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부산지역 광화학 오존 생성 regime 분석 - 수도권과 비교연구 (Ⅳ) (Analysis of Photochemical Ozone Formation Regime in Busan - Comparative Study on Busan vs. Seoul Metropolitan Area(Ⅳ))

  • 백승희;이효정;김철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85-301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ozone (O3) formation regimes in Busan over a period of recent five years (2015~2019) and compared the findings with those obtained in Seoul. We employed four observed variations: early morning commuting-hour (i.e., 06:00-09:00 LST) nitrogen dioxide (NO2), peak-hour (i.e., 12:00-16:00 LST) O3, 8-hour average O3 (MDA8 O3), and △O3 (=O3_max- O3_min) in Busan and Seoul. In addition, the NO2-O3 relation was assessed to interpret which of NOx-limited or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limited was dominant. In Busan, the annual mean O3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in Seoul, whereas there were fewer high-concentration day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Early morning-hour NO2 and the Peak-hour O3 was positive (but close to zero) in Busan and negative in Seoul. Likewise, the R between the Early morning-hour NO2 and the △O3 showed a relatively considerable positive correlation (R=+0.4~0.5)(R=+0.4~0.5) in Busan, while a weak positive correlation (R=+0.1~0.2) in Seoul. From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3 formation regime in Busan was intrepreted to be nearly neutral or relatively closer to the NOx-limited regime than Seoul, while Seoul to the VOC-limited regime. The study findings imply that O3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in Busan and Seoul. The results here were inferred from surface NO2 and O3 observations, and the varification studies based on in-situ VOCs measurements would be needed.

강인한 바이오필터설계를 위한 바이오필터모델: 2. 동적 바이오필터모델 (Biofilter Model for Robust Biofilter Design: 2. Dynamic Biofilter Model)

  • 이은주;송혜진;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55-161
    • /
    • 2012
  • 바이오필터에서 폐가스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을 제거하는 효율에 대한 미디움 흡착능력의 영향을 포괄하는 강인한 동적 바이오필터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특히 비정상상태의 운전 조건 하에서도 바이오필터에 의해 처리된 폐가스 내의 유기오염물 농도를 구하기 위한 바이오막, 가스상, 수착(sorption) 부피 및 흡착상의 네가지 모델요소로 구성된 독창적인 모델인 개선된 프로세스럼핑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프로세스럼핑모델에서는 담체에 대한 VOC의 평형 흡착량이 담체의 수착부피 내의 용존 VOC 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는 가정 하에서 식을 유도하였으므로, 폐가스 처리에 적용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실제 적용을 위해서 Freundlich 식과 같은 흡착관계식을 프로세스럼핑 모델에 접합하여 모든 농도의 VOC의 경우에 유효한 강인한 프로세스럼핑 모델을 구축하였다. 프로세스럼핑 모델 파라미터 중에서 바이오필터 미디움의 흡착과 관련한 파라미터 값들을 선행논문의 동적 흡착칼럼실험 및 문헌을 통하여 구하였다. 또한 에탄올을 포함한 폐가스처리를 위한 비정상상태의 바이오필터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실험결과와 여러 가지 Thiele modulus(${\phi}$) 값을 가지는 동적 바이오필터모델링 예측 값과 비교하였다. 이때에 구하여진 Thiele modulus(${\phi}$) 값은 0.03에 근접하였다.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막을 이용한 저농도 Dichloromethane 수용액의 투과증발 (Pervaporation Separation of Trace Dicholoromethane from Water Using Fluorinated Polysiloxaneimide do Membranes)

  • 김정훈;장봉준;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84-190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일종인 dichloromethane(DCM)을 물로부터 투과증발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연한 사슬을 갖는 diamine-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SIDA)과 경직된 구조를 갖는 불소계 방향족 디아민 단량체(2-(perfluorohexyl)ethyl-3,5-diaminobenzene PFDAB)과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6FDA)를 이용하여 일련의 소수성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제조하여 다이아민의 구성성분에 따른 분리능의 변화를 상온에서 관찰하였다. 공중합체 막 내의 다이아민 성분 중 SIDA의 함량은 0, 25, 50, 75, 100 mol%로 조절되었으며, 원액의 조성은 DCM 0.05 wt%를 사용하였다. 소수성이 높고 자유부피가 큰 SID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수성 용매인 DCM의 수착도 및 수착선택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확산계수 및 확산선택도 또한 증가하여 궁극적으로는 투과플럭스와 투과선택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량 산정 및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A Study on Process Integrated Innovation System for a LNG Industry)

  • 이종협;박현수;이선우;김화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주요 취급시설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배출원별 배출메카니즘을 정립하고, 새로운 배출량산정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배출원에 적용가능한 배출저감기술과 각 기술의 경제성 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에 배출원 DB, 화학물질물성치 DB, 기상정보 DB, 배출계수 DB 등의 정보를 연계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배출량산정 및 관리 소프트웨어 VEER(VOCs Emission Estimation and Reduction)를 개발하였다. 결국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VEER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취급업체, 관리기관, 연구기관 등에서 쉽고 정확하게 배출원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배출량을 산정하며,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배출원의 배출유량과 농도에 적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배출 저감기술을 선택하고, 여러 저감기술들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함으로써, 저비용의 배출량 저감 및 배출원 관리기술을 선택하고,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isplay 제조공정 배출가스 처리를 위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전처리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Pretreatment Device for Removing Exhaust Gas from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 문기학;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523-5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반도체 및 display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문제가 되고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전처리에 관해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VOCs 처리 설비인 직접연소장치에 사용되는 농축기는 display 제조 공정 내 배출가스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성능저하를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VOCs의 처리 효율을 떨어뜨린다. 배출가스 성분 분석 결과 고비점, 고점도, 고분자량의 Alcohol류 및 Oil 성분이 다량 검출되었다. 이에 전처리 설비 내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농축기 성능저하 물질을 응축시켜 처리하고자 하였고, 대부분의 물질을 90% 이상 처리하였다. 또한 열교환기에서 재 비산되는 고분자 Oil 등은 후처리 설비로 Grease Filter를 장착하여 대부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전가열물질을 코팅한 활성탄소섬유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 및 마이크로파 인가에 의한 탈착 연구 (A Study on Adsorp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by Activated Carbon Fiber Coated with Dielectric Heating Element and Desorption by Applying Microwave)

