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Awareness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Cultural Welfare Worker on Empowerment)

  • 최종혁;유영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13-136
    • /
    • 2012
  • 본 연구는 문화복지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천유형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역량강화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복지 실천가들은 우선 문화복지를 불안정한 휴먼서지스직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복지 실천가의 활동 유형을 크게 전문적 참여활동가와 기능적 참여활동가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양극단에 위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문화복지 실천가의 역량강화 전략은 이들의 실천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의 역량강화전략과 관련하여서는 이를 순기능적으로 진작시켜주는 촉진요소가 있는가 하면,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천가들은 역량강화를 위해서 그들이 전문직군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식적인 요건 마련과 그들에게 맞는 다양한 교육스펙트럼을 높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복지 실천가들의 역량강화 인식을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이들에 대한 교육과 슈퍼비전, 인력양성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교육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다문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ing o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Media -)

  • 이성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141-1155
    • /
    • 2022
  •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bout learning about a specific ethnic group, but rather developing the ability to cross the border of one's own culture and have conversations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I think the purpose is to promote empathy and conside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programs for all members of society for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lead personal, social and civic action movements to create a fair society through media-based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said that In order to achieve harmony and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cknowledge cultural diversity and to discard cultural prejudices and inequalities for symbiosis between the mainstream culture and the minority culture.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hich have successfully led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are comprehensive in all areas, including interculturalism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and respect, labor market issues, vocational education issues, housing and health issues, and communication issues through media literacy. He led a multicultural national integration system with approaches and methods. Therefore, ou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hould also pursue a new paradigm that presupposes a change in the public's awareness of a multicultural society.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기술 및 공학에 대한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wareness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Engineering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 Power)

  • 박경숙;이효녕;전재돈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363-380
    • /
    • 2015
  • 우리나라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는 우수한 인재 양성과 이공 계열 기피로 인해 발생한 이공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융합인재교육(STEAM)을 포함하여 다양한 융합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및 기술/공학 영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영재 학생 86명이며, 3개 영역의 97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영재 학생들은 수학이나 기술/공학보다 과학을 흥미롭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둘째, 진로 선택에서도 과학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자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재미있지만, 정확하지 않고 배려심이 부족한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자는 다른 직업에 비해서 영리하다고 생각하였으며, 공학자는 부지런한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흥미와 진로 선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수학 및 기술/공학은 서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 교육에서 융합형 영재 교육의 강화 및 체계적인 진로 교육 확립의 필요성과 수학 및 기술/공학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ife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 서지혜;나운환;정다찬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33-57
    • /
    • 2017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6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로부터 수집된 2차웨이브 1차년도 원자료(raw data) 자료를 이용하여 만50세 이상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령장애인을 장애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장애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은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에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공통요인으로는 취업인식, 장애인식, 행복정도,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정도는 고령화된 장애인에게만 영향을 주었으며 취업여부 변수는 노인성 장애인에게만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삶의 질 향상 서비스 개발에서 취업과 장애에 대한 인식 향상 고려,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문제 해결, 고용 문제와 건강 관련 문제에 대한 집단별 접근 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8-67
    • /
    • 201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일부대학생들의 직업평가기준과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Occupational Evaluation Criteria and Dental Hygienists of Som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Perception Analysis Study)

  • 윤성욱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는 일부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자질, 직업평가기준, 전문직관을 조사로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SPSS WIN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치괴위생사에게 필요한 자질 10항목 중 '치위생학의 전문적 지식'과 '치위생기술'이 가장 높았다. 직업평가요인 평균은 4.06으로 치괴위생사 직업평가요인 평균 3.80보다 높았다. 직업선택(평가) 요인 중 '안정적인 직업', '직장 분위기와 인간관계가 좋은 직업'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람들과의 접촉이 있는 직업', '독립적인 직업' 평균은 가장 낮았다. 치괴위생사 직업평가요인은 '사람들과의 접촉이 있는 직업',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직업'이 높았으며 '높은 임금', '높은 승진 기회의 가능성'이 평균은 낮게 나타았다. 일반적인 특징과 치위생전문직관회귀분석 결과 전공계열이 비보건계열인 경우 치과위생사에 대한 전문직업성이 높아지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총괄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자질향상과 직업평가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직업평가 및 치위생전문직관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개선사항을 모색하는 노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s)

