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1초

반도체 클린룸용 세라믹 Rotor 흡착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Absorption Elements of Ceramic Rotors for the Semiconductor Clean Room System)

  • 서동남;하종필;정미정;문인호;조상준;김익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33-40
    • /
    • 2000
  • 본 연구는 반도체 크린룸에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로타에 관한 것이다. 흡착로타는 세라믹 페이퍼 허니컴 기질에 NaX 제올라이트와 TS-1 제올라이트로 만들어졌다. NaX 제올라이트는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되어졌으며, NaX 제올라이트 결정(2∼3 ㎛)을 seed로 합성 조성에 3∼5 wt%까지 첨가하여 5 ㎛의 균일한 NaX 제올라이트를 성장시켰다. Seed의 첨가는 seed를 첨가하지 않은 합성용액과 비교하여 결정의 크기가 크며, 균일한 NaX 제올라이트 결정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TS-1 제올라이트는 초기 반응액의 pH를 변화시켜 합성하였다. 반응물의 pH는 10.0에서 11.5 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PH 10.4에서 큰 기공(8∼10 (equation omitted))을 가진 TS-1 제올라이트(ETS-10)가 합성되는 반면 pH가 11.5에서는 작은 기공 (3∼5 (equation omitted))을 갖는 TS-1 제올라이트(ETS-4)가 합성되었다.

  • PDF

전자빔을 이용한 흐름반응기에서의 Trichloroethylene/Air 분해 (Decomposition of Trchloroethylene/Air Mixture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in a Flow Reactor)

  • 원양수;한도홍;박완식;;이홍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7-104
    • /
    • 2001
  • Decomposition of trichloroethlyene(TCE) in electron beam irradiation was examined o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of VOC in air. Air containing vaporized TCE has been studied in a flow reactor with different reaction environments, at various initial TCE concentration an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water vapor. Maximum decomposition was observed in oxygen reaction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decomposition was about 99% at 20kGy for 2,000ppm initial TCE. The concentration of TCE exponentially decreased with dose in air and pure oxygen. The effect of water vapor on TCE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examined. The decomposition rate of TCE in the presence of water vapor (5,600 ppm) was approximately 10% higher than that in the absence of water vapor. Dichloroacetic acid, dichloroacethyl chloride and dichloroethyl ester acid were identified as primary products of this reaction adn were decomposed and oxidized to yield CO and $CO_2$. Perchloroethylene, hexachloroethane, chloroform and carbon tetrachloride were also observed as highly chlorinat-ed by products.

  • PDF

신축아파트의 실내거주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reasement of the Indoor Amenity on the New Apartment)

  • 강현수;김성웅;조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3-166
    • /
    • 2005
  • Amenity is an essential factor of Modern Apartment. But because of many chemical products and nox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VOC) used in the apartment, many people are exposed to them. This fact implies that there can be many disease caused by them. Therefore to reduce pollutant matters inducing sick house syndrom, measures for new furniture and apartment dweller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 PDF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VOC gas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estimation at field screen using E-Nose System

  • Kim, Jeong-Do;Byun, Hyung-Gi;Ham, Yu-Kyung;Lee, Jun-Sub;Shon, Won-Ryul;Heo, Nam-Up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61.3-61
    • /
    • 2001
  • Field screening for pollutants has been a target of instrumental development for number of years. An electronic nose can be of substantial benefit to rapidly localize the spatial extent of a pollution or to find pollutant source. Although an electronic nose cannot separate complex composition into the whole spectrum of present volatile organic compound(VOC) in pollutants such as Gas chromatography(GC), qualitative and semi-quantitative chemical characterizations are rapidly available on site at a low cost using the optimum sensory system an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neural network.

