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sual sensitivity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5초

Classification of Aβ State From Brain Amyloid PET Image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Chanda Simfukwe;Reeree Lee;Young Chul Youn;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in Zambia (ADDIZ) Group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1-68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Analyzing brain amyloi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images to access the occurrence of β-amyloid (Aβ) deposition in Alzheimer's patients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from physicians, while the variation of each interpreter may differ. For these reasons,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s an objective decision to classify the Aβ positive and Aβ negative status from brain amyloid PET images. Methods: A total of 7,344 PET images of 144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18F-florbetaben PET was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and the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Aβ positive and Aβ negative state was based on brain amyloid plaque load score (BAPL) that depended on the visual assessment of PET images by the physicians. We applied the CNN algorithm trained in batches of 51 PET images per subject directory from 2 classes: Aβ positive and Aβ negative states, based on the BAPL scores. Results: The binary classification of the model average performance matrices was evaluated after 40 epochs of three trials based on test datasets. The model accuracy for classifying Aβ positivity and Aβ negativity was (95.00±0.02) in the test datase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6.00±0.02) and (94.00±0.02), respectively, with an area under the curve of (87.00±0.03).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the designed CNN model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clinically to screen amyloid PET images.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ith Computed Tomography Colonography: Single Region Experience in Kazakhstan

  • Jandos Amankulov;Dilyara Kaidarova;Zhamilya Zholdybay;Marianna Zagurovskaya;Nurlan Baltabekov;Madina Gabdullina;Akmaral Ainakulova;Dias Toleshbayev;Alexandra Panina;Elvira Satbayeva;Zhansaya Kalieva
    • Clinical Endoscopy
    • /
    • 제55권1호
    • /
    • pp.101-112
    • /
    • 2022
  • Background/Aim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computed tomography colonography (CTC) in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CRC). Methods: A total of 612 females and 588 males aged 45 to 75 years were enrolled in CTC screening. CTC was performed following standard bowel preparation and colonic insufflation with carbon dioxide. The main outcomes were the detection rate of CRC and advanced adenoma (AA), prevalence of colorectal lesions in relation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nd overall diagnostic performance of CTC. Results: Overall, 56.5% of the 1,200 invited subjects underwent CTC screening. The sensitivity for CRC and AA was 0.89 and 0.97, respectively, while the specificity was 0.71 and 0.99,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CRC and AA was 3.0% (18/593) and 7.1% (42/593),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CRC prevalence in the 66-75 age group (≥12 times; odds ratio [OR], 12.11; 95% confidence interval [CI], 4.45-32.92). CRC and AA prevalence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Asian descent, physical activity, and negative fecal immunochemical test results (OR=0.43; 95% CI, 0.22-0.83; OR=0.16; 95% CI, 0.04-0.68; OR=0.5; 95% CI, 0.07-3.85,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high accuracy of CTC in diagnosing colonic neoplasms, good compliance with CTC screening, and high detection rate of CRC.

안구 내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의 영향 (The Usefulness of F-18-FDG PET and The Effect of Scan Protocol in Diagnosis of Intraocular Tumors)

  • 이재성;양원일;김병일;최창운;임상무;이태원;신민경;홍성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9-451
    • /
    • 1999
  • 목적: 안구 내 종양의 치료계획에 있어서 악성여부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안구 내 종양의 생검은 시력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임상적으로 권장할 수 없는 방법이다. 저자들은 안구 네 종양의 악성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악성 안구 내 종양이 의심되는 13명의 환자(15병소)를 대상으로 F-18-FDG PET 스캔을 시행하였다. 세 명은 양성의 병소를 가지고 있었고(망막 박리, 맥락막 삼출, 맥락막출혈) 열 명을 열두 개의 악성 병소를 가지고 있었다(흑색종 3, 망막아종 7, 전이암 2). 양성 병소들과 악성 병소들의 크기는 각각 $164{\pm}85mm^3$$598{\pm}718mm^3$이었다. 영상은 GE Advance PET 스캐너(전체반값두께 4.6 mm)를 이용하여 얻었다. 각각의 영상에 대해 매트릭스 크기를 바꾸어 가면서($256{\times}256$$128{\times}128$) 감쇠보정을 하거나 하지 않는 두 가지방법으로 재구성하여 재구성 방법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덟 명의 환자(양성 3, 악성 병소 6)에서 추가로 전신스캔을 시행하였다. 육안 판독 후 반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표준섭취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치료하지 않은 악성 병소는 모두 진단할 수 있었고 양성 병소는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10개의 악성 병소들의 픽셀당 최대 표준섭취 계수는 $2.64{\pm}0.57g/ml$로 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2.0 g/ml보다 높았다. 종양의 크기와 표준섭취계수는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신스캔에서는 두개의 $1000 mm^3$ 보다 큰 악성 병소는 높은 섭취를 보였으나 중간 크기의 병소들은 희미하게 관찰되었고 $100 mm^3$ 이하의 병소 두 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F-18-FDG PET는 안구 내 악성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높은 예민도를 보여 주었다. 악성 종양은 모두 육안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작은 크기의 안구 내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신스캔은 예민도가 낮아 적당하지 않고 스캔시간을 충분히 길게 하여 안구 국소촬영을 할 필요가 있다. 영상은 $128{\times}128$ 매트릭스보다 $256{\times}256$ 매트릭스로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

