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acuity char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시력검사거리에 따른 원거리 시력검사 신뢰성 평가 (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for Exam Distance of Visual Acuity)

  • 전영윤;최현수;박성종;이석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2
    • /
    • 2014
  • 목적: 시력검사거리에 따른 원거리 시력검사의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5 m 거리에서 교정시력이 1.0 이상이 되었던 성인 39명(7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검사거리(5 m, 4 m, 그리고 3 m)에서 대상자의 교정굴절력을 측정하였다. 시시력표는 자동 챠트(LCD-700, Hyeseong Optic. Co., Korea)를, 타각적 굴절검사는 검영기(Beta 200, Heine, Germany)와 자동굴절검사기(RK-5, Canon, Japan)를 사용하였다. 조절력검사는 (-)렌즈 부가법으로, 조절래그 검사는 근거리 격자시표를 사용하였다. 결과: 구면교정굴절력은 5 m에 비하여 3 m에서 평균 $0.10{\pm}0.38$ D 감소하였고 난시도는 $0.05{\pm}0.10$ D 감소하였으며, 난시축은 우좌안이 귀방향으로 각각 $2.64{\pm}18.75$ 도, $11.43{\pm}48.55$ 도 회전하였다. 교정굴절력의 변동과 난시도의 변동은 최대교정굴절력과의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 r=-0.29). 결론: 검사거리에 따라 구면교정굴절력과 난시도는 5 m에 비하여 3 m에서 감소하며, 난시축은 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안경원에서 원거리 시력검사를 위한 검사거리는 5 m로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낮은 조도에서 스마트폰 시청 후 시력 변화 (Change of Refractive Error after Watching Smart-phone under Low Intensity of Illumination)

  • 김봉환;한선희;권상진;김도훈;김미성;정현승;김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5-10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낮은 조도에서 1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시청 한 이후 시력변화와 NIBUT를 비교하였다. 방법: 20대(평균나이 $20.7{\pm}2.4$세)의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눈을 가진 50명(남자 22명, 여자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낮은 조도(0 lx)에서 스마트폰(Galaxy 2, Samsung, KOREA)을 시청 전과 한 시간 시청 후의 타각적 굴절이상도 검사, 원거리 교정 시력과 NIBUT를 측정하였다. 타각적 측정은 Auto-chart Project(CP-1000, Dongyang, Korea), Phoropter(VT-20, Dongyang, Korea), Auto refractor-keratometer(MRK-3100, Huvitz, Korea)를 이용하였다. 결과: 낮은 조도에서 스마트폰을 시청하기 전과 한 시간 시청 후의 굴절이상도의 변화는 $-3.20{\pm}2.00$ D에서 $-3.38{\pm}2.00$ D로 변화했고(p=0.006), 원거리 교정시력의 변화는 $0.93{\pm}0.08$에서 $0.91{\pm}0.10$으로 변화했으며(p=0.000), NIBUT의 변화는 $10.48{\pm}7.00$ 초에서 $10.29{\pm}6.47$ 초로 변화했다(p=0.761). 결론: 낮은 조도에서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시청하는 것은 일시적인 원거리 시력의 변화를 초래하였고, 적절한 휴식은 원거리 시력과 눈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여줄 것으로 사료된다.

안면부 여과식 방진 마스크와 안경 동시 착용 시 상호 영향 (The Effects of Interrelationship after Wearing between Respirators and Glasses Simultaneously)

  • 어원석;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3
    • /
    • 2018
  • This study compares the interrelation of fit factor(FF) and visual acuity test by the order of wearing preference between Particulate filtering face piece respirators(PFFR) and glasses for 54 participants. Glasses fitting factors is Optical Center Height(OH), Vertex Distance(VD) and Pantoscopic Angle(PA) or Visual acuity. We measured those factors and expressed by the ratio of standard point and change point. Quantitative fit factor was measured by Portacount Pro+ 8038 and compared the result of preference of wearing order between respirators and glasses. Also, we selected to 6 exercises among 8 exercises OSHA QNFT (Quantitative Fit testing) protocol to measure the fit factors. The pass/ fail criterion of FF was set at 100. Visual acuity test chart is developed by Chunsuk Han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SAS ver 9.2), it is used geometric means, Wilcoxon analysis, peason correlation(P=0.05) Fit factor was increased when the respirator was worn before wearing the glasses(p=0.000) and decreased for visual acuity(p=0.000)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OH and Overall fit factor(r=-0.409, p=0.002). Among 54 participants, 11 participants(20.3%) were worn respirator before wearing glasses and 1 participant(1.9%) was worn glasses before wearing respirator. The overall fit test showed the higher level was investigated for the group of participants wearing respirator before wearing glasses in 6 exercises. Also, overall fit factor were increased when participants wore glasses prior to respirator(16.6) to respirator prior to glasses(36.6). Visual acuity were increased when participants wore respirator prior to glasses(93.8) to glasses prior to respirator(106.0). Finally, comparison result of overall fit factor and visual acuity were glasses first choice from mask first choice.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overall fit factor was investigate when the participants wore the respirator prior to glassess at all. The results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overall fit factor and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OH for glasses fitting when worker wore respirator and glasses at the same time.

