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igh School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직업청소년(職業靑少年)과 일반청소년(一般靑少年)의 노동관(勞動觀), 미래관(未來觀) 및 독단주의(獨斷主義)와의 관계 연구 (Attitudes toward Work and Time Perspective and Their Relationship to Dogmatism in Korean Adolescent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 김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5권
    • /
    • pp.81-105
    • /
    • 1984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1)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the Dogmatism Scale, 2) to examine whether environmental structure affects value systems such as attitudes toward work, time perspective and the personality dimension of dogmatism in adolescent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3)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value systems and group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and non-vocational trainees, 4) to observ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igh-dogmatism and low-dogmatism subjects with regard to attitudes toward work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841 adolescent vocational (226) and nonvocational (615) from vocational training centers, schools and universitie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 a questionnaire for attitudes toward work, 2) the Future Time Perspective (FTP) developed by Christiansen and 3) the Dogmatism Scal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behavior settings or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 type affect the formation of attitudes and of dogmatism in adolesc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dogmatism relates to future time perspectives. This differs from Rokeach's theoretical statements. Dogmatism in this study was related to time perspective, the relationships were optimistic in emotional areas, long-term in direction and concrete in structure.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nd Rokeach's suggests further study. A "Psycho-Environmental Model" for the formation of value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d earlier research of the author were discussed.

  • PDF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

고등학교 미용과 교육 실태 사례 조사 (Case Analyses of Cosmetology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 김미정;윤인경;장명희;권리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9
    • /
    • 2006
  • 본 연구는 고둥학교의 미용과 개설 실태와 학과 명칭, 미용과를 개설하고 있는 학교 유형별로 미용과 교육의 실태를 사례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것으로 고둥학교의 미용과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 상업계 고등학교의 특별과정으로 미용관련 과정을 운영한 이후 과학적인 기초 지식을 가진 고급 미용 기술 인력을 배출하려는 사회적인 요구와 맞물려 미용과 특성화고등학교가 운영되는 둥 미용관련 학과 개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16개 고둥학교의 미용과 명칭은 미용과를 비롯하여 다양하였다. 둘째, 4개 학교의 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 본 결과 동일한 '미용과'라 하더라도 학과 명칭, 학교의 설립 초기 유형, 학교 소재 지역, 신입생 모집의 자율성 정도, 학교 교사의 특성, 학과 명칭에 따른 실습실 명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개 학교의 미용과 소속 교사들의 전공 자격은 가정이 8명으로 많았고, 주당 수업 시수는 17-18시간으로 나타났으나 실습 준비 및 뒤정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넷째, 보통교과의 선택과목 영역과 재량활동의 내용에서는 학교의 유형 및 교사의 수급상황에 맞추어 교과를 선택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교에 따라서는 재량활동에서 미용관련 전문교과를 선택하여 미용과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용 산업의 유능한 인재 배출을 위한 기초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체계화된 교사의 연수, 특성화된 교과과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PDF

초.중등학교에서의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실태 (The Present Status of Subjec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 이선경;최석진;주형선;이용순;박종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1호
    • /
    • pp.107-126
    • /
    • 2001
  •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part to respond to such a change, and it aims to search for and suggest ways to strengthen subjec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e 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is research was understanding the pres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which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ed to teachers on the subjec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urvey was carried out comprehensively to include respondents from technical and home economics course as well a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Through this survey, we gained information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objective, learning-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of Korea.

  • PDF

NCS기반 절삭가공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특성화고 기계계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e Subject of NCS-based Metal Machining)