  • PDF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유발 예측모형 (CARIES PREDICTION MODEL USING LASER FLUORESCENCE)

  • 이상호;이창섭;정연화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4
    • /
    • 2001
  •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각 개인의 우식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7\sim9$세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치아의 순면과 협면에 아르곤 레이저를 조사하고 특수 필터를 사용하여 초기 치아우식증이 관찰되는 치아의 수를 측정하고, 이와 같은 초기 치아우식증의 수를 측정하는 우식활성법과 기존의 우식 활성도 측정 방법인 dDfFtT rate,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와 상관성을 비교, 평가하고,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검사의 특이도, 민감도, 진단력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도 측정법은 기존의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법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gamma=0.48$, P<0.01). 2. 아르곤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도 측정법은 dDfFtT rate 검사와 상관관계가 있었다($\gamma=0.39$, P<0.01). 3.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와 dDfFtT rate와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gamma=0.27$, P<0.05). 4. dDfFtT rate를 기준검사 방법으로 하였을 때,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 검사법은 특이도 44.4%, 민감도 85.7%, 진단력이 87.8%였다. 5. dDfFtT rate를 기준검사방법으로 하였을 때,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는 특이도 77.8%, 민감도 92.9%, 진단력이 84.8%였다. 6.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법을 기준검사 방법으로 하였을 때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 검사법은 특이도 40.0%, 민감도 84.8%, 진단력이 95.1%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레이저 형광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우식활성 검사법은 기존의 우식활성검사 및 구강환경 검사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 우수한 진단학적 지표를 보여 주므로써 향후 임상적으로 신뢰도와 타당성이 높은 우식활성 검사법으로서 그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3차원 코일 모델링을 통해 위상배열코일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 (A Tool Box to Evaluate the Phased Array Coil Performance Using Retrospective 3D Coil Modeling)

  • ;;;조민형;이수열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2호
    • /
    • pp.107-119
    • /
    • 2014
  • 목적: 실제 촬영 결과와 전자기 모의실험 결과를 시각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위상배열코일을 이루는 모든 코일 요소의 감도를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대상과 방법: 위상배열코일검증기(PACE)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MATLAB과 C언어를 이용해 구현하였다. 위상배열 코일검증기는 코일 소자의 3차원 형상 모델 구축, FDTD 모의실험 결과의 수용, 보통의 직각좌표계 및 코일면에 기준하는 직각좌표계 상에서 각기 코일 소자 감도를 도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위상배열코일의 3차원 형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바늘침 모양의 3차원 전자기 위치추적기를 사용하였다. 3차원 형상 모델을 만든 뒤, 이 형상 모델 데이터를 FDTD 모의실험 장치에 보낼 수 있게 하였다. 결과: 3차원 전자기 위치추적기를 이용해 실제 실험에 사용된 위상배열코일과 FDTD 모의실험에 사용된 위상배열코일 모델을 정확하게 일치시킴으로써, 각기 코일 소자의 공간적 감도를 평가할 때 모의실험 결과와 촬영실험 결과 사이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게 되었다. 모의실험과 실제 촬영실험에는 36 채널의 헬멧형 위상배열코일을 사용하였다. MRI 촬영 대상체로는 FDTD 모의실험의 모델과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가진 원통형 팬텀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위상배열코일의 성능을 편리하게 평가하기 위해 관심 코일 소자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결론: 개발한 위상배열코일 성능 검증 프로그램은 위상배열코일의 개발 및 정기적인 유지보수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R 부피측정의 의의와 한계: 정상성인과 해마경화증 간질 환자의 비교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MR Volumetry: Comparison between Normal Adults and the Patients with Epilepsy and Hippocampal Sclerosis)