  • PDF

아세톤 누출사고 예방을 위한 아세톤 가스 조기감지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y Acetone Gas Detection to Prevent the Acetone Leakage Accident)

  • 전승진;최영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0-35
    • /
    • 2023
  • Acetone is a widely used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in industries and laboratories. However, acetone affects human health adversely and causes fires and explosions. Early acetone detection and improved personnel training in safety and emergency management are necessary to prevent acetone-related accidents. The multi-VOC acetone detectors used currently have a sensitivity and selectivity limit. In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Pt-loaded iron oxide (a metal oxide semiconductor) conversely, has high detection and selectivity for very low-levels of acetone gas. The loaded Pt catalyzes the reaction between the sensing materials' surface and the oxygen molecules in the air; this optimizes acetone detection and can decrease acetone-related illnesses, fires and explosions.

지하시설 VOCs 제거를 위한 메탈 필터의 흡착기능부여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dsorption Function in Metal Filter for the Removal of VOCs in Underground Facilities)

  • 장영희;이상문;양희재;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633-638
    • /
    • 2019
  • 실내공기질 중 지하시설은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의 처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이를 환기와 같은 확산법이 아닌 오염물질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조, 활성화법을 이용해 메탈 필터에 흡착성을 부여한 제올라이트 코팅 흡착 필터소재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메탈폼 지지체 대비 약 2~20배 이상 흡착 성능의 증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공의 증진에 기반함을 SEM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리그닌을 첨가함에 따라 13.95 mg/g의 흡착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세척 후에도 평균 13.25 mg/g의 유사한 흡착 성능을 확보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진 흡착 필터소재를 제조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흡착 필터소재는 지하시설 내 기계적 환기로의 농도 저감이 아닌 근본적으로 VOCs를 제어할 수 있는 해결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Arabidopsis thaliana as Bioindicator of Fungal VOCs in Indoor Air

  • Lee, Samantha;Hung, Richard;Yin, Guohua;Klich, Maren A.;Grimm, Casey;Bennett, Joan W.
    • Mycobiology
    • /
    • 제44권3호
    • /
    • pp.162-170
    • /
    • 2016
  •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ability of Arabidopsis thaliana to detect different mixtur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by the common indoor fungus, Aspergillus versicolor, and demonstrate the potential usage of the plant as a bioindicator to monitor fungal VOCs in indoor air. We evaluated the volatile production of Aspergillus versicolor strains SRRC 108 (NRRL 3449) and SRRC 2559 (ATCC 32662) grown on nutrient rich fungal medium, and grown under conditions to mimic the substrate encountered in the built environment where fungi would typically grow indoors (moist wallboard and ceiling tiles). Using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e analyzed VOC profiles of the two strains. The most abundant compound produced by both strains on all three media was 1-octen-3-ol. Strain SRRC 2559 made several terpenes not detected from strain SRRC 108. Using a split-plate bioassay, we grew Arabidopsis thaliana in a shared atmosphere with VOCs from the two strains of Aspergillus versicolor grown on yeast extract sucrose medium. The VOCs emitted by SRRC 2559 had an adverse impact on seed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Chemical standards of individual VOCs from the Aspergillus versicolor mixture (2-methyl-1-butanol, 3-methyl-1-butanol, 1-octen-3-ol, limonene, and ${\beta}-farnesene$), and ${\beta}-caryophyllene$ were tested one by one in seed germination and vegetative plant growth assays. The most inhibitory compound to both seed germination and plant growth was 1-octen-3-ol. Our data suggest that Arabidopsis is a useful model for monitoring indoor air quality as it is sensitive to naturally emitted fungal volatile mixtures as well as to chemical standards of individual compounds, and it exhibits relatively quick concentration- and duration-dependent responses.

메탄올의 촉매연소에 대한 금속-프탈로시아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Phthalocyanine for Catalytic Combustion of Methanol)

