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design element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4초

미술관의 조명환경 변화에 따른 시각적 반응 및 피로감각 변화분석 (Influence of Luminous Environments on Visual Responses and Fatigue Sensation in Art Galleries)

  • 박윤혜;김수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61-72
    • /
    • 2011
  • The influences of luminous environment on visual responses and fatigue sensation in art galleri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ield measurements and survey were performed in three galleries under various illuminance and luminous conditions. Result implies that vertical illuminance on art paintings needed to be somewhere between 200 lx and 300 lx to avoid visual discomfort. The vertical illuminance difference between consecutive paintings should not exceed 100 lx to keep visually comfortable environment. Visual comfort sensations were related to glare, visual stimulus, reflection from paintings, illuminance variation, and the sensation that subjects can clearly see the paintings. The sensation of fatigu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luminous element that caused visual stimulus and discomfort. The sensation of eye fatigue among physical fatigue wa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glare, visual stimulus and comfort. The psychological fatigue was also influenced by eye fatigue, visual comfort, brightness and satisfaction with color of light.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Cyber Museum User Interface의 구성과 구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nalysis of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at cyber museum)

  • 구세연;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1-127
    • /
    • 2001
  • An unified measure of user interface efficiency and aesthetics for cyber museum is proposed. First, general structure of cyber museum is discussed and hierarchical analyses are done for sample sites. Usability tests based on the hierarchical analyses yield statistics of user access frequency and persistency for each page, on which access probability is deduced. Second, visual occupancy, a measure of efficiency of user interface element based on access probability is defined. The hierarchical statistics of visual occupancy can be an index for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cyber museums. Examples are provided.

  • PDF

심볼디자인의 정보전달기능에 따른 한국적 MONOGRAM의 연구 (A Study on Korean Monogram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Function of Symbol)

  • 장은석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63-73
    • /
    • 1996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커뮤니케이션의 혼란 속에서 모노그룹(monogram)은 비쥬얼 아이 덴터티를 위한 시각언어로서 정보전달의 매우 중요한 심 볼로 등장하였다. 모노그램은 비쥬얼메세지의 가장 훌륭한 적임자로서, 오늘날 그 역할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심볼 디자인의 조형요소로서, 모노그램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상징성 등을 연구하여 심볼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모노그램의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한국적 모노그램의 발전적 가능성에 그 목적을 두었다.

  • PDF

압력 용기 유한 요소 해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ustomizing Program for Finite Element Analysis of Pressure Vessel)

  • 전윤철;김태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4-659
    • /
    • 2003
  • PVAP (Pressure Vessel Analysis Program V1.0) was developed by adopt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NSYS V6.0, and Microsoft Visual Basic V6.0 was also utilized for the interfacing and handling of input and output data during the analysis. PVAP offers the end user the ability to design and analyze vessels in strict accordance with ASME Section VIII, Division 2. More importantly, the user is not required to make any design decisions during the input of the vessel. PVAP consists of three analysis modules for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rimary components of pressure vessel such as head, shell, nozzle, and skirt. In each module, finite element analysis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only if the end user gives the dimension of the vessel. Furthermore, the calculated results are compared and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given in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Section VIII, Division 2. In particular, heat transfer analysis and consecutive thermal stress analysis for the junction between skirt and head can be carried out automatically in the skirt-tohead module. Finally, report including the above results is created automatically in Microsoft Word format.

  • PDF

루이스 칸 건축의 내부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Inferior Space in Louis I. Kahn's Architecture)

  • 윤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23-30
    • /
    • 2008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visual perceptual effects drawn by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and to interpret the architecture of Kahn in respect of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Axial composition of the form,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divergence of internal movement were checked up about 53 works by extracting parti which is basic element of spatial composition. The 3D modeling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selected 10 works in order to analyze the visual perceptual effect due to divergence of the internal movement. The reaction of the observer's actions and visual perception by 'axial composition and divergence'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steps. 1. Divergence of the entrance/a panorama of expanding planes. 2. Divergence of internal movement/The process of perception of visual rotation and central spatial form. 'Perceptive form' created by 'divergence' is the result of diverse and flexible series of processes which must be experienced in person in order to reach the space as a room with a definite domain and center.