  • 김홍대;장기현;한문희;김현집;이상건;이명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1호
    • /
    • pp.47-54
    • /
    • 2002
  • 목적 해마의 위축(hippocampal atrophy)은 해마경화증(hippocampal sclerosis)의 가장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의 하나로서, 이의 진단하기 위하여 해마의 자기공명(MR) 영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인과 해마경화증 환자에서 해마에 대한 MR부피를 측정하여 해마 경화증의 진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경학적으로 정상이며 MR 영상에서 뇌실질부위에 이상소견이 없는 정상 성인 30명 (20-46세 , 남자 16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양측해마의 부피를 측정하고 그 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측두엽 간질환자로서 최종진단이 해마경화증으로 판정된 28명의 환자(9-55세, 남자 14명, 여자 14명)를 대상으로 하여 해마부피를 측정한 후 각각의 좌우 차를 구하고 정상분포와 비교하였다. 결과 : 한국성인의 해마의 정상부피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는 남자가 우측 $2.20{\pm}0.73\textrm{cm}^3$, 좌측 $2.17{\pm}0.72$ $\textrm{cm}^3$ 좌우 차 $0.14{\pm}0.11\textrm{cm}^3이었고$, 여자가 우측이 $2.27{\pm}0.47\textrm{cm}^3$, 좌측이 $2.23{\pm}0.4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좌우 차 $0.19{\pm}0.13\textrm{cm}^3이었다.$ 좌우와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얼었다. 해마경화증 환자에서의 해마의 부피는 전체 해마경화증 환자 군에서 평균과 표준 편차가 $1.46{\pm}0.60\textrm{cm}^3$, 좌우 차 $0.51{\pm}0.41\textrm{cm}^3$ 였으며, 우측 해마경화증 환자 군에서 평균이 $139{\pm}0.58$, $\textrm{cm}^3$, 좌우 차 $0.38{\pm}0.27\textrm{cm}^3$, 좌측 해마경화증 환자 군에서 평균이 $1.56{\pm}0.65\textrm{cm}^3$, 좌우 차 $0.71{\pm}0.52\textrm{cm}^3$ 였다. 해마경화증 환자군과 정상성인군의 부피의 절대치와 좌우 부피 차의 분포를 비교해 본 결과 해마부피분포는 정상 성인군과 해마경화증 환자군 사이에 많은 경우에서 절대치가 중첩되어 해마부피분포의 절대치는 진단기준으로서 유용하지 않았다. 좌우 부피 차 0.4 $\textrm{cm}^3$ 이상을 해마위축의 기준으로 할 때 MR-based volumetry 만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61, 0.90로 좌우 부피 차 $0.4{\;}\textrm{cm}^3$ 이상이 적절한 진단기준으로 생각되었다. $0.4{\;}\textrm{cm}^3$ 이상의 좌우 부피차를 보이는 모든 증례에서 육안적으로도 해마위축이 뚜렷이 나타났다. 결론 : MR영상을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난지형 잔디의 가뭄 스트레스 상태로 인한 멀티스팩트럴 반사광 연구 (Multi-Spectral Reflectance of Warm-Season Turfgrasses as Influenced by Deficit Irrigation)

  • 이준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08
  • Multi-spectral radiometer (MSR)를 사용한 리모트 센싱 기술이 향 후 잔디의 건조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가지 각기 다른 조건의 건조스트레스를 받은 난지형 잔디의 잎에서 반사되는 Reflectance와 토양수분, 비주얼 잔디상태, 엽록소 함량, 광합성 등을 측정하여 각 factor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모든 factor가 MSR 데이터와 질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Reflectance 민감도는Visual spectral region보다 Infrared spectral region에서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ulti-spectral radiometer (MSR)은 잔디의 건조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의 자료를 활용하게 된다면 향 후 MSR이 부착된 기구(Balloon)를 이용한 필드 스터디 연구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Several Screening Approaches for Detection of Cervical Lesions in Rural Shandong, China

