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element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4초

지역 영상산업 인력자원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Study on Human Resources of Local Visual Industry (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병주;최영근;김재헌;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5-628
    • /
    • 2009
  • 영상산업의 불모지와 같던 부산이 1996년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 PIFF를 시작으로 이제는 영상산업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아시아 영상산업 중심도시(CinePort Busan)을 추진하면서 2004년까지 1단계육성기로 '영화 촬영하기 좋은 도시' 2005년에서 2007년까지 2단계 정착기로 '영화 만들기 좋은 도시'를 조성하여 왔고 지금은 3단계 발전기로 영상산업을 정착시키고 영상제작의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산시의 영상산업 지원육성 정책에 맞추어 지역 영상인력의 역내 고용문제는 영상산업에 실질적이고 내실 있는 지역산업이 되기 위해서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영상산업과 인력자원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영상중심도시 부산 조성계획에 따른 인력 수급이 지역 영상인력의 역내수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 PDF

충격 하중을 받은 무근콘크리트의 최대주응력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Maximum Principal Stress of Non-Reinforced Concrete Caused by Impact Load)

  • 송정언;박훈;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충격 하중을 받은 콘크리트 재료의 내부 주응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Visual FEA 유한요소 프로그램으로 콘크리트 재료의 단면을 모델링하여 절점에서의 최대주응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재료의 탄성계수가 작을수록 최대주응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콘크리트 재료의 물성 변화에 따라 최대주응력 편차는 2~3배 차이를 나타냈다.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 설계 및 분석 (Analysis and Design of Interest Elements in Visual Storytelling)

  • 안성혜;허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0-257
    • /
    • 2009
  • 문화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천스토리 개발과 이를 다양한 매체의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스토리텔링이다. 현재 스토리텔링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문화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있어 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 설계에 대한 방법론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매체에 적용 가능한 OSMU 기반의 문화콘텐츠를 기획할 때, 어떻게 재미있는 스토리를 만들어야 하는 지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재미요소를 분석하고, 그 재미요소들을 매체에 맞게 가공하여 시각화하는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설계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바이즈만의 길 찾기 요소와 방문객 만족도와의 관련성 분석 -서울 역사박물관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rrelation G. D. Weisman's Way Finding Elements and Visitor Satisfaction -Focus on Seoul Historical Museum-)

  • 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1-432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G. D. Weisman's Way finding 4 elements the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of consumers as to eternal area for Seoul historical museum.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G. D. Weisman's Way finding element introduced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isitor satisfaction.. It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higher the impact is, the greater accessaccessibility and efficiency are. Second, among 4 elements,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accessibility was 'visual-perceptual accessibility'. Thus, 'visual-perceptual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boost the accessibility to consumers. Third, among 4 elements, the factor t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efficiency was 'sign system'. Thus, 'sig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boost the efficiency to consumers.

루이스 칸 건축의 내부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Inferior Space in Louis I. Kahn's Architecture)

  • 윤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23-30
    • /
    • 2008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visual perceptual effects drawn by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and to interpret the architecture of Kahn in respect of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Axial composition of the form,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divergence of internal movement were checked up about 53 works by extracting parti which is basic element of spatial composition. The 3D modeling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selected 10 works in order to analyze the visual perceptual effect due to divergence of the internal movement. The reaction of the observer's actions and visual perception by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steps. 1. Divergence of the entrance/a panorama of expanding planes. 2. Divergence of internal movement/The process of perception of visual rotation and central spatial form. 'Perceptive form' created by 'divergence' is the result of diverse and flexible series of processes which must be experienced in person in order to reach the space as a room with a definite domain and center.

공간의 시지각적 분석에 의한 소규모 미술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A Small Art Museum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in Spatial Layouts)

  • 김재욱;김용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120-127
    • /
    • 2001
  • The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a small art museum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Perception in spatial layouts. In so doing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erception in visual layouts and identity of space to evaluate the spatial construction with relation to the role of small art museum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to contribute effectiveness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a small art museums by understanding of visual element of design and ultimately to make efficient use of space.

  • PDF

애니메이션의 하위 텍스트로서의 음향의 연상 작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lls for the Association of Sound as Subtext for Animation)

  • 김지홍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22
    • /
    • 2003
  • 애니메이션은 시각적 요소(visual element)와 청각적 요소(audio element)로 구성된다. 청각적 요소인 음향(sound)에는 대사(dialogue)와 음향효과(sound effects)와 음악이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청각적 요소는 시각적 요소의 부가적인 위치를 점한다고 하나 결코 그 역할과 의미는 적지 않다.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여 단순히 오락물로써만이 아니라 예술작품으로써 애니메이션을 영상 미학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음향은 애니메이션의 하위텍스트로서의 연상 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기의 부속물로서, 라이트모티브(leitmotif)를 위해, 반어적 표현을 위하여, 성격화를 위해, 지역과 민족의 표현을 위하여 그리고 시간의 변화를 위해 음향이 연상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들을 애니메이션인 드림웍스사의 슈렉(Shrek)과 디즈니사의 몬스터 주식회사(Monsters Inc.)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실제 애니메이션의 제작시에 음향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향의 연상의 활용방안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영상 표현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미학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이론적인 바탕이 되도록 한다.

  • PDF

Cyber Museum User Interface의 구성과 구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nalysis of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at cyber museum)

  • 구세연;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1-127
    • /
    • 2001
  • An unified measure of user interface efficiency and aesthetics for cyber museum is proposed. First, general structure of cyber museum is discussed and hierarchical analyses are done for sample sites. Usability tests based on the hierarchical analyses yield statistics of user access frequency and persistency for each page, on which access probability is deduced. Second, visual occupancy, a measure of efficiency of user interface element based on access probability is defined. The hierarchical statistics of visual occupancy can be an index for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cyber museums. Examples are provided.

  • PDF

어드벤처 게임에서 플레이이벤트별 게임공간의 시각적 환경요소 (Visual Environmental Elements of Game Space by Play-Event in Adventure Games)

  • 최규혁;진형우;김미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7-56
    • /
    • 2020
  • 본 논문은 어드벤처 게임에서 플레이이벤트별 게임공간의 시각적 환경요소를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어드벤처 게임 10종에서 공통 플레이이벤트 6종을 추출하고, 공간구조 3유형과 오브젝트 4유형을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접플레이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시각적 환경요소의 특징을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플레이이벤트에서 의도하는 스토리와 유도하는 게임플레이는 시각적 환경요소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