  • 김상국;장예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32
    • /
    • 2009
  • Adsorption of toluene by activated carbon fiber (ACF) coated with dielectric heating element and desorption by applying microwave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prepare adsorbent so that VOC can be desorbed by microwave heating, fine dielectric heating element with nano size wa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ACF using hybrid binder. Eight adsorbents (ACF-DHE, Activated Carbon Fiber coated with Dielectric Heating Element)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dielectric heating element, kinds of hybrid binder, and solvent. In order to investigat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ET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average pore size were measured for each adsorbent including ACF. Breakthrough experiments with toluene concentration, flow rate, bed length using fixed bed reactor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adsorbality of adsorbent,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ACF. Desorption reactor was constructed with modified microwave oven to investigate heating effect on ACF-DHE by applying microwave power. Each adsorbent saturated with toluene were put into desorption reactor. Composition of desorbed gas generated by applying controlled microwave power to reactor was measured. Up to now, hot air desorption method has been us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desorption method with new adsorbent prepared by coating dielectric heating element on ACF can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Vegetable Oil Esters에 따른 Offset 잉크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The Variation of Offset Ink Properties according to the Vegetable Oil Estersr)

  • 박정민;김성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
    • /
    • 2012
  • According as gradually increasing the demand for eco-friendly at the printing process, it has been progressed fairly development. Especially, the inks are used by soy oil beginning of ink industry for prevent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make eco-friendly inks with vegetable ester. So it is not necessary to use petroleum-based solvents at all for preventing environment. These eco-friendly inks have a benefits they are able to use the renewable resource. But basically vegetable oils have that reduce the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high viscosity, high solubility properties. So if the vegetable oils use in the ink, set off problem occur on the paper because of slow drying time. In case of vegetable ester, it has similar the molecular weight and kinetic viscosity with hydrocarbon solvent, it is able to control the power of dilution about the resin. So, it has benefit that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eco-friendly inks.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ester were made by six types of vegetable oils and used ester in the varnishes and inks properties are comparison with hydrocarbon solvent based ink. By consider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vegetable oil, ester used to analyze the changes in ink properties, using ester varnish is applied to study the rheology characteristics and emulsification with inks.

굴패각 배합 석고재료의 열전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rmal Conduction in Oyster Shell Incorporating Gypsum Objects)

  • 권성현;조대철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90-94
    • /
    • 2013
  • 굴 패각분말을 함유한 석고시험체를 통하여 1차원 열전달 특성을 조사하였다. 굴패각 성분의 함유량이 늘어날수록 기공을 포함한 시험체의 구조적 변형에 근거하여 흡착과 같은 물리화학적 특성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체 전체의 열전달 특성도 달라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푸리에(Fourier) 열전도 방정식을 기초로 하여 1차원 슬랩의 열전도 현상을 수치모사한 결과 패각분말의 배합도 및 각 성분재료의 열전달관련 물리적 계수에 따라 상당한 열전도 분포의 변화를 관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 모형실험 결과와도 잘 부합하였다.

디지털 프린팅용 글래스-세라믹 복합 잉크 제조 및 특성 평가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Glass-Ceramic Ink for Digital Ink-jet Printing)

  • 권종우;이종흔;황광택;김진호;한규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583-589
    • /
    • 2017
  • Ceramic ink-jet printing has become a widespread technology in ceramic tile and ceramicware industries, due to its capability of manufacturing products on demand with various designs. Generally, thermally stable ceramic inks of digital primary colors(cyan, magenta, yellow, black) are required for ink-jet printing of full color image on ceramic tile. Here, we synthesized an aqueous glass-ceramic ink, which is fre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VOC) evolution, and investigated its inkjet printability. $CoAl_2O_4$ inorganic pigment and glass frit were dispersed in aqueous solution, and rheological behavior was optimized. The formulated glass-ceramic ink was suitably jetted as single sphere-shaped droplets without satellite drops. After ink-jet printing and firing processes, the printed glass-ceramic ink pattern on glazed ceramic tile was stably maintained without ink spreading phenomena and showed an improved scratch resistance.

친환경 실내 디자인 소재 개발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the Eco-friendly Materials for the Interior Design)

  • 성낙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09-21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실내디자인의 친환경 소재로 응용할 수 있는 한지, 옻, 숯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 물질을 제안하였고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전자파 차폐 및 심미성 증대를 위한 이미지월 디자인의 예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전자파 차폐 물질은 한지 위에 옻과 숯을 도포하여 두께 2.0 mm의 시료로 제작되었고, 직류 전원에서 2 GHz의 교류에 대해 95% (13 dB 이상) 이상의 전자파 차폐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친환경 소재의 전자파 차폐 물질을 벽지나 아미지월에 적용하여 실내 디자인에 활용함으로서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인체의 유해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소재를 통해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과 같은 각종 유해 화학물질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