  • Zong, Li-Ju;Zhang, You-Zhong;Yang, Xing-sheng;Jiang, Jie;Cui, Bao-Xia;Qiao, Yun-Bo;Li, Li;Jiang, Kan;Zhang, Wen-Jing;Kong, Bei-Hua;Shen, K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07-1912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to: (1)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HR-HPV) infection and cervical neoplasia; and (2) evaluate clinical performance of visual inspection with acetic acid/ Lugol's iodine (VIA /VILI), Pap smear,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HR-HPV) DNA test for detecting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2 or worse (CIN2+) and (3) explore appropriate screening approach in rural areas of Shandong Provin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763 eligible women from Yiyuan County in Yimeng mountainous areas of rural Shandong, China, were enrolled and underwent Pap smear, HR-HPV DNA testing by Hybrid Capture 2 (HC2), and VIA /VILI tests. Women positive in any test were referred to colposcopy and biopsy as indicated. Results: The prevalence of HR-HPV infection among all enrolled women was 11.1% and that in healthy women was 9.9%. In total 33 cases of CIN1, 16 cases of CIN2, 6 cases of CIN3 but none of cervical cancer were detected and the crude prevalence of CIN2+ was 0.58%. For detecting CIN2+, the sensitivity of HR-HPV DNA testing, VIA/VILI, Pap smear was 90.9%, 77.3%, 81.8%, respectively. Pap smear had the best specificity of 98.2%, followed by HR-HPV DNA testing with specificity of 89.4%, VIA/VILI had the lowest specificity of 81.2%. Colposcopy referral rate of HR-HPV DNA testing, VIA/VILI, Pap smear was 11.1%, 18.5%, 2.3%,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HR-HPV DNA testing alone might be appropriate for primary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rural low-resource areas of Shandong Province, China.

한국 산업 제품의 색채 연구 -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ization of Industrial Products of Korean Make - Focused on the reflection of the Panorama exhibited during the perior of the sixties and seventies of the Previous Century -)

  • 이옥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5-224
    • /
    • 2005
  • 최근 장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외관을 다루는 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색채 디자인 활동의 전문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 찬 상황에서 색채 디자인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방향성의 제고는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 색채 디자인의 출발점인 1960-70년대의 색채를 살펴봄으로써 색채 디자인의 적극적 도입 과정과 그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60-70년대의 산업 재효의 색채에 관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색채의 특징을 구분하고 각각의 색채에 대한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제품 색채는 산업화 속에서 제품의 기능적, 시각적인 마무리를 위한 개념에서 설정된 생산과 판매중심의 접근임을 알 수 있었다. 색채는 경제 성장을 향하는 물질가치 중심의 산업화의 이념과 제품에 대한 인식틀 속에서 그 방향성이 결정되었고 따라서 단순한 모방이나 기능적 보완, 또는 시각적인 주목성과 차별화기 기능 역할을 부여 받았다. 이러한 인식은 가전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백색, 소규모 일상용품을 중심으로 하는 순색, 가구와 같은 장식 개념의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 소재색의 3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제품 색채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 특히 제품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외형적 특성에만 집중하는 기존의 연구 태도로 인해 중요성의 인식이 부족하였던 색채에 대한 고찰이라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소아에서 치아 우식 경험과 새로운 치아 우식 활성 비색 검사 (Correlation between Caries Experience and New Colorimetric Caries Activity Test in Children)

  • 조성현;이효설;최병재;김백일;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0-37
    • /
    • 2015
  • 새로운 우식 활성 비색 검사인 $Cariview^{(R)}$는 새로운 pH 지시약을 사용해서 치태 세균의 산 생산 능력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에서 $Cariview^{(R)}$와 치아 우식 경험(dmft index)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고, $Cariview^{(R)}$를 Dentocult $SM^{(R)}$과 비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만5세 이하 135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dmft를 기록했으며, $Cariview^{(R)}$와 Dentocult $SM^{(R)}$ 두 가지 우식 활성 검사를 제조사 지시에 따라 시행하였다. 그 결과, $Cariview^{(R)}$는 소아의 치아 우식 경험과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43, p < 0.01). 치아 우식증 예측에 있어 $Cariview^{(R)}$는 민감도 68.8%, 특이도 69.2%, ROC 곡선 분석의 곡선하면적(AUC) 0.686으로 Dentocult $SM^{(R)}$에 비해 양호한 수치를 보였다. $Cariview^{(R)}$는 비협조적인 어린이에게도 시행이 쉽고 편리하며 시각적인 색상으로 나타나 구강위생교육 도구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