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Preference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5초

가로경관 분석에서의 반구투영법의 효용성 검토 (The Effectiveness of the Hemi-sphere Projection Method in the Analysis of Streetscape)

  • 이인성;서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8-69
    • /
    • 2003
  • The Hemi-sphere projection method produces an image that includes all surrounding visual landscape from a view point. This characteristic can solve the problem of perspective method that has only a limited view angle, and thus can be a potentially effec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visual landscape. This study tried to adopt the hemi-sphere projection method in the evaluation of streetscape,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and possibilities. Computer animations using the perspective method and the hemi-sphere method were produced for Bang-Hak Ro, Seoul, and the kames of the animations were reclassed to identify the visibility ratio of physical elements(buildings, sky and mountains). A preference questionnaire was given to 51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isibility ratio and visual preference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visual preference of streetscape can be explained by three factors: Openness, Uniformity, and Variousness, accounting for 63.2% of the total variance, and among which Opennes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at 32.1%. The visibility ratio calculated by the hemi-sphere method yielded strong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Openness, and it was much higher than with the perspective method. The hemi-sphere method also produce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about Uniformity and Variousness, but the perspective method could no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emi-sphere method can provide more accurate observation of visual changes, and that it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streetscape.

방음벽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in Soundproofing Barriers)

  • 김대현;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21호
    • /
    • pp.64-70
    • /
    • 2007
  •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determin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visual preference in soundproofing barriers in urban places and to provide the essential information needed in the design process of soundproofing harriers. This paper consists of two phases. The first phase presents photos of the seven types of soundproofing barriers generally seen around the Daejeon area, which were taken from three places for a photo montage. The evaluation of 21 different soundproofing barriers was conducted by college students. The second phase of this paper depicts the analysis process. Firstly, the visual preferences as found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by five semantic degrees. The evaluated data were processed by descriptive test, a correlation test and ANOVA test methods using an SPSS statistical package. 1. Currently, visual preference in soundproofing barriers is low in urban pla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visually pleasing soundproofing barriers to improve the visual qualify of urban areas. 2. Soundproofing barriers of mixed wood and acrylic scored the highest among selections while those with aluminium steel scored the lowest. 3. Environmental friendly and transparent conditions should be met to allow soundproofing barriers to be visually pleasing.

생울타리 식재 패턴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Hedge Planting Pattern)

  • 최연철;김진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4-245
    • /
    • 1997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eference of the hedge, on focusing the height, density, width of the hedge, which gives limited dwelling space continuity with outer space, promotes the naturality to dwelling environm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green space in city. For this, it is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by field survey, by classifying the hedge as planting pattern, and synthesizing the photograph.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preference of height of the hedge, when only the hedge is composed, 1.5M is preferred, and when the hedge with deciduous tree, with needle-leaf tree, 1.25M is preferred. 2. In the preference of density of the hedge, which are perfect density, in case of the hedge, which are almost density, in case of the needle-leaf tree, are preferred. 3. In the preference of width of the hedge, 0.4M is preferred. 4. In the preferential factors of the hedges, the preference of the hedge is mainly influenced by density.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s the height, the density, the width, and the regression equation are as follows : Visual Preference = 0.094+0.412(density)+0.370(height)+0.177(width)

  • PDF

이미지 조사를 통한 자생수종 활용에 관한 연구 -상층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terior Lanscape Pla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Image -Focused on the Tall Trees-)

  • 조현진;방광자;이남현;이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0-22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te the visual preference and response between introduced and native trees for utilization of the south native trees in interior space. 1.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below 500lux at 24 buildings of interior spaces surveyed. Generally the temperature was 24~$26^{\circ}C$, and humidity was 60~70%. 2. Total number of introduced tree species were 9 familiar, 16 genus, 18 species, especially palm genus were the largest tree among them at these surveyed interior spaces, but native trees were only 2 species. The introduced tree of 2 to 3m in height was 46 percent, and the case of 1.2 to 2m was 42 percent. 3.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was the highest at Rhapis excelsa and howeia belmoreana, and followed with Neolitsea sericea, Daphniphllum macropodum, Listsea japonicum. In the mean of visual preference for selected tree groups, native tree was not different as compared with introduced tree. 4. Visual image factor of the native and introduced trees at interior spaces was classified by individu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These 2 factors were shown 66.5% total variance. The native tree was strongly recognized on individual factor, as , and introduced tree was also strongly recognized on emotional factor. 5. In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a difference between the selected groups of the introduced and native trees were not shown significant, and the introduced trees were similar to the native trees on the visual image. This result was as follow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Cinnamomum camphora, Ligustr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is an analogy betwee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innamomum japonicum and Ficus retusa, Ficus benjami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Neolitsea sericea, Daphniphyllum macropo여, Listsea japonica and Rhapis excelsa, Howeia belmoreana. There was an analogy between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Fatsia japonica and Dracaena fragranse, Ficus elastica, Monstera deliciosa.

  • PDF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Visual Texture Image and Preference of Men's suit Fabrics)

  • 유효선;노의경
    • 감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17-128
    • /
    • 2005
  • 본 연구는 남성 수트소재의 구성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이 남성 수트소재의 시각적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판하는 남성용 검정색 계열의 춘하 소재 20종을 수집하여, 시각적 질감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피험자는 의류학과 대학원생과 의류관련 업체 종사하는 $20\~30$대 전문가 여성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으로 "부피감", "신축감$\cdot$드레이프성", "강연감", "평활감"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강연성"과 굽힘특성과의 관계를 제외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시각적 질감 이미지 평가가 일치하였다. 선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평활감", 압축에너지(WC), 밀도, "강연성"이었으며,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부드럽고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가 적고 밀도가 성근 직물을 춘하 남성용 정장으로 선호하였다.

