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feedback training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19초

MATERIALS AND METHODS FOR TEACHING INTONATION

  • Ashby, Michael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28-229
    • /
    • 1997
  • 1 Intonation is important. It cannot be ignored. To convince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intonation, we can use sentences with two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intonation. Example: "I thought it would rain" with a fallon "rain" means it did not rain, but with a fall on "thought" and a rise on "rain" it means that it did rain. 2 Although complex, intonation is structured. For both teacher and student, the big job of tackling intonation is made simpler by remembering that intonation can be analysed into systems and units. There are three main systems in English intonation: Tonality (division into phrases) Tonicity (selection of accented syllables) Tone (the choice of pitch movements) Examples: Tonality: My brother who lives in London is a doctor. Tonicity: Hello. How ARE you. Hello. How are YOU. Tone: Ways to say "Thank you" 3 In deciding what to teach, we must distinguish what is universal from what is specifically English. This is where contrastive studies of intonation are very valuable. Usually, for instance, division into phrases (tonality) works in broadly similar ways across languages. Some uses of pitch are also similar across languages - for example, very high pitch may signal excitement or urgency. 4 Although most people think that intonation is mainly about pitch (the tone system), actually accent placement (tonicity) is probably the single most important aspect of English intonation. This is because it is connected with information focus, and the effects on interpretation are very clear-cut. Example: They asked for coffee, so I made them coffee. (The second occurrence of "coffee" must not be accented). 5 Ear-training is the beginning of intonation training in the VeL approach. First, students learn to identify fall vs rise vs fall-rise. To begin with, single words are used, then phrases and sentences. When learning tones, the fIrst words used should have unstressed syllables after the stressed syllable (Saturday) to make the pitch movement clearer. 6 In production drills, the fIrst thing is to establish simple neutral patterns. There should be no drama or really special meanings. Simple drills can be used to teach important patterns: Example: A: Peter likes football B: Yes JOHN likes football TOO A: Mary rides a bike B: Yes JENny rides a bike TOO 7 The teacher must be systematic and let learners KNOW what they are learning. It is no good using new patterns and hoping that students will "pick them up" without noticing. 8 Visual feedback of fundamental frequency with a computer display can help students learn correct patterns. The teacher can use the display to demonstrate patterns, or students can practise by themselves, imitating recorded models.

  • PDF

중소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프로그램 기반 인지향상 프로토콜 적용: 파일럿(Pilot) 연구 (Application of Cognitive Enhancement Protocol Based o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Level of Older Adults Residents in Small-Sized City Community: A Pilot Study )

  • 윤소현;이하민;김미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69-8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홈 기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원격재활 전달모델로서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대상자 3인을 선정하여 약 2개월에 걸쳐 ICT 홈 기반 인지향상 프로그램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중재는 프로그램 전·후 인지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 Two shorter form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치료사는 원격으로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인지훈련의 난이도 조절을 매주 피드백을 통해 설정하고 프로그램 진행 시에는 매일 정해진 시간에 치료사의 도움 없이 진행하였다. 인지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의견을 위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사전 사후에 진행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대부분의 항목에서 모든 대상자가 향상된 점수를 보였다. 또한 Cotras-pro의 항목 중 상위인지, 언어능력, 주의집중, 시지각, 기억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 ICT 홈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한 인지재활훈련은 치매를 예방할 뿐 아니라 원격재활에 대한 내적동기 또한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반저근육 운동 프로그램이 긴장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정도, 요실금량 및 최대 질수축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 김소영;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67-27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lead more comfortable life, by letting them to do pelvic muscle exercise and to learn by direct experience the effect that urinary incontinence is controlled.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16 middle-aged women(over 38)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October 11, 1999. Women trained themselves for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every the other day for each exercise for six weeks at home(that means each exercise for more than three days a week)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Dougherty et al., and filled out exercise participation card every week. They visited laboratory once a week to get visual feedback, by means of Perineometer, of how the pelvic muscle exercise was going o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cale that Lee, Young-Sook revised and supplemented Hendrickson's original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the frequency and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30 minute pad test" was carried ou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Perineometer was used for measuring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means of SPSS/PC+ WIN 9.0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hypothesis 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1-1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weekly frequency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03). The hypothesis 1-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situation scores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44). The hypothesis 2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would reduc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p=.001). The hypothesis 3 that after carrying ou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e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would increase compared to before the exercise was supported (p=.012).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program has an effect o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degree and amou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maximum vaginal contraction pressure. So it is judged that training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or pelvic muscle exercise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order to care urinary incontinence.

