of a Cargo Fuel Tank with Baffle)

  • 윤보현;윤준규;임종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8호
    • /
    • pp.1074-1083
    • /
    • 2010
  • 최근 자동차, 선박, 항공기의 운행시 외력에 의해 연료탱크 내의 유체가 출렁거리는 슬로싱 현상으로 인하여 구조물 내부가 손상되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적재연료의 슬로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산유체역학적으로 유체의 거동을 정확히 해석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DINA-CFD를 이용하여 Kia 프론티어 Cargo용 연료탱크에 수직배플과 수평배플의 길이 및 개수에 따른 유체유량 및 압력의 특성을 파악하고, 코너 및 언덕 주행시 슬로싱 감소를 위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슬로싱 감소효과를 위해 배플의 최적길이는 수직배플의 경우 0.19 m, 수평배플의 경우 0.08 m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동차주행 경우에 코너주행 시는 수직배플이 수평배플보다 슬로싱 감소효과를 보이는 반면에, 언덕주행 시는 수평배플이 효과적이며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가상현실을 통한 볼륨렌더링 깊이 인식 향상 (Improvement Depth Perception of Volume Rendering using Virtual Reality)

  • 최준영;정해진;정원기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9-40
    • /
    • 2018
  • 직접볼륨렌더링(DVR)은 3차원 볼륨 데이터의 내부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2차원 디스플레이 상의 기존의 볼륨 렌더링은 광선 투사법에 의한 차원 감소로 인해 깊이 인식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이 볼륨렌더링의 유용성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조사한다. 우리는 가상 현실에서 실시간 고해상도 볼륨렌더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38명의 참가자를 통한 사용자 연구를 통해 깊이 인식의 향상에 따른 볼륨렌더링의 유용성을 측정한다. 결과는 가상 현실이 뛰어난 깊이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볼륨렌더링의 유용성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Luteinis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nalogue과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처리가 박대(Cynoglossus semilaevis)의 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teinis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nalogue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on Spermiation in the Tongue Sole, Cynoglossus semilaevis)

  • 임한규;박중열;강희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96-602
    • /
    • 2016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examine short-term effect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nd long-term effects of luteinis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analogue (LHRHa) on milt production of the tongue sole Cynoglossus semilaevis. In the first experiment, each fish was implanted with a blank cholesterol pellet (control), 100 and $200{\mu}g$ LHRHa per kg body weight. In the second experiment, fish were injected with either 100, 200, 400 and 800 IU hCG per kg body weight or same volume of marine fish Ringer's solution. In the first experiment, milt volume was increased in male implanted with $200{\mu}g$ LHRHa pellet compared with other groups at day 10. Injection of 400 and 800 IU hCG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milt volume at hour 96 after the treatment. Although statistical difference is unable to confirm because of small milt volum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rmone pellet-treated groups had a reduction in the mean spermatocrit (Sct) and sperm concentration (Sc).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milt volume is at least partially gonadotropin (GtH)-dependent and increased milt volume has a relationship with milt hydration.

자궁선종을 동반한 자궁근종에서 자궁동맥 색전술을 이용한 치료의 효과 (Uterine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Leiomyomas Accompanying with Adenomyosis)

  • 장진범;배상욱;임재학;이도연;김정연;정경아;김세광;박기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3호
    • /
    • pp.215-223
    • /
    • 200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guideline of uterine artery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s accompanying with adenomyosi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We performed the retrospective study for 37 women who had uterine leiomyomas accompanying with adenomyosis. Bilateral uterine artery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37 patients (age range 25-65) during 17 months with pain, hypermenorrhea, urinary frequency etc due to leiomyomas. Ultrasound imaging was performed before the procedure and at mean 6.9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All procedures were technically successful. Mean clinical follow-up was 12.8 months. Minor complication occurred in 82% patients after the procedure. After imaging follow-up (mean, 6.9 months postprocedure), median uterine volume decreased 34.4%, and dominant myoma volume decreased 8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uterine volume reduction and dominant myoma size reduction whether occluding agents was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lus gelfoam, and gelfoam, and whether ultrasound measured Resistance Index value before the procedure was low or high. Conclusion: Primary candidates for uterine artery embolization include those with symptomatic uterine leiomyomas who no longer des ire fertility but wish to avoid surgery or are poor surgical risks. To our study, uterine volume reduction and dominant myoma size reduction in patients who had adenomyosis were similar to previous other studies in patients who had not adenomyosis. Therefore adenomyosi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contraindication for uterine artery embolization.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about subsequent reproductive potential after this procedure, it should not be routinely advocated for infertile women. Further investigation is warranted for occluding agents and Resistance Index.