  • 양승경;권순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9-177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 요소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93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평가에 있어 중부권이 가장 높게 수도권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문학사 학위과정이 학사학위 과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내용 조직은 중부권이 가장 높게 호남권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사학위 과정이 전문학사 학위과정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요소별로 살펴보면, 교육목표 요소는 직업교육, 도덕적 윤리적 요소에서 높게, 창의적 측면에서 낮게 나타났다. 교육내용선정 요소는 학습가능성에서 높게 내용의 타당성과 관련성에서 낮게 나타났다. 교육내용조직 요소는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평가 요소는 학교평가 준거에서 높게, 국가시험 방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내부고객의 ESG중요도 인식이 조직의 ESG경영 필요성과 ESG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공공기관(직업능력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Internal Customer Awareness of ESG Importance on the Organization's ESG Management Needs and ESG Performance Awareness -Focusing o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 김동태;이은영;박지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63-670
    • /
    • 2023
  • 본 연구는 소비자(외부고객) 관점에서 ESG 경영과 ESG 성과를 살펴 왔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조직 구성원인 내부고객의 관점에서 ESG에 대한 태도와 ESG 성과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SG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내부 구성원의 인식이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과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세 가지 연구질문으로 정리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해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내부고객은 E(환경)영역, G(지배구조)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하면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지만 S(사회) 영역에서는 ESG 경영 필요성과의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연구질문 1). 또한 ESG 영역별 중요도 인식과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간 관계는 내부고객의 ESG에 대한 관심이나 지식정도,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질문 2). 끝으로 조직의 ESG 경영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내부고객은 조직의 ESG 성과 수준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질문 3).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 of Women Working in Government Hospitals Regarding Breast Self Examination

  • Yurdakos, Kursat;Gulhan, Yildirim Beyazit;Unalan, Demet;Ozturk, Ah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29-4834
    • /
    • 2013
  • Background: Breast self examination (BSE), performed regularly every mon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in the early diagnosis of breast cancer.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women working in government hospitals within the province of Samsun regarding BSE.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March 2012, on a total of 550 women (500 health personnel, and 50 general administration services (GAS) workers) from 7 government hospitals and the Cancer Early Diagnosis, Screening, and Education Centre (CEDSEC). Percentages were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hi-square test for the evaluation of statistical importance. Values of p<0.05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6.2{\pm}15.3$, and 42.5% were in the 30-39 year old age group, 78.0% being married. Seventy-eight point four percent (78.4%) of the health personnel and 76.0% of the GAS workers performed BSE. However, the rates of performing BSE regularly every month were only 25.6% and 5.0%. Within the health personnel, 1.4% stated that they did not perform BSE because they found it unnecessary as they had no history of breast cancer in their family, 3.6% did not do so due to fear and stress, 13.2% because they forgot, and 14.6% because they had no complaints. Some 22.2% of the health personnel and 52.0% of the GAS workers had undergone mammographic evaluation, the difference being significant (p<0.05), 84.1% of the health personnel and 61.9% of the GAS workers knowing symptoms of breast cancer. Conclusions: Women in society should be brought to a certain level of awareness and knowledge regarding BSE.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at health personnel, who carry the responsibility for counseling and enlightening society, should interiorize the necessar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부산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Suggestions of Policy for Revitaliz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Busan)

  • 배민경;이준상;허영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10
    • /
    • 2010
  • 지역 경제가 침체됨에 따라 각종 정책은 거대한 건축산업을 활성화를 위해 제시되고 있지만, 건설산업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 작용하므로 목적에 모두 부합하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전문인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지 건설 시장의 경기침체의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절감 및 현실적인 마스터 플랜은 재개발 주택계획을 위한 해결책으로 필요하다. 둘째, 지역 건설산업을 고려하지 않은 수도권 중심의 정책 문제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건설사업타당성 분석에 대한 낮은 인식과 전문인력 부족 문제는 교육을 통한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건설의 활성화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전문인들의 인식 차이를 고려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