  • PDF

로봇 팔의 뇌 신호로부터 유도된 3D 좌표 추적을 위한 Guidance Law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Guidance Laws in Developing Algorithm which Enables Robot Arm to Trace 3D Coordinates Derived from Brain Signal)

  • 김윤재;박성우;김원식;염홍기;서한길;이용우;방문석;정천기;오병모;김준식;김유단;김성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54
    • /
    • 2014
  • It is being tried to control robot arm using brain signal in the field of brain-machine interface (BMI). This study is focused on applying guidance laws for efficient robot arm control using 3D coordinates obtained from Magnetoencephalography (MEG) signal which represents movement of upper limb. The 3D coordinates obtained from brain signal is inappropriate to be used directly because of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human upper limb and robot arm's end-effector. The spatial difference makes the robot arm to be controlled from a third-person point of view with assist of visual feedback. To resolve this inconvenience, guidance law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tactical ballistic missile are applied. It could be applied for the users to control robot arm from a first-person point of view which is expected to be more comfortable. The algorithm which enables robot arm to trace MEG signal is provided in this study. The algorithm is simulated and applied to 6-DOF robot arm for verification. The result was satisfactory and demonstrated a possibility in decreasing the training period and increasing the rate of success for certain tasks such as gripping object.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based Exercise Program Using a Video Game on the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the Elderly)

  • 송창호;신원섭;이경진;이승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61-1275
    • /
    • 2009
  • 노화로 인한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감소가 노인의 신체활동 저하를 일으킨다. 가상현실운동은 노인의 기능적 균형과 움직임을 회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게임을 이용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VR)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VR군(남자 11명, 여자 14명, 나이 68.4세)과 대조군(남자 10명, 여자 13명, 나이 67.6세)으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VR군은 가상현실 운동을 8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특별한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10분), 가상현실프로그램(40분), 정리운동(1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상현실프로그램은 상하지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청각피드백을 제공하는 플레이스테이션 아이토이플레이로 수행되었다. 운동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지의 근력, 힘판을 이용한 정적균형능력, 기능적 팔 뻗기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로 구성된 동적균형능력과 10m 보행검사와 6분 보행검사로 이루어진 보행능력을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다. VR군은 하지 근력과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적으로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 균형 및 보행능력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상생활활동 중재 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terven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Focusing on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성지영;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9-21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중재를 시행한 국내 단일대상연구문헌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누리미디어(DBpia), 학술교육원(e-article)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통해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5년간 발간된 논문 중 '뇌졸중', '일상생활활동', '단일대상연구'를 주요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총 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징과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결과 : 9편의 분석 대상 논문 중 작업치료 분야 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6편이었고, 분석 논문에서 적용한 연구 설계는 ABA 설계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명씩이었고, 대상자 수가 3명인 논문이 5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은 6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적용한 독립변인은 강제유도운동치료, 상상연습,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 수직훈련, 양측성 상지운동,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 신경인지재활치료와 전통적인 작업치료, 체간 안정화 훈련,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각각 1편씩으로 다양한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을 측정한 평가도구는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이 4편으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Barthel Index와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ce Measure가 각각 2편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결과 총 9편 중 높은 수준의 연구가 7편이었고, 중간 수준의 연구는 2편이었으며, 낮은 수준의 연구는 단 1편도 없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중재법으로 여러 유형의 재활치료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신뢰할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 임영명;이지용;조성준;안예슬;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70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종합 평점과 다기준 평점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협업필터링 기반 하이브리드 추천 시스템 (A Hybrid Recommender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with Selective Use of Overall and Multicriteria Ratings)

  • 구민정;안현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85-109
    • /
    • 2018
  •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과거 구매행동을 통해 향후 구매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제품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추천해준다. 특히 전자상거래 기업의 상품추천시스템은 일대일 마케팅의 대표적 실현수단으로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추천시스템, 특히 학계 및 산업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협업필터링 기법은 단일차원의 '종합 평점'만을 고려하여 추천결과를 생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들의 정확한 니즈를 이해하고 대응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전자 상거래 기업들도 고객들로부터 보다 다각화된, 다기준 방식으로 피드백을 받고 있다. 특히 다기준 평점은 정량적으로 입력되는 정보이므로 상대적으로 분석 및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기준 평점 역시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의견을 이해하여 추천에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기준 평점 정보와 선택적 협업필터링의 서로 다른 접근방법을 통해 도출된 추천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추천 대상리스트를 산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기술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식음료점(식당, 카페 등)에 대한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종합 평점과 다기준 평점을 수집하였으며, 데이터를 학습용과 검증용으로 구분하여 학습시키고 성과를 평가하였다. 이 기법은 결합 함수 기반 접근법과 사용자마다 구매의사결정의 체계가 다르다는 전제하에, 사용자들을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라 정보원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실험결과, 제안 알고리즘을 통한 추천 방법이 단일 차원을 고려하는 전통적인 협업필터링과 비교해 더 우수한 예측정확도를 나타냄을 확인했다. 아울러,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다기준 평점과 선택적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종합하여 추천하는 방법이, 단순히 다기준 평점을 고려했을 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확도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