  • PDF

중금속오염 토양의 자기분리에 의한 오염농축효과 (Concentrating Effect of Heavy Metals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Magnetic Separation)

  • 김지은;김정진;김영훈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1-320
    • /
    • 2014
  • 슬래그를 매립한 토양을 대상으로 자기분리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세척을 거친 토양과 토양세척 전 토양을 대상으로 습식자기분리와 건식자기분리를 수행하여 분리된 부분과 분리되지 않은 부분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여 중금속의 농축효과를 측정하였다. 습식자기분리의 경우 토양세척 전 시료의 자력분리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토양세척 후 시료의 경우 약 40% 정도가 자기분리 되었다. 토양 : 물의 비가 농축효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Fe, Pb, Cu, Zn, Cd의 세척 전 토양과 세척 후 토양의 자기분리에 의한 평균 농축비는 3.2, 2.1, 12.1, 2.5, 1.5와 17.4, 7.0, 15.7, 9.6, 7.0으로 토양 세척을 거친 경우 자기분리에 의해 토양 세척 전 토양에 비해 더 큰 토양 부피 감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건식자기분리의 경우에도 자기분리에 의해 중금속의 농축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자기분리에 의한 회수율이 너무 높은 경우 오염토 저감을 기대하기 어렵다. 철과 같은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토양의 경우 자기분리에 의해 토양세척의 효과와 유사하게 오염토양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오염이 한쪽에 농축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중증 폐기종 환자에서의 폐용적 감축술, 7례 (Lung Volume Reduction Surgery in Patients with Severe Emphysema, 7 cases)

  • 진웅;이선희;김시훈;왕영필;조규도;박재길;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43-548
    • /
    • 1999
  • 배경: 폐용적 감축술은 말기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폐장이식의 대치술 혹은 전단계 시술로 최근 이용되고 있는 술식이다. 또한 심한 폐기종환자에서 종양이 동반되는 경우, 종양절제술과 동반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폐종양 절제술을 동시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7례의 폐용적 감축술후 평균 21개월간의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6월까지 수술당시 폐 종양이 의심되었던 환자 2례를 포함하여 만성폐기종환자 7명에서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검사는 3개월, 6개월, 1년, 2년에 각각 시행하였으며 현재까지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술후 사망은 술후 13개월에 뇌 전이를 동반한 평편상피암이 좌상엽에서 발견된 환자 1례에서 있었다. 나머지 6례의 환자는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 중으로 현재까지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폐용적 감축술은 심한 폐기종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며 앞으로 적절한 적응증이 확인되고 장기성적이 보고되는 등의 계속적인 연구 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폐 기능의 여유가 없는 폐기종환자의 초기 폐종양치료에 술후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하여 종양절제술과 동시에 폐용적 감축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암의 방사선치료 시 호흡운동 감소장치(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Use of 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 in Treatment of Hepatoma)

  • 이석;성진실;김용배;조광환;김주호;장세경;권수일;추성실;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19-326
    • /
    • 2001
  • 목적 : 폐, 간 등의 상 복부에 위치한 종양의 방사선 조사 체적은 호흡에 의한 종양의 이동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조사 체적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방사선 독성 및 정상조직 선량이 증가되며, 호흡으로 인한 환자자세의 변화로 인해 종양의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에 따른 장기 움직임 유형을 분석하여 호흡에 의한 장기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호흡운동 감소장치를 고안하고 방사선치료 시 호흡운동 감소장치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간암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MeV-Green과 벨트, 스티로폼판 등을 사용하여 호흡운동감소장치(respiratory motion reduction device, RRD)를 제작하였다. 내부장기의 이동정도는 모의치료 시에 관찰된 횡경막의 이동 정도로 평가하였으며 앙와위와 복와위 및 RRD의 사용 시 이동정도를 쏠아보았고, 각각의 경우에서 이동정도를 고려하여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을 통해서 전체 간 용적 중 처방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간 용적을 구하였다. 결과 : 호흡에 따른 횡경막의 평균이동거리는 앙와위 자세에서 $16{\pm}1.9\;mm$ 이었고, 복와위 자세에서는 $12{\pm}1.9mm$임을 알 수 있었다. 복와위 자세에서 본원에서 자체 제작한 RRD를 사용한 경우에는 $5{\pm}1.4\;mm$으로 감소되었고, 벨트 고정장치의 추가 사용 시에는 $3{\pm}0.9\;mm$으로 감소하여 총 9 mm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계획에 따른 DVH에서 처방선량의 $50\%$가 조사되는 정상간의 용적은 호흡운동감소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앙와위 자세에서 $43.7\%$, 복와위 자세에서 $40\%$ 이었고, 호흡운동 감소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복와위 자세에서 $30.7\%$, 여기에 벨트 고정장치를 추가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1\%$로서 전체 간 용적 중 방사선에 조사되는 정상 간 용적은 최대 $22.7\%$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호흡에 따른 내부장기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RRD를 사용하여 정상조직에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