  • PDF

도시와 전원 거주자의 자연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 차이 (Difference in Visual Preference for Natural Landscape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 홍정기;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3-111
    • /
    • 2010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le psychological difference in visual preference for natural landscape depending on the residence characteristic of the visitors, with the aim to use as the reference when creating space for natural landscape. Visi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amely, urban, suburban, and rural residents, and their preferred type of landscape was surveyed. The result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ir residence the highest preference was to the place with superior natural landscape features, and among such features the common preference was toward the landscapes with horizons and those with animals. Urban and suburban residents showed similar preference pattern, and there was ar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ural residents. In this respect,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natural landscapes could be induced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Rural residents had similar preference with urban residents in that they both preferred the place with superior natural landscape features, but differed in that the former ha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toward the landscapes that have mixed artificial elements. From the abov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inferred:for regions that need to create natural landscapes, differentiated visual landscape plans and strategies need to be established taking into account, inter alia, the natural richness of the neighborhood natural environment; for regions that need to conserve and manage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s, the measures to adjust the natur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taking into account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the protected areas and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region.

영산강 하천경관의 수위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 for Youngsan River Scenery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River Stage)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41-150
    • /
    • 2007
  •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영산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고 가장 선호되어진 경관의 수면폭/하폭비를 산정하여 시각적 선호도에 의한 필요유량을 산정하였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영산강 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영산교의 경우 개방감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복잡성 인자 등 3개의 변수, 임곡교의 경우 복잡성 인자, 심미성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등 3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중회귀모형에서 도시하천경관일 경우 물리적영향이 시각적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자연하천경관일 경우 복잡성정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요유량의 수면폭/하폭비는 0.5에서 0.7정도의 비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영산강 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 분석 결과와 하천의 필요유량은 하천경관을 조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주변 경관이미지 및 선호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Seongpanak Districtat at the Mt. Hallasan)

  • 김세천;허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4-140
    • /
    • 2007
  • 본 연구는 자연성 정도를 달리한 산악조망경관에 있어 각 공간별 형태적 특성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및 시각 선호도를 구명하여 차후 공원관리 및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상에서 촬영한 사진자료를 평가매체로 하여 자연도에 따른 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도 평가치는 자연성 정도 및 포장의 재료특성 등의 영향으로 정상부로 향할수록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변 이미지 평가는 아름답고 매력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자분석 결과 4개의 인자군은 각각 ${\ulcorner}$경관매력도인자${\lrcorner}$, ${\ulcorner}$공간스케일인자${\lrcorner}$, ${\ulcorner}$자연성인자${\lrcorner}$, ${\ulcorner}$지형지세 인자${\lrcorner}$라고 명명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7.6%이었다. 자연도와 명명 인자별 관계에서 각 공간별 인자점수의 평균치 변화 결과 자연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점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미적 인 감각과 시설물의 수에 상관성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각선호도 모형 분석 결과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가 시각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북촌 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 11번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in Bukchon-streetscape - Focusing on the Samchung-dong 35, Gahoe-dong 31, Gahoe-dong 11 -)

  • 김동찬;김신원;김미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0-118
    • /
    • 2012
  • 본 연구는 북촌의 가로 중에서도 특히 한옥밀집지역인 가회동을 중심으로 가로경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북촌 가로경관의 대한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북촌의 가장 대표적인 경관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번지, 11번지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시각량과 선호도의 관계를 기술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북촌가로경관의 이미지 특성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미지평가와 선호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는 첫째, 시각량과 선호도 관계에서 가회동 31번지의 가로경관이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북촌가로경관의 천장면과 식재의 시각량이 높을수록 높은 선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북촌의 가로경관은 '심미성', '쾌적성', '정연성'의 특성으로 설명되었으며, 가장 선호가 높게 나온 가회동 31번지와 낮게 나온 삼청동 35번지는 '심미성' 항목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심리변수 요인에 대한 요인점수와 선호도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성'을 설명하는 인자가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지역적인 특성을 잘 살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북촌의 가로 정비 방안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의 선호도 및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Beautiful Forest Scenery types in Korea)

  • 이연희;박찬우;하시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85-696
    • /
    • 2015
  •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사진을 모집단으로 분류한 22개의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을 유형별 사진의 매수 비율과 인문자원 유형의 제외 등을 통해 선발한 10개의 풍경유형에 대한 선호경향 도출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는 편차치(Z척도)와 일대비교법을 사용하였고, 풍경유형의 이미지 분석은 SD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차치와 일대비교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 결과, 각 풍경유형의 요소 및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평가 결과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임내풍경, 계곡과 바위와 같은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능선 풍경, 기암봉우리의 암릉, 폭포와 절벽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고사목 군락의 풍경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SD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이미지 평가 결과, 요인 1 '신비로운 매력', 요인 2 '화려한 색감', 요인 3 '생동감 다양함'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풍경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신비로운 매력'의 이미지는 능선 풍경으로부터, '화려한 색감'의 이미지는 색으로 표현되는 계절감으로부터, '생동감 다양함'의 이미지는 물과 단풍, 기암봉우리의 동적이고 다양한 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