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31초

전자상거래관리사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for Qualification Item of Electronic Commerce in National Technology Qualification)

  • 황석해;조정윤;김덕기;박종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4권2호
    • /
    • pp.45-56
    • /
    • 2001
  • 이 연구는 전자상거래 관리사의 자격검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격의 구체적인 구조와 내용의 설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넷 전자상거래 개요 및 현황, 기술적 특성, 그리고 인터넷 상거래 관련 법 등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관련 분야의 현장 전문가와 교육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관리사 자격의 구조와 내용을 설계하였으며, 자격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 및 면담, 그리고 데이컴 법(DACUM: Developing A Curriculum)에 의한 직무분석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 PDF

가사$\cdot$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활설화 방안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 윤인경;김선태;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7-1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현행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 설문조사, 면담조사가 활용되었으며 설문조사는 교사용과 학생용을 개발 $\cdot$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에는 통계 패키지 SPSS ver10 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진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사 $\cdot$ 실업계 분야 직업교육과 관련되는 사회 경제적 변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한 가사 $\cdot$ 실업계 교육의 변화. 외국의 가정계 직업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실태 분석을 위하여 학교 및 학생 현황과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의 주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 전반과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가사 $\cdot$ 실업계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운영체제(3개항). 교육과정 운영(5개항) 교원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4개항), 행 $\cdot$ 재정적 측면(3개항)으로 구분하여 총 15개항을 제시하였다.

  • PDF

환경산업에서의 교육$\cdot$훈련 요구 조사 분석 (A survey on the re-training need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 나영선;박종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6권1호
    • /
    • pp.48-60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an analysis on the re-training needs in for environmental sector as well as on the current status on the employment of technician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The questionnaires of 450 technicians employed in 993 environmental businesses are collected. The survey questions were composed mainly of current status on the employment of technicians in the environmental field, specialty and duty in the working place, the relations with a licence, the level of satisfactory to duties and intention to leave hls/her job, difficultles in the working coditions, experiences of training related environmental techniques during a recent year, and the needs of re-training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The policies on custom-oriented retraining and technical education, on the curricula by sector, on the establishment of retraining.

  • PDF

직업훈련생 평가 데이터와 취업 결과의 상관관계: 머신러닝 모델을 통한 예측 방안 연구 (Correlation between Vocational Training Evaluation Data and Employment Outcomes: A Study on Prediction Approaches through Machine Learning Models)

  • 천재성;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291-296
    • /
    • 2024
  •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훈련생의 사전 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직업 훈련 후 취업 결과를 예측하는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훈련생의 성별, 연령, 장애 유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개인적 특성을 포함한 데이터 세트에 기반하여, 가장 적합한 머신러닝 모델들을 선별하고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전 평가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장애인 훈련생의 취업률 및 직업 만족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직업훈련생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는 맞춤형 직업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구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더 나은 취업 결과와 직업 만족도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m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 이성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94-3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분야에서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훈련에 20여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A 교사를 내러티브 연구방식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문제인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입직전, 입직, 성장, 성숙의 시간적 흐름을 거치면서 총 12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고, A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교사교육경험이 직업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근무한 기간, 소속된 기관 등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책과 이슈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하겠다.

네팔의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쟁점 및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Technic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EVT) in Nepal)

  • 쿨 바스넷;은태욱;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9-395
    • /
    • 2009
  • 네팔 국민의 30% 이상은 빈곤 수준 이하로 살고 있다. 15-24살 젊은이의 실직과 불완전고용 비율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국민들은 진로를 위한 기능 습득을 단념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빈곤자, 여성, 불우한 사람들은 기능 훈련의 접근이 제한적이며, 기능 훈련의 질은 가변적이며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좀 더 관련 있고 시장 중심의 훈련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업교육과 직업훈련 영역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공업 분야의 기능화된 인력과 실직 문제의 국가적인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난 20여 년 동안 공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제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초기에 TEVT 영역의 잘못된 조직과 관리, 훈련 프로그램과 노동 시장 요구의 적절한 연계성 부족, 적합한 기자재와 수업 자료의 부족 및 불충분하게 훈련된 교사들 때문에 대부분 혼란스런 결과를 낳았다. 네팔의 TEVT 영역의 선도적인 기관으로서 공업교육훈련원(CTEVT)이 사회적으로 무시되고 제한된 서민 수준에서의 빈곤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사회 기반의 직업 훈련에 집중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CTEVT와 TEVT 전문가들을 위한 기회일 뿐만 아니라 커다란 도전이다.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Quality Culture for Total Quality Management: A Case Study in Vocational Education