  • 박수한;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2-62
    • /
    • 2020
  • 교육부에서는 산업현장의 실무와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 내용의 불일치 해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산업현장과 교육·훈련기관 등으로 빠르게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2018년도부터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교육에 NCS기반 교육과정을 전면 도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특성과고의 기계계열인 '기계' 및 '기계·금속'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350명을 지역별로 유층 표집하여 절삭가공 실무과목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관련 학과에서 선반가공, 밀링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측정과목의 적용률은 전체 응답자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둘째, 실무과목 및 능력단위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교사 인식은 산업체 요구능력이 가장 높다. 셋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학생의 실무 능력 향상과 산업체 요구 충족이 가장 높으며 넷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모듈의 수준이 학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는 것과 학습모듈에 집필되어 있는 산업체 장비와 학교 장비가 차이가 있어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다섯째, 실무과목 수업 및 제반 여건에 대한 교사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며 실무과목의 수준, 재구성된 실무과목 교재를 제본 또는 구매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하이다. 따라서 기계관련 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장 대표성을 띠는 위 4개 실무과목의 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The Effect of Applying Learning Theory to Horticultural Therapy on Improving Personal Relationships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Jang, Iee-Hwa;Han, Kyu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23-532
    • /
    • 2018
  • In order to actively apply horticultural therapy to vocational education base schools, this study applied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to improve the vocational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total 12 sessions with three groups composed of 20 students each: 20 in the control group,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normal horticultural program, and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hich applied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12.0 using the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ies evaluation tool. The study found that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within each group. However, in the post test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ith normal horticultural program (p=.82),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ith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ying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p=.03). This prov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ying the learning theories based on behaviorism, cognitivism is effective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Ultimatel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roved and applied as a learning method contributing to developing the basic vocational skill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항공고등학교 실습교육에서 연소실 분해 조립을 중심으로 고찰한 3D 학습 자료의 활용 방안 (Potential Use of 3D Course Material as a Pedagogical Tool for Laboratory Courses with respect to Assembly/Disassembly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태균;김종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4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항공고등학교 정비실습 교육과정에서 Solidworks를 이용하여 제작한 3D 학습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행 교과서는 연소실분해조립 실습과정을 2D 사진을 기반으로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입체로 조립되는 가스터빈 기관 연소실의 분해조립순서를 익히고, 부품 내부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연소실은 가스터빈기관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부품으로써 연소실 분해 조립 실습교육은 학생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학습해야만 한다. 제작된 3D 학습 자료에서는 정투상도 기법을 응용하여 연소실 부품과 같은 3차원 객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부품이 $360^{\circ}$ 회전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학생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회전하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물체의 정면, 평면, 측면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등각보기에서 부품의 회전 영상을 애니메이션으로 추가하였다. MS office power point 2007을 기반으로 전용 viewer를 제작하여 제작된 3D 학습 자료를 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D 학습 자료를 활용한 학습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일반고등학교 직업과정 위탁 운영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and plan for improvement for vocational courses are operated consignment in General high school)

  • 윤경숙;이상봉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1-15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각 시 도별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 운영 현황과 실태 분석을 통하여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고등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운영 방향으로는 일반고 직업과정 운영 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는 것으로서, 학생 선발할 때 정확한 홍보와 진로 지도가 필요하며, 일반고 직업 과정 담당교사가 직업 과정의 운영 취지를 올바로 인식하고, 학생 진로지도와 직업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시 도교육청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고 직업 과정 대상 학생이 소속교(원적교) 에서 이수 하여야 하는 교육과정에 대해 학교 교육계획서에 명시하여 실천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고 직업 과정 학생은 별도의 학급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상 인원이 소수일 경우, 권역별로 1학급을 만들어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위탁 교육 기관의 주요 실적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 선발 시 홍보 자료로 대학 진학률 보다는 취업률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 및 학부모에게 일반고 직업 과정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산업(정보) 학교에서는 취업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취업 담당자(산학협력 코디네이터) 등을 배치하여, 취업 경로와 산업체를 확보하고 산업체의 요구와 학생이 희망하는 근무조건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며, 산업체 대학(2년제) 산업(정보) 학교의 협약을 통하여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적극 홍보 활용하기를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일반고 직업 과정 코스의 신설 및 폐지에 있어, 일부 인기 코스의 경우 오히려 취업과 거리가 먼 경우가 있으므로, 코스를 신설하거나 폐지할 경우 변화하는 산업사회의 수요를 반영하고 취업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위탁 교육 기관에 대한 체게적인 질 관리 측면에서, 산업(정보) 학교와 공공 직업훈련 기관이 민간 직업 전문학교이나 학원에 비해 우수하다. 그러나 전국의 16개 시 도 중 대도시를 중심으로 5개 시에만 산업정보학교가 있다. 일반고 직업 과정이 지속적으로 수요가 예상되는 시 도의 경우, 운영면에서 여러 가지로 비교 우위에 있는 산업정보 학교의 신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실업계고등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의 연계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onnected Curriculum Model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 우상호;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5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operate a curriculum which is able to connect a vocational high school to a general high school. That curriculum makes it possible to meet the necessity of accepting the learning rights for the students of a small scale school located in a rural community. And also, it is able to broaden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n the $7^{th}$ curriculum. So, We developed a connected curriculum model which fulfills to the utmost the requirement of a few students who want to go to a collage after finishing vocational high school and who want to get a job after finishing general high school in a electing their subjects and then operated it with student's moving to the connected schools on a Saturday. In this study, we got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we prepared the curriculum environments which can accept the learning-demands of students in a small scale school located in a rural community. To do so, we publicized the curriculum of a vocational high school connected to that of a general high school, made questions, and organized the committee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so on. Second, w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connected curriculum so that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uld learn the subjects they demands. So, a small number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uld have learned the 'Math I' and 'English Conversation' which were not allowed in their school. And also, a small number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hope to have an occupation after graduation could have learned 'Web Design' subject. Third, we examined the problems and presented the solving methods according to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onnected curriculum. So we could have served as an aid on building up the founda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