백내장 환자에서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시기능 평가 (Evaluation of Visual Performance for Implanted Aspheric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n the Cataract Patients)

  • 김재윤;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7-356
    • /
    • 2013
  • 목적: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인 ReSTOR$^{(R)}$ SN6AD3 삽입안의 시력과 시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양안 또는 단안에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ReSTOR$^{(R)}$ SN6AD3)를 삽입한 백내장 환자 19명의 3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1주일, 1개월 및 3개월 후에 시력과 객관적인 시기능을 측정하였고 수술 3개월 후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시기능 측정값을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 20명(38안)과 비교하였다. 원거리 시력은 2 m 거리에서 LCD chart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중간거리(50 cm)과 근거리(30 cm) 시력은 Jaeger chart를 이용하였다. 객관적인 시기능은 OQAS 장비를 이용하여 OSI (objective scatter index, 객관적 산란지수),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변조전달함수) cut off, Strehl ratio를 4 mm 동공크기에서 측정하여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른 측정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술 3개월 째 시력 및 시기능은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과 비교하였다. 결과: 나안 원거리 시력과 OSI, MTF와 Strehl ratio는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1개월까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수술 3개월 후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MTF와 Strehl ratio는 정상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OSI는 대조군보다 높은 값으로 측정되었다(p<0.001). 자각적인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중간거리 시력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눈부심과 빛 번짐 증상이 나타났다. 결론: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시기능은 수술 1개월 후부터 안정화되며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의 수준으로 개선되지만 만족스러운 중간거리 시력을 제공하지 못하며 눈부심과 빛 번짐의 시각적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치원 원아의 시력측정 (A Test of Visual Acuity to Kindergarten's Children)

  • 강현식;서용원;강인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56
    • /
    • 1996
  • 유치원 원아 109명 218안을 대상으로 시력 및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각적 굴절이상을 측정한 결과, 만3세의 평균시력이 0.6, 만 4세의 평균시력이 0.7, 만 5세의 평균시력이 1.0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 어린이와 비교하면 약간 떨어지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시력도 발달해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굴절이상에 있어서는 혼합난시가 14.7%, 원시 18.8%, 근시 66.5%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 사용이 원거리 교정시력과 굴절 이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ided Distance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Changes by Using Smartphone)

  • 김봉환;한선희;신용걸;김다영;박진영;신원철;윤정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5-309
    • /
    • 2012
  • 목적: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에서 근거리 주시거리에 따라 시력과 굴절이상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스마트폰 사용 후 시력이나 굴절이상이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0.8이상이고, 최대조절력과 조절용이성이 정상인 20명($20.6{\pm}0.9$세)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다. 피 실험자는 Group 1(15 cm 주시거리)인 10명과 Group 2(40 cm 주시거리) 10명으로 나누어서 원용 교정안경을 장용하고 30분 동안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영상 시청전과 후의 원거리 교정시력과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비교하였다. 타각적 측정은 auto-chart project(CP-1000, Dongyang, Korea), phoropter(VT-20, Dongyang, Korea), auto refractor-keratometer (MRK-3100, Huvitz, Korea)를 이용하였다. 그런 다음, 원용 교정안경을 착용하고 원방시를 하게 한 후 각각 5분 후, 10분 후, 그리고 15분 후에 원거리 타각적 구면 굴절력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 스마트폰을 15 cm 거리에서 30분 동안 사용한 Group 1(15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원거리 교정시력 저하(p=0.030)와 근시의 증가(p=0.001)가 관찰 되었다. 이러한 근시의 증가는 스마트폰 사용 후 5분 후 이후 검사에는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다($p{\geq}0.464$, paired-samples t test). 한편 30분 동안 스마트폰을 40 cm 거리에서 사용한 Group 2(40 cm 주시거리)은 스마트폰 사용 전과 사용 후에서 시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p=0.163), 굴절력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7, paired-samples t test). 결론: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려면 사용 거리를 40 cm를 유지 할 것을 권장 하며 만약 스마트폰을 권장 사용 거리 40 cm 보다 가까이에서 사용 할 경우 굴절이상과 원거리 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을 최소한 30분사용 후 5분간 휴식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

시표의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이 교정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Relative Legibility of Optotypes on Corrected Visual Acuity)