  • Lam Victor MY;Poon Gary KK;Chin KS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7권1호
    • /
    • pp.195-205
    • /
    • 2006
  • Both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and learning organization (LO) appear to be promising approaches for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owards a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responsive organization in the past.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and theory supports for these two fields are distinct but they appear to have more in common than they have in distinctiveness. However, there is little synergy developed between these two fields both in academic research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t is possibly due to the fact that both the academia and industry are taking a limiting polarized view of TQM and LO and hence not getting the benefits of linking the two.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a link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the quality culture for TQM implementation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largest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e Vocational Training Council, of Hong Kong. The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quality culture. The exploratory explanations for the links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constructs and the quality culture construct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other literatures that TQM should be embedded in LO and serves as an enabler for organizational learning (OL) in transforming and creating organizations which continuously expand their abilities to change and shape their future.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Analysis of Perceptions on Accredit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 고혜원;이철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94-704
    • /
    • 2021
  • 정부가 지원하는 직업훈련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2015년부터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증평가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와 이 제도에 대한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의 인식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를 일찍부터 활발히 운용해 온 독일과 영국 등의 유럽 제도 및 국내의 관련 제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자 131명과 직업훈련기관 37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의 기준이나 인증평가 절차의 변화는 현재 시점에서 크게 요구되지는 않으나 직업훈련기관의 자체적인 품질관리시스템을 장기적으로는 요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모두 인증평가를 통하여 직업훈련기관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응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한 직업훈련기관 중심의 직업훈련 실시강화, 근로자 대상의 단기간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간소한 인증평가 제도의 도입, 인증기간 중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의 강화, 직업훈련 성과 중심의 인증평가 제도 운용 등과 같은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반도체분야 공과대학 산업기여도 평가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Evaluation on the Contribution Made by Engineering Colleges to Industry -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Technology)

  • 박종성;주인중;김현수;정연배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8-29
    • /
    • 2009
  • 본 연구는 반도체 설계 공정 분야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스킬에 대하여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이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과대학 산업기여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관련된 내용은 교육과정 반영정도는 높으나, 스킬과 관련된 내용은 반영정도는 낮았고,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스킬이 대학에서 교과목으로 개설된 정도에 비해 졸업생들의 이수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계 요구 지식 스킬에 대한 졸업생의 업무활용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고, 기초역량에 비하여 직무역량이 대학교육에서의 습득정도가 다소 낮았으며, 대학별 평가결과, 학교간의 역점을 두는 교육과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국외연수 참여에 대한 학교 및 기업관계자의 만족도 및 인식도 (The Study of School/Corporate Authoriti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by the Overseas Training of Apprenticeship School)

  • 이수정;김정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3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학교 및 기업 관계자들이 독일 스위스의 도제교육 사례를 탐색할 수 있는 기관을 방문한 후, 참여자의 만족도와 인식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도제학교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내실 있는 연수 실시를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외연수에 참가한 학교 관계자와 기업관계자의 국외연수 프로그램 내용과 도제교육 운영에의 도움 등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제교육 관련 기관 유형별(직업학교, 기업, 상공회의소, 수공업협회, 연구기관) 만족도 간에는 참여자의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근무지역, 직위 등에 따라 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문 기관 선정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학교 및 기업 관계자의 국외연수 참여에 따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도 변화와 관련하여 학교 관계자의 경우는 연수 전보다 연수 후에 도제교육 이해, 계획, 실행, 평가 전 영역에 걸쳐 인식도가 높아졌으나 기업 관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관계자도 국외연수가 도제교육을 운영에 대해서는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이해하고 있으므로 향후 국외연수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 연수 또는 정례협의회, 사업단별 협의회 등을 통해 도제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많은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독일, 스위스, 호주의 도제교육 실행을 위한 사회 문화적 여건의 차이가 매우 크므로 단순한 비교 분석보다는 우리나라 시스템 내에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국외연수 운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