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10 types of forest sceneries which have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mong 22 types of beautiful forest sceneries based on Korea National Parks. Z scale and paired comparis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visual preference for forest scenery, and SD scale method was also adopted to assess visual image for forest scen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3 different university students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results of Z scale (N=70) and paired comparison (N=64) methods show similar visual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forest scenery. 'Scenery inside forests' and 'valley and rock' sceneries have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and 'panorama of ridges', 'ridge of curious rock peaks', and 'waterfall and cliff' also have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level than others. However, 'community of dead trees' has the lowest preference in forest sceneries. Second, the factor analysis outputs of the image scores for beautiful forest scenery types by SD scale (N=66) show 3 factors of 'mysterious charm', 'colorful sense', and 'vividness/variety'. Examined the variables of forest scenery types for each factor, the image of 'mysterious charm' is based on the sceneries of mountain ridges, the image of 'colorful sense' is focused on the sceneries of color-expressed sense of the season, and the image of 'vividness/variety' is based on the sceneries of waterscape and curious rock peaks.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사진을 모집단으로 분류한 22개의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을 유형별 사진의 매수 비율과 인문자원 유형의 제외 등을 통해 선발한 10개의 풍경유형에 대한 선호경향 도출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는 편차치(Z척도)와 일대비교법을 사용하였고, 풍경유형의 이미지 분석은 SD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차치와 일대비교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 결과, 각 풍경유형의 요소 및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평가 결과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임내풍경, 계곡과 바위와 같은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능선 풍경, 기암봉우리의 암릉, 폭포와 절벽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고사목 군락의 풍경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SD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이미지 평가 결과, 요인 1 '신비로운 매력', 요인 2 '화려한 색감', 요인 3 '생동감 다양함'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풍경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신비로운 매력'의 이미지는 능선 풍경으로부터, '화려한 색감'의 이미지는 색으로 표현되는 계절감으로부터, '생동감 다양함'의 이미지는 물과 단풍, 기암봉우리의 동적이고 다양한 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