미디어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시각언어와 시각테크놀로지의 고찰 (An Observation of the Visual Language and the Visu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Media Technology)

  • 신청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5-22
    • /
    • 2004
  • 현재의 복잡한 시각문화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미지, 그래픽, 사진, 영화, 텔레비전 등의 영상에 따른 광범위하게 확대된 시각 세계이며, 사운드와 문자까지를 삽입하여 의미 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언어나 문자를 넘어 정보를 전달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멀티미디어 적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 때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보는 시각은 언어와 불가분 하게 연결되며, 이미지와 시각의 상상적 질서가 문화적, 역사적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언어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 역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시각적 경험이 부분적으로라도 언어적으로 매개된다면 시각적 경험이 보편성을 갖기는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시각 체계들간의 사회 문화적 차이를 형성하고 규정하는데 에는 언어적 질서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언어와 함께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각적, 광학적 장치들 또한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이 시각적 테크놀로지들은 가시적 세계 속에서 주체와 주체의 가시적인 대상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물질적 실천체인 것이다. 시각언어는 이렇게 이미지들의 표상이라는 차원과 일련의 역사적인 물질적, 제도적 실천들로의 시각테크놀로지라는 차원이 결합된 것이며, 이것이 하나의 시각체제 내에서의 대상 세계를 보는 사회적인 시각 양식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변화된 개념이나 특성들에 따라 시각언어를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고 표상의 차원으로서의 시각언어와 제도적이고 물질적인 실천으로서의 시각 테크놀로지의 차원에서 설명했다. 결국 시각 테크놀로지는 그 기능과 시각 양식에 대한 영향은 그것의 기술적 요소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그것과 결부된 담론적 실천들과 물질적 제도적 실천과 분리될 수 없다. 특정 테크놀로지의 기술적 요소가 담고 있는 가능성 역시 그대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사회적 맥락에 의해 그 효과가 매개되고 제약되면서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트롱프뢰유 패션디자인의 형태 생성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Form Generation Diagrams of Trompe l'oeil Fashion Design)

  • 이신영
    • 복식
    • /
    • 제63권3호
    • /
    • pp.17-32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visual elements of the Trompe l'oeil design and the combination conditions of each element in order to deduce the form generation diagrams of Trompe l'oeil fashion design. The following is what the study found: First, Trompe l'oeil fashion design can be divided into two based on its subject: 'the combination of internal elements of dress' and 'the combination of external elements of dress'. Looking at the visual components of each type, depending on the subject, 'the combination of internal elements of dress' design was achieved by combining internal dress elements: including textile, detail, item, accessory, layering, etc.. In case of 'the combination of external elements of dress' design, the object of Trompe l'oeil was expanded in scope to environment, which includes the actions of a wearer. Second, as for Trompe l'oeil fashion design through the combination of external dress elements, the condition to combined visual components of the work in the process of creation was related to 'the popularity of object', 'the similarity of shapes and sizes', and 'the probability of location'. Third, deriving a form generation diagrams of Trompe l'oeil fashion design was very effective in delineating specific relationships and conditions, directions among elements combined in fashion design.

실내공간의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 전회공간의 주시시간 보정을 통해 - (A Study on the Property of Visual Perception of Interior Space - By revising the observation time of the design element -)

  • 최계영;김종하;이정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28-136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and defines the property of visual perception throughout the revision of the observation time of the original space and the rotating spa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First, based on the existing theory and experiment, the study obtained the basis which decides the sector data originating fixation-gaze after staring the specific sector over 300ms time. It will become the turning point hereafter for our research to fix the time in this way. Second, in analyzing the minute data, the study built a revision method of the observation time by analyzing the meanings and the reasons of the revision of the original data. Thir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revision quantity, female testee have more increases in the amount of data than male testee from the original screen.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tendency appears from the previous data. This show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bservation properly by sex. Last, we could grasp Information about the property of the observation time throughout eyeball fixations, and the revision and analysis of the 'controlled observation data'. These data can be used in design element arrangement of interior space, hereafter.

TV화면 대형화에 따른 문자그래픽 표현 연구 -시각인지도 분석 기반- (A Research of Character Graphic Design on Larger Television Screens -Based on Analysis of its Visual Perception-)

  • 이국세;문남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29-138
    • /
    • 2009
  • TV방송에서의 문자그래픽(방송자막)은 영상정보에 대한 시청자의 이해를 돕고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여주는 영상구성 요소로써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TV화면의 대형화와 영상의 고품질화에 적합한 글자 표현을 위해 방송문자의 글꼴, 크기, 색상, 이동속도 등 문자의 속성에 변화가 필요한 점을 찾고 그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논문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함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기반으로 TV화면의 분자가 지닌 제 특성요소와 시각적 인지도가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OSMU(One Source Multi Use) 환경에서의 각 매체별 특성을 고려한 개선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