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fulness of F-18-FDG PET and The Effect of Scan Protocol in Diagnosis of Intraocular Tumors

안구 내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의 영향

  • Lee, Jae-Soung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Yang, Won-I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im, Byoung-I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Choi, Chang-Woo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Lim, Sang-Mo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Lee, Tae-Won (Departments of Ophthalm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Sin, Min-Kyeung (Departments of Ophthalm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Hong, Soung-Woo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Published : 1999.10.30

Abstract

Purpose :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lesions of intraocular masses in choosing therapeutic plan. Biopsy of intraocular tumor is not recommended due to the risk of visual damag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F-18-FDG PET imaging in diagnosing intraocular neoplasms. Materials and Methods: F-18-FDG PET scan was performed in 13 patients (15 lesions) suspected to have malignant intraocular tumors. There were 3 benign lesions (retinal detachment, choroidal effusion and hemorrhage) and 10 patients with 12 malignant lesions (3 melanomas, 7 retinoblastomas and 2 metastatic cancers). Regional eye images ($256{\times}256$ and $128{\times}128$ matrices) were obtained with or without attenuation correction. Whole body scan was also performed in eight patients (3 benign and 6 malignant lesions). Results: All malignant lesions were visualized while all benign lesions were not visualized. The mean peak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malignant lesions was $2.64{\pm}0.57g/ml$. There was no correlations between peak SUV and tumor volume. Two large malignant lesions ($> 1000 mm^3$) showed hot uptake on whole body scan. But two medium-sized lesions ($100-1000mm^3$) looked faint and two small ($<100mm^3$) lesions were not visualized. The images reconstructed with $256{\times}256$ matrix showed lesions more clearly than those with $128{\times}128$ matrix Conclusion: F-18-FDG PET scan is highly sensitivity in detecting malignant intraocular tumor For the evaluation of small-sized intraocular lesions, whole body scan is not appropriate because of low sensitivity. A regional scan with sufficient acquisition time is recommended for that purpose. Image reconstruction in matrix size of $256{\times}256$ produced clearer images than the ones in $128{\times}128$, but it does not affect the diagnostic sensitivity.

목적: 안구 내 종양의 치료계획에 있어서 악성여부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안구 내 종양의 생검은 시력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임상적으로 권장할 수 없는 방법이다. 저자들은 안구 네 종양의 악성 여부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F-18-FDG PET의 유용성과 검사 방법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악성 안구 내 종양이 의심되는 13명의 환자(15병소)를 대상으로 F-18-FDG PET 스캔을 시행하였다. 세 명은 양성의 병소를 가지고 있었고(망막 박리, 맥락막 삼출, 맥락막출혈) 열 명을 열두 개의 악성 병소를 가지고 있었다(흑색종 3, 망막아종 7, 전이암 2). 양성 병소들과 악성 병소들의 크기는 각각 $164{\pm}85mm^3$$598{\pm}718mm^3$이었다. 영상은 GE Advance PET 스캐너(전체반값두께 4.6 mm)를 이용하여 얻었다. 각각의 영상에 대해 매트릭스 크기를 바꾸어 가면서($256{\times}256$$128{\times}128$) 감쇠보정을 하거나 하지 않는 두 가지방법으로 재구성하여 재구성 방법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덟 명의 환자(양성 3, 악성 병소 6)에서 추가로 전신스캔을 시행하였다. 육안 판독 후 반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표준섭취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치료하지 않은 악성 병소는 모두 진단할 수 있었고 양성 병소는 육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10개의 악성 병소들의 픽셀당 최대 표준섭취 계수는 $2.64{\pm}0.57g/ml$로 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2.0 g/ml보다 높았다. 종양의 크기와 표준섭취계수는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신스캔에서는 두개의 $1000 mm^3$ 보다 큰 악성 병소는 높은 섭취를 보였으나 중간 크기의 병소들은 희미하게 관찰되었고 $100 mm^3$ 이하의 병소 두 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F-18-FDG PET는 안구 내 악성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높은 예민도를 보여 주었다. 악성 종양은 모두 육안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작은 크기의 안구 내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신스캔은 예민도가 낮아 적당하지 않고 스캔시간을 충분히 길게 하여 안구 국소촬영을 할 필요가 있다. 영상은 $128{\times}128$ 매트릭스보다 $256{\times}256$ 매트릭스로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