  • 서성규;윤형선;이선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09-1816
    • /
    • 2000
  • 본 연구는 상압유통식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석유화학공단에서 주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인 methanol의 연소에 대한 다양한 금속-프탈로시아닌의 촉매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Co-PC의 촉매활성은 air+methanol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경우가 air만으로 전처리한 경우보다 더 높았으며, 금속-PC의 촉매활성은 metal free-PC < Zn-PC < Fe-PC < Cu($\alpha$)-PC < Co-PC의 순서 였다. TG/DTA 분석 결과, 금속-PC 의 열분해 용이 성은 metal free-PC < Zn-PC < Cu($\alpha$)-PC < Co-PC < Fe-PC의 순서로 나타었으며, 금속과 프탈로시아닌의 결합특성에 따른 차이로 판단된다. XRD 및 EA 분석결과, 전처리한 후의 Zn-PCS와 metal free-PC는 원래의 결정구조가 거의 유지되었지만, Co-PC, Cu($\alpha$)PC 및 Fe-PC는 원래의 결정구조가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처리한 후의 Co-PC는 금속산화물인 $Co_3O_4$의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Co-PC의 촉매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Co-PC 상에서 methanol의 촉매연소는 반응물의 농도가 높거나 접촉시간(W/F)이 짧을 경우, 중간생성물로서 HCHO 및 $HCOOCH_3$가 관찰되었다.

  • PDF

저온농축열탈착 시스템을 연계한 유기지방산의 분석법 평가 및 검토 (A study of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atty acids (VFA) by cryogenic trapping-thermal desorption (CT-TD) technique)

  • 안지원;김기현;임문순;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200-2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하여, 4가지 유기지방산 및 9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13가지 성분의 분석기법을 비교연구하였다.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한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5가지 흡착소재 각각에 대해 5점 검량에 기초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에서 Carbopack X를 충진한 고체흡착관의 response factor (RF)가 가장 높은수준을 유지하면서, 유기지방산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동시분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enax TA 단일소재를 제외하면, 조사에 이용한 대부분의 흡착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농축열 탈착법의 검정을 위한 임의의 방안으로 기체상 표준시료를 저온농축열탈착법과 알칼리흡수법으로 동시에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에서 저온농축열탈착법 대비 알칼리흡수법의 비율 (T/S비)이 0.46 (valeric acid)~0.71 (isovaleric acid)으로 나타나 저온농축열탈착법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보다 안정적인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지속한다면, 유기지방산의 분석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VOC 제거를 위한 상압플라즈마 발생장치 개발

  • 최성창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53-553
    • /
    • 2013
  • 상압 플라즈마 기술은 표면처리, 온존 발생장치,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제거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상압플라즈마 기술 또한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Griding Arc, SDIP (Surface Discharge Induced Plasma) 등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져 왔다. VOC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플라즈마 기술중 특히 BDB 방법과 SDIP 기술들은 플라즈마에 의한 VOC 분해 뿐만 아니라 오존 발생을 통하여 VOC성분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효율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BDB 방전의 경우 방전이 발생하는 간격이 매우 작아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좁은 유로를 통하여 일정넓이를 이동하여하 하기 때문에 압력감소가 심하며 이를 개선하기위해 다단으로 설계할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면 전극이 마주보는 형태로 된 DBD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빗살무늬 모양의 다층구조의 선형전극으로 구조를 변화시켜 전극에 의한 압력감소를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플라즈마 및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는 VOC제거용 상압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발생 및 오존발생량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SDIP 장치 또한 제작하여 비교 평가를 하였다. 제작된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60 Hz와 20kHz의 교류 고압파워 서플라이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발생실험을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60 Hz의 고압 파워 서플라이를 이용하여도 플라즈마 방전이 잘 된다고 보고되었는데 본 실험에서 60 Hz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할 경우 15 kV 이상이 인가될 때 아주 약하게 오존이 발생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육안으로 구분이 될 만큼의 플라즈마 방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20kHz의 고압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한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전압인 7 kV에서 방전이 관찰되었으며 분당 22 mg의 오존이 발생하였다. SDIP를 이용한 경우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조건은 SDIP의 기하학적 형상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본 실험에 SDIP 장치는 매우 낮은 전압에서 방전을 시작하였다. 기존의 DBD와는 다르게 1.7 kV에서 플라즈마 발생하였으며 1.8 kV에서 정상적인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였다. 이때 분당 3.1 mg의 오존이 발생하였다. 오존 발생양은 앞에 빗살형 플라즈마 방전장치에 비하여 낮은데 인가되는 전력을 고려하면 입력된 전기 에너지당 오존발생양은 비슷한 수준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