  • 하나리;최장호;김현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6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시력검사 시 시표의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이 교정시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 및 안과 수술 경험이 없는 24명을 대상으로 '란돌트 고리시표', '숫자시표', '영문시표'를 단일 문자시표로 제시하여 상대가독성을 측정한 후 7종류의 시시력표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 0.8, 1.0, 1.25 시력의 시표열의 상대가독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60명의 근시를 대상으로 양안원용굴절검사(#7A)로 시표 유형에 따른 교정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3가지 시표 유형 중에서 상대가독성이 가장 나쁜 시표는 가독거리가 $98.97{\pm}4.57cm$인 '란돌트 고리시표'였고, 상대가독성이 가장 좋은 시표는 가독거리가 $108.42{\pm}3.46cm$인 '영문시표'였다. 그리고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시시력표의 종류 또는 시표열의 시력 수준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는 없었다. 1.0과 1.25 시력의 시표열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는 '란돌트 고리시표'와 '영문시표'에서 각각 $-0.07{\pm}0.06$(p=0.02)과 $-0.06{\pm}0.06$(p=0.04)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큰 차이가 있었다. 근시에서 시표 유형에 따른 교정시력의 차이는 '란돌트 고리시표'와 '숫자시표'로 측정한 경우에서 $-0.04{\pm}0.02$(p=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가장 큰 차이가 있었고, 특히 약도근시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다. 결론: 시표 유형에 따른 상대가독성 차이가 존재하므로 시력검사 시 동일한 시력 수준의 시표열이라도 여러 유형의 시표를 혼용하여 제시할 경우 최고시력 측정값의 오차를 유발할 수 있다.

Visual Outcome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in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 Seuk, Ju-Wan;Kim, Choong-Hyun;Yang, Moon-Sul;Cheong, Jin-Hwan;Kim, Jae-M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6호
    • /
    • pp.339-344
    • /
    • 2011
  • Objective : Pituitary apoplexy is one of the most serious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of pituitary aden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outcome after early transsphenoidal surgery for the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31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who were admitted due to acute visual acuity or field impairment and treated by transsphenoidal surger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 decreased conscious level. The visual acuity of each individual eye was evaluated by Snellen's chart Visual fields were also checked using automated perimetry. To compare the visual outcome according to the surgical timing,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2 groups. The first group, 21 of the patients have been undertaken transsphenoidal approach (TSA) within at least 48 hours after admission. The second group included 8 patients who have been undertaken TSA beyond 48 hours. All patients were monitored at least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 Patients were 21 males and 8 females (M : F=2.6 : 1) with the mean age of 42.4 years. Among the enrolled 29 patients, 26 patients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nd 23 patients revealed the defective visual field respectively. Postoperatively, improvement in the visual acuity was seen in 15 patients (83.3%) who underwent surgery within the first 48 hours of presentation, as compared to those in whom surgery was delayed beyond 48 hours (n=5; 62.5%) (p=0.014). Improvement in the visual field deficits was observed in 15 (88.2%) of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within the first 48 hours of presentation, as compared to those in whom surgery was delayed beyond 48 hours (n=3; 50.0%) (p=0.037).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rapid transsphenoidal surgery is effective to recover the visu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If there are associated abnormalities of visual acuity or visual fields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pituitary apoplexy, early neurosurgical intervention within 48 hours should be also required to recover visual impairment.

近視患者의 治驗10例 (10 Cases of Myopia)

  • 홍승욱;채병윤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9-135
    • /
    • 1996
  • The author performed in 10 myopia patients under the age of 29 years, who visited to KOMC EENT from August 1995 to June 1996, who were diagnosed the MYOPIA, who wanted recoverery of visual acuity. The medical treatment run paralled Acupuncture-Tx with Herbal medicine. The Acupuncture points were mainly used GV20, G20, B2, TE23, G14, S1, LI4, TE5, SI3, LIV3, G41, B62. And, Herbal medicine was mainly treated GAMIGEONGJI-TANG, GAMIGEONGJIBOGAN-TANG. As the result of treatment, the mean of improvement was 0.32 in visual-acuity chart. Conclusively, the myopia were improved by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 PDF

VDT를 이용한 굴절검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Refraction at Video Display Terminal)

  • 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9-53
    • /
    • 2000
  • 컴퓨터를 이용하여 굴절검사를 하기 위하여 모니터에서 출력한 영상시표를 제작하고자 영상시표와 한식표준시력표, Chart Projecter에서의 시표의 크기 및 시력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표의 문자나 숫자에서 각각 다른 인식 차가 있었으며 시시력표에서 시표의 크기가 글자에 따라 다르게 제작하여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글과컴퓨터사의 "솔체"글자모양으로 제작된 시력 0.1의 시표는 문자시표에서는 "가"는 69 mm "그"는 66 mm 숫자시표의 "7"은 57 mm. "2" "3"는 60 mm. "4" "5" "6" "9" "8" 숫자는 63 mm의 크기로 조사되었다. 2. 영상시표와 한식표준시력표, Chart Projecter에서의 시력을 비교 결과 영상시표의 시력이 가장 낮았다. 3. 양안 분리시표는 Chart Projecter와 비교하여 양안 분리 및 프리즘렌즈에 의한 시표의 변화는 모두 동일하게 조사되었으나 한글의 이용과 더 다양한 디자인의 시표 제작 할 수 있어 효